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대기록유산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ystematic Bibliographic Study on Uigwe Banchado Digitization and Modern Application (의궤 반차도 디지털화의 체계서지학적 연구와 현대적 활용)

  • Kim, D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33-37
    • /
    • 2018
  • 본 연구는 반차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반차도란 의궤 안에 담긴 그림으로 왕실의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하나의 본보기로 삼아 기록해놓고 예법에 맞게 이를 따르고자 왕실의 각종의식과 행사의 전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왕조의궤는 세계기록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록유산들의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이 여러 곳이고 각각 세부 분류 방식이나 열람 형식 등이 달라 이용자들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기록유산들 중 의궤 반차도를 주제로 디지털화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반차도 디지털화의 장점은 일반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문화 콘텐츠의 개발, 재생산을 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료를 보존하는 것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활발한 접근과 활용을 유도하여 또 다른 가치를 창조해낼 수 있고 동시에 역사를 후대에 잘 전승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반차도의 주요 소장처들이 진행한 반차도 디지털화의 현황을 알아보고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이용자 중심의 비교를 통해 현황과 개선할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Cooperation Between Mongolian and Korean Archives (몽골과 한국의 기록관리협력)

  • Batjargal., D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5
    • /
    • pp.209-216
    • /
    • 2013
  • 2002년 한국의 국가기록원과 몽골국가기록원 간에 협력협정이 체결된 후 10년간 수많은 협력활동이 있었다. 다수 몽골국가기록원 직원이 한국에서 직무연수를 받았으며 2006년과 2007년에 한국국가기록원, UNESCO 등과 공동으로 기록유산보존을 위한 기술적 협력활동이 수행되었다. 이 학술회의에서는 한국의 기록물의 물리적 보존 기술이 소개되었다. 또한 몽골국가기록원 소장 한국관련 기록의 번역 사업이 추진되었다. 2008년에는 새로운 국가기록보존서고를 건축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자문을 받았다. 2010년 이후에도 한국-몽골 간에 기록전문가 훈련 파견 및 교류활동이 지속되었다. 몽골정부는 서고 신축에 이어 현대적인 정보기술에 의한 기록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The Historic Value of Photographic Records in the News and Culture Magazine 'Sasanggye' (시사교양잡지 『사상계』의 사진기록물과 기록학적 가치)

  • Jung, Eun Ah;Park, Ju Seo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9
    • /
    • pp.471-513
    • /
    • 2024
  • The monthly news and culture magazine, 'Sasanggye,' established by Jang Jun-ha from 1953 to 1970, served as a platform for government criticism and intellectual representation. The magazine created photographic-essays covering a variety of topics and utilized images as a visually impactful tool with news value.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hotographic-essays within 'Sasanggye' as archival records, shedding light on their intrinsic value. Before delving into this assessment, the paper thoroughly explores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photographic-essays. And based on the content divisions within the main text, the paper categorized the themes captured in the photographic essays into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and miscellaneous topics. It then introduced representative photographicessays. From an archival perspective, looking at photographs involves elucidating that photographs carry meanings beyond mere data.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serve as photographic records providing evidence of 1960s Korean society and encapsulating crucial visu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hold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Korean magazine documentary photography. The photo-essays in 'Sasanggye' carry worth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encompass evidential and informational values as photographic records.

Development of Virtual 3D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Culture Archetype of BanChaDo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 개발)

  • Kim, Hye-Weon;Kim, Eun-Ji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7-3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료 검증을 바탕으로 반차도의 문화원형(文和元型, Culture Archetype) 가상복원을 통한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반차도란 의궤에 담긴, 조선 시대 왕실의 행차를 그린 그림을 의미한다. 조선의 왕실문화를 활용한 궁궐콘텐츠는 한국 고유의 것이며,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반차도를 활용한다면 국민의 전통문화 향유를 증대시킬 수 있다. 현대에서는 재현행사를 통해 왕실의 행차를 재현하고 있지만, 실내에서는 재현하기 어려워 왕실 행차에 대한 문화유산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닷컴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반차도 관련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반차도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심도 있는 반차도 학습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료 고증 메타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문화원형 가상복원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문화원형 가상복원을 위한 3D 증강현실 콘텐츠의 활용 가능 모습을 살펴보고, 기록유산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제안하다.

  • PDF

Cooperation Research Plan in the Historical Astronom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남북한 전통천문학 협력 방안 연구)

  • Yang, Hong-Jin;Yim, Ins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7.1-57.1
    • /
    • 2016
  • 전통천문학은 우리 역사에 남아 있는 대표적 과학자산이며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에는 역사시대 이전부터 조선시대까지 고대 별자리 그림을 비롯해 천문관측기록과 천문대 등 다양한 천문자산이 전해지고 있다. 오랜 시간 여러 전란과 일제 강점시기를 거치며 많은 자료가 소실되었지만 한반도의 남과북에는 여전히 많이 천문유산이 남아 있다. 천문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남북한 천문학자들이 전통천문학을 함께 연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남북한의 전통천문학분야 협력 방안에 대한 기획연구를 진행 중이다. 북한 천문학자들은 지난 2012년 IAU GA를 기점으로 다시 국제 학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 IAU GA에서는 전통천문 분야를 비롯해 두 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남북한 공동 연구를 위해서는 북한의 전통천문학 연구와 국제 학술교류 현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표에서는 지금까지 조사한 북한의 전통천문 연구 현황과 대외 학술교류 현황에 대해 보고하고 향후 남북한 공동연구를 위한 방법과 연구 주제에 대해서 발표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history of astronomy and the role of astronomer

  • Lee, Yong B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37.3-38
    • /
    • 2017
  • 우리나라의 천문 관측의 기록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에는 천문 현상을 바위나 건축 유물에 기록을 남기고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일반 역사 기록 속에 항상 함께 기록하고 있다. 특히 동양은 역사기록 자체가 인간이 남긴 자취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에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 현상도 함께 동시에 남겼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하늘과 땅과 항상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일식, 혜성 출현, 별똥과 유성우, 달과 행성 운행, 초신성 관측 등 250회 이상의 천문 기록이 나타나며 대부분 실제로 일어났던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그 후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천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천문 기록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중국으로부터 역법을 도입하여 천체 운행을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시각법을 사용하고 달력을 제작하였다. 특히 달과 태양의 운행 원리를 파악하여 일식과 월식을 직접 추산하였다. 역법의 운용은 천체 운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천문 관측과 정확한 시각 체계를 유지하고 정밀한 역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천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천문 의기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의 운행을 이용하여 시각 체계를 유지 관리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기이다. 우리나라 천문학 발달의 네 가지 축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등은 조선 초기 세종시대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는 단일 왕조가 이룬 업적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볼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과학 기술의 유산이다. 특히 칠정산내편과 외편의 완성은 중국의 역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역법을 완성하려는 시도였다. 이 모든 것은 당시 이를 주도하던 세종대왕의 지도력과 천문학과 수학에 뛰어난 천문학자가 이룩한 업적이다. 그 후 조선 중기로 접어들면서 쇠퇴하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거의 모든 과학기술의 유산이 파괴되거나 유실되었다. 조선 현종 이후에 세종시대의 유산을 복원하려는 노력 중에 중국을 통하여 서양의 천문학을 도입하게 되었다. 중국에 들어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역법 체계를 바꾸었다. 즉, 일식과 월식의 예측력이 뛰어난 시헌력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헌력에는 서양의 대수학과 기하학을 이용한 다양한 수학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 시헌력을 익히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을 접하게 되고 새로운 우주 체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특히 서양의 천문도와 지도 제작에 기하학의 투사법이 사용되어 복잡한 대수학적 계산을 단순화시켜 활용하였다. 조선 후기에 전문 수학자뿐만 아니라 많은 유학자들도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다. 고천문학 전체를 조망해 볼 때 핵심은 현대의 천체물리학이 아니라 위치천문학이다. 따라서 고천문학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현상과 세차운동에 의한 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구면천문학과 천체역학에 대한 원리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접근해야 한다. 고천문학의 중심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 등의 내용은 이러한 위치천문학이 그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고려사의 천문 현상을 모아 놓은 천문지(天文志)와 일식과 월식 계산 원리가 들어있는 역지(曆志)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위치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는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고천문을 연구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점이 위치 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 접근하는 것이다. 심지어 조선시대 유학자들조차 저술한 많은 천문 관련 기록을 보면 상당부분 천체 운행 원리를 모르고 혼란스럽게 기록된 내용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 수학사를 연구할 경우 방정식 해법, 보간법, 삼각법, 일반 기하 원리에 대한 것을 연구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천문 현상이나 천문 의기 제작에 사용되는 수학은 천문 현상에 대한 원리를 모르면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수학사를 하더라고 기본적인 위치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폭 넓은 수학사 연구에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의외로 천문 현상 추산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이나 기하학 원리가 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구나 한문으로 기록된 천문 내용을 한문 해독이 능숙한 학자라 하더라도 내용을 모르고 번역하면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문으로 된 천문 현상 기록이나 역법 관련 기록의 번역 내용 중에 많은 오역을 발견하게 된다. 문제는 한번 오역을 해 놓으면 몇 십 년이고 그대로 그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게 되고 사실로서 인정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남긴 고천문 관련 기록에 관한 이해는 우리 현대 천문학자의 역할이 대단히 크다.

  • PDF

Conservation of Wooden Furniture in Presidential Archive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소장 목가구 보존처리)

  • Lee, Kwang-Hee;Park, Jung-Hae;Kim, Su-Chu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245-251
    • /
    • 2019
  • In this paper,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es for the wooden furniture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are introduced. Conservation treatment strategies for modern wooden cultural heritage have been increasingly studied. The current study uses materials similar to those used by the existing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 Material analysis showed that the chair(Lee136-2) and desk(Yun37)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are made of Dipterocarpaceae, and both are coated with two layers of varnishing. FT-IR analysis showed that the varnish has a similar spectrum to that of a nitrocellulose-based lacquer(Lee136-2) and top coat(Yun37) and confirmed that a synthetic material was used. Pollutants had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wooden furniture and it was also in structurally unstable condition because of cracks and damage to the varnish and wood. Therefore, a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restore the damaged areas to their original appearance using similar kinds of materials, based on data obtained by materials analysi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 Records Management System (사찰기록 관리 체계화 방안 연구)

  • Park, Sung-Su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6
    • /
    • pp.33-62
    • /
    • 2010
  •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Korea Peninsula 1600 years ago, and now there are over 10 million believers in Korea.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emple Records has a spiritual and cultural value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is study proposes a better management system of Buddhist temple records for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system Not only supports transparency of religious affairs, but presents a way for a more effective management. in this study, I conducted a study on the national legisl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buddhist temples and the local rules of religious affairs from the Jogye Order. Through this, I analyzed the problems of Buddhist records management. in the long term, to improve these problems, I purpose the establishment of temple archives be maintained by parish head offices. This study presents a retention schedule for this systematic establishment system. I present charts for the standard Buddhist records management that manage the total process systematically from the production of records to its discard. Also I present a general plan to prevent random defamation of Buddhist temple documents and impose a duty for preservation. I intend for this plan to be subject to discussion and tailored to the particular needs of temple reads. In creating these charts standard of Buddhist temple records management, I analyzed operating examples of foreign religious institutions and examined their retention periods. I also examined the retention periods and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Jogye Order. Then I presented ways for this management system to operate through computer program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large scale management system to arrange the records of buddhist documents. We must enforce the duty of conserving records through the proposed management system. We need the system to manage even the local parish temple records through the proposed management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archive system. This study presents research to from the basic of the preservation and the passing of traditional records to future generations. I also discovered the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value that these records contain. Systematically confirmed Buddhist temple records management will pave the way that thes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cords handed down from history can be the cultural heritages. establishing a temple records management system will pave the way for these cultural records to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s cultural heritages.

The Case Study on a Documentation of Mega Sports Event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

  • Cheon, Ho Ju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2
    • /
    • pp.37-7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veloped case of archiving on Mega Sport Event for searching effective method on a documentation of Mega Sport Ev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ing about book, thesis and data of internet homepage for exploring the stage on Mega Sports Event and case of Mega Sports Event record managemen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about institute related to Olympic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analysing Mega Sports Event record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ly, 2012London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The People's Record Project) is useful to ex-ante event phase. Secondly, 2000Sydney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Olympic Game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is useful to event operation phase. Thirdly. LA84Foundation's case(Olympic Oral History Project) is useful to ex-post ev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 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ree case for documentation about Mega Sports Event.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eful to Mega Sports Event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more, it will be conducted to study law of Mega Sport Event record management, humane and Material resource and method related to record management of the Mega Sports Event organizing committee.

A Comparative Analysis on Mountain Enjoyment Culture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in Korea - Targeting the Major Famous Mountains in Gyeongsangbuk-do - (조선시대와 현대의 산 향유 양상 고찰 및 발전 방향 모색 - 경북 선비문화권 주요 명산(名山)을 대상으로 -)

  • Park, Ji-eun;Yang, Yoo-sun;Hamm, Yeon-su;Lee, Na-Hee;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6
    • /
    • pp.64-79
    • /
    • 2021
  • In Korea, mountains constitute 60 percent of the total land area. For a long time, mountains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people's daily lives, acting as a significant layer of culture. For those reas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shed light on the values of the mountain culture of Korea and seek various ways to utilize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s mountain enjoyment culture, considering the mountain leis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heritage of mountain enjoying culture was prevalent, and that of the present era. For the analysis, hiking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present-day hiking blog posts related to three famous mountains in Korea were examined. Findings show that people stayed in the mountains for a long time in the Joseon Dynasty, concentrating on the landscape deeply, and various academic and artistic cultures flourished there. In contrast, contemporary people regard the mountain merely as a space to access the peak and climb down quickly within a day. Therefore, the landscape of the mountain cannot be used as a cultural asset beyond natural scenery. However, there are several positive aspects to today's climbing culture. For example,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climbing and feasible ways to conduct various sizes and concepts of hik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In order to develop Korea's unique mountain enjoyment culture in the future, we should propose a 'leisurely hike' that allows people to enjoy the mountain scenery fully and sublimating it into culture, rather than being hiking that is limited to climbing.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suitable spaces, arranging them appropriately to utilize the history and humanities context of the mountain, and connect local facilities and the workforce, thereby caus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untain enjoyment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