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istoric Value of Photographic Records in the News and Culture Magazine 'Sasanggye'

시사교양잡지 『사상계』의 사진기록물과 기록학적 가치

  • 정은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박주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12.29
  • Accepted : 2024.01.18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e monthly news and culture magazine, 'Sasanggye,' established by Jang Jun-ha from 1953 to 1970, served as a platform for government criticism and intellectual representation. The magazine created photographic-essays covering a variety of topics and utilized images as a visually impactful tool with news value.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hotographic-essays within 'Sasanggye' as archival records, shedding light on their intrinsic value. Before delving into this assessment, the paper thoroughly explores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photographic-essays. And based on the content divisions within the main text, the paper categorized the themes captured in the photographic essays into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and miscellaneous topics. It then introduced representative photographicessays. From an archival perspective, looking at photographs involves elucidating that photographs carry meanings beyond mere data.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serve as photographic records providing evidence of 1960s Korean society and encapsulating crucial visu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hold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Korean magazine documentary photography. The photo-essays in 'Sasanggye' carry worth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encompass evidential and informational values as photographic records.

장준하가 창간한 『사상계(思想界)』(1953년~1970년)는 당시 권위주의 정부를 정면으로 비판하며 한국 사회의 지성인을 대변했던 월간 시사교양지다. 『사상계』는 다양한 시사 주제를 사진화보로 제작하여 사진을 뉴스밸류를 갖는 시각적 도구로 활용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상계』의 사진화보를 기록물로 바라보고 그 가치를 고찰하고자 한다. 가치 평가에 앞서 『사상계』 사진화보의 전개과정과 특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진화보가 담고 있는 주제를 본문 내용 구분을 기준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면 및 기타로 나눈 뒤 대표 화보를 소개했다. 기록학적 관점으로 사진을 바라보는 것이란, 사진이 단순 데이터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사상계』 사진화보는 1960년대 사회를 증거하며 주요 시각정보를 담고 있는 사진기록물이다. 또한 『사상계』 사진화보는 한국 잡지 기록사진(다큐멘터리사진)의 측면에서 사진사적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을 통해 『사상계』의 사진화보가 미술사의 분과 학문의 사진사적 가치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기록물로서 기록학적 차원의 증거적, 정보적 가치를 충실하게 갖춘 한국 현대사회의 기록 유산임을 밝히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사상계」 (1953~1970).
  2. Flamiano, Dolores Louise (2000). Larger than life: Collective memory and gender in "Life" magazine's photographic essay, photographic pin-up, and commemorative photojournalism.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nited States.
  3. 김미옥 (2021). 한국 이민정책의 체류자격 구분을 통한 이주민의 시민적 계층화 연구: 이주민의 한국 사회 적응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과.
  4. 연종범 (2018). 1960~70년대 청계천 주민의 삶과 사회경제 변화.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전공.
  5. 최유리 (2014). 1960년대 서울시 무허가주택문제: 박정희정권 시기 무허가주택 철거와 철거민 대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6. 유병용 (2012). 1960년대 한국 사진의 '리얼리즘'에 관한 연구: 동아사진콘테스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7. Chris Vials (2006). The Popular Front in the American Century: "Life" Magazine, Margaret Bourke-White, and Consumer Realism, 1936-1941. American Periodicals, 16.
  8. 김려실 (2019). 화보로 읽는/보는 「사상계」-1960년대 「사상계」와 혁명의 망탈리테. 상허학보, 57.
  9. 김아람 (2020). 배울 권리와 의무교육의 교차, 1950~60년대 전반 '혼혈'아동 교육. 역사비평, 133.
  10. 김영욱, 신행우, 김민수 (2015). 서울시 집단 무허가 불량 주거지의 형성과 변화에 따른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6.
  11. 김영희 (2012). 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59.
  12. 배은경.박주석 (2009). 사진기록의 평가기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
  13. 이행선 (2018). 1945-1982년 야간통행금지(통금), 안전과 자유 그리고 재난. 민주주의와 인권, 18.
  14. 임영언.김용민 (2016). 브라질 한인이주의 역사와 코리아타운의 특성 고찰. 인문사회21, 7.
  15. 최인진 (2003). 해방 초기의 사진잡지 연구: 「국제보도」와 「사진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 10.
  16. Mary Lynn Ritzenthaler & Diane Vogt-o'connor & Helena Zinkham & Brett Carnell & Kit Peterson (2006). Photographs: Archival Care And Management.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7. 김려실, 김경숙, 손남훈, 이시성 (2020).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서울: 역락.
  18. 박주석 (2021). 한국사진사. 파주: 문학동네.
  19. 사상계연구팀 (2012).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 서울: 소명.
  20. 설문원 (2021). 기록학의 지평. 서울: 조은글터.
  21. 이상록 (2021).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사상계. 서울: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2. 장준하선생추모문집간행위원회 (1995). 민족혼.민주혼.자유혼: 장준하의 생애와 사상. 서울: 나남.
  23. 정진석 (2014). 한국 잡지 역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전자책).
  24. 한국일보30년사편찬위원회 (1984). 한국일보30년사. 서울: 한국일보.
  25. 구글 도서 「라이프 」 디지털 원문 제공. 출처: https://books.google.co.kr/ 검색일자: 2023년 12월 8일.
  26. 국회도서관. 출처: https://www.nanet.go.kr/main.do
  27. 권혁용 (2023. 1. 6.). 건설로 읽는 현대사(33) 완공에 14년 걸린 울릉도 저동항. 대한경제. 출처: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310051436524800624 검색일자: 2023년 12 월 3일.
  28.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출처: https://newslibrary.naver.com
  29. 「연합뉴스」 경북 울릉군 울릉읍 저동항 전경. (2023.5.15.). 출처: https://www.yna.co.kr/view/PYH20230515185600053 검색일자: 2023년 11월 7일.
  30.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출처: http://www.grandculture.net/ulleung/toc/GC01500236 검색일자: 2023년 12월 8일.
  31. SBS 특집 다큐멘터리, 4.19혁명 50주년 특집다큐 4월의 기억(2부), (2010.4.19.방영). https://programs.sbs.co.kr/culture/sbsdocum/clip/0/22000063497 검색일자: 2023년 12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