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agnosing Regional Imbalances and Implications for Balanced Development: A Case Study of Sejong City

지역내 불균형 진단과 균형발전에 대한 함의: 세종시를 중심으로

  • Jaeun Lee ;
  • Pilju Joo ;
  • Yangho Song
  • 이자은 (대전세종연구원 세종연구실) ;
  • 주필주 (경찰대학) ;
  • 송양호 (대전세종연구원 세종연구실)
  • Received : 2024.07.29
  • Accepted : 2024.10.11
  • Published : 2024.12.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balanced development by tracking the levels and patterns of regional balance within Sejong City. It explores how the notion of balanced development has evolved in South Korea, reviews its interpretation in key international contexts, and develops indicators to diagnose and analyse regional imbalances in Sejong City. At the city's inception in 2012, the indicators were concentrated in Type 1 (balanced with favourable conditions of inequality and polarization), reflecting an overall state of balance. However, by 2019, the indicators exhibited a gradual upward trend with noticeable disparities, indicating a shift toward an imbalanced state characterised by inequality and polarization. By 2023, the indicators revealed a steep upward trajectory, suggesting the persistence of imbalances, though with a partial alleviation of polariz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wo key implications: 1. The interpretation of regional balance and imbalance must account for historical and contextual shifts reflected in indicator analyses. 2.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stablish a localised framework for balanced development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세종시 지역 내 균형발전 수준과 변화 양상을 추적함으로써 균형발전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균형발전의 개념과 국내에서 균형발전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균형발전을 정책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고, 세종시를 사례로 지표를 개발하여 지역의 불균형 정도를 진단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2년 출범 당시에는 유형1(불균형 및 양극화 양호)에 지표가 밀집되어 나타나며, 균형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9년 지표들은 평탄하게 우상향하면서 격차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불평등과 양극화가 발생하는 불균형 상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2023년 지표의 경우 방향이 가파르게 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균형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나 다만 양극화가 일부 완화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지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내 균형과 불균형의 변화를 해석함에 있어 시대적 특성과 흐름을 반영해야 하며, 두 번째는 지역 특성에 맞는 균형발전의 개념 정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정수(2022.10.24), "'균형발전' 모범국 프랑스, 대통령.총리.장관 머리 맞대 정책 결정", 한겨례.
  2. 김수진.차미숙.이혜민(2023), 「프랑스 균형발전의 가치 변화와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No.934, 세종: 국토연구원.
  3. 김용웅.차미숙.강현수(2015), 「新지역발전론」, 파주: 한울 아카데미.
  4. 김현호(2019), 「포용적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구상」,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5. 김현호.김도형(2017), 「지방분권형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설계」,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6.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2024), 「영국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 현황 및 전망」, 런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영국사무소.
  7. 송우경(2023),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법 제정 의미와 주요 내용", 「월간 KIET 산업경제」, 298: 7~16.
  8. 양원탁.이소영.김도형.김민영.김진언.김나현(2023),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중장기 방안 연구」,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9. 이소영.김현호.박진경.이제연.김상민.최민정(2021), 「신균형발전정책 구상 및 개편방안」,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0. 이원종.이원종.김선기.김현호.남윤우.박경숙.박인성.배준구.설경원.이무용.이원섭.정종석.주성재.차미숙.최상철(2015), 「지역발전정책론」, 서울: 율곡출판사.
  11. 이향미.최봉문.김종하(2023), "인구감소의 인구유입을 위한 정책수요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 14(2): 73~82
  12. 전봉경(2022), "영국형 균형발전 정책: 지역 상향평준화를 위한 레벨링업(Levelling Up) 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국토이슈리포트」 64: 1~12.
  13. 차미숙.조은주.곽윤신.전봉경.송우경.최희선.이상대.이동우.남윤우.이수진(2022), 「국가균형발전 3.0 패러다임 구축과 실천전략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14. 한상훈(2022), "지역균형발전의 의미와 성공 요인: 지방이 살아야 거점이 산다", 「Urban Planners」 1월호: 35~38.
  15. Open Architecture Data, "Building Register", Accessed July 20, 2024. https://open.eais.go.kr/opnsvc/opnSvcInqireView.do?viewType=7.
  16. KOSIS, "Resident Egistration Population", Accessed July 24, 2024a.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05N&vw_cd=MT_ZTITLE&list_id=A_7&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17. KOSIS, "National Business Survey", Accessed July 24, 2024b.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INH_1K52D01_29&vw_cd=MT_ZTITLE&list_id=208_20801_A_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1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Accessed June 15, 2024. 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818&pDataCD=0417000000&pType=02.
  19. Sejong Statistics Portal, "Local Taxes, Water Supply and Sewage Supply Rate, Number of Parking Lots, Number of Children's Facilities, Area of Cultural Facilities, Number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Number of Hospital Beds", Accessed July 20, 2024. https://www.sejong.go.kr/stat/stats/form.do?key=1910168795224#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