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tural Monument Cretaceous Stromatolite at the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Occurrences, Natural Heritage Values, and Plan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천연기념물 경산 대구가톨릭대학교 백악기 스트로마톨라이트: 산상, 자연유산적 가치 및 보존·활용 방안

  • KONG Dal-Yo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LEE Seong-Joo (School of Earth System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공달용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서해문화재과) ;
  • 이성주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 Received : 2023.06.06
  • Accepted : 2023.08.18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Stromatolite at the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wa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in December 2009 because it was very excellent in terms of rarity, accessibility, preservation and scale. From the time of designation, the necessity of confirming the lateral extension of the stromatolite beds with the excavation of the surrounding area, and preparing a preservation plan was raised. According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scale, production pattern, and weathering state of stromatolites with an excavation from April to December 2022, and based on this, suggested natural heritage values and conservation and use plans. The excavation was carried out in a 1,186m2 area surrounding the exposed hemispherical stromatolite (approximately 30m2). Stromatolites are continuous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excavation area, and hemispherical stromatolites predominate in the eastern region, and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hemispherical domes tend to decrease toward the west. These characteristic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long-term growth in large-scale lakes, where stratiform or small columnar domes continued to grow and connect with each other, finally forming large domes. Consequently, large and small domes were distributed on the bedding plane in clusters like coral reefs. The growth of plants and lichens, as well as small-scale faults and joints developed on the stromatolite bedding surface, is the main cause of accelerated weathering. However, preservation treatment with chemicals as with dinosaur footprints or dinosaur egg fossil sites is not suita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omatolites, and preservation with the installation of closed protection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his excavation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size and value of stromatolites are much larger and higher than at the time of designation as a natural monument. Therefore, additional excavation of areas by experts that could not be excavated due to the discovery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stone chamber tombs) and reexamination of the expansion designation of natural monuments are required.

천연기념물 '경산 대구가톨릭대학교 백악기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희소성, 접근성, 보존성 및 규모면에서 매우 우수하여 2009년 12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지정 당시부터 주변 지역의 발굴을 통한 연장선 확인과 그에 따른 보존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문화재청은 2022년 4월부터 12월까지 화석산지 발굴을 통한 산출양상, 퇴적층 특성, 풍화 상태 등의 조사를 실시하여 자연유산적 가치 및 보존·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정면적(762m2) 중 노출되어 있는 반구형 스트로마톨라이트(약 30m2)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 1,186m2를 발굴한 결과, 기존 스트로마톨라이트 층준을 따라 전체 면적에 걸쳐 연속적으로 분포하며 반구형 스트로마톨라이트들은 동쪽 지역에서 우세하고 서쪽으로 갈수록 반구형 돔의 분포와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판상형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동쪽 지역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서쪽 지역에서만 관찰된다. 이러한 특징은 규모가 있는 호수에서 장기간 성장한 결과로, 판상형 또는 작은 주상형 돔들이 성장을 지속하며 연결되어 커다란 돔으로 성장하고, 이러한 돔들이 층리면에 마치 산호초와 같은 군집을 이루며 분포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스트로마톨라이트 층리면에 발달한 소규면 단층과 절리들, 식물 및 지의류의 성장은 풍화를 가속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나 공룡 발자국이나 공룡알화석산지에서 진행되는 화학 약품에 의한 보존처리는 스트로마톨라이트 특성상 맞지 않는 방법이며 폐쇄형 보호시설의 설치를 통한 보존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번 발굴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분포, 규모 및 가치는 기존 천연기념물의 지정 당시보다 훨씬 더 크고 높아졌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매장 문화재(석실묘)의 발견으로 발굴하지 못한 지역의 전문가에 의한 추가 발굴과 천연기념물의 확대지정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철.백인성, 2013, 「경상분지 지층들의 지질시대에 관한 고찰」, 「지질학회지」 49(1), pp.17~29.
  2. 공달용.이성주, 2009, 「천연기념물 제413호 영월 문곡리 스트로마톨라이트에 대한 고찰」, 「지질학회지」 45(6), pp.711~723.
  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8, 「천연기념물 제512호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손상도 평가 및 비파괴 정밀진단 학술용역 연구보고서」, p.173.
  4. 김보영, 2004, 「대구광역시 신천하상의 백악기 반야월층에서 산출되는 공룡발자국」, 「경북대학교 교육석사 학위논문」, p.53.
  5. 김영기, 1976, 「반야월층의 지하수운동에 관한 연구」, 「광상지질」 9, pp.225~240.
  6. 김찬수.박계헌.백인성, 2005, 「백악기 신라역암 내 화산암력의 40Ar/39Ar 연대 및 하양층군의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 「암석학회지」 14(1), pp.38~44.
  7. 박정규, 2021, 「경북 경산시 하양읍에 분포하는 백악기 함안층과 반야월층의 생흔화석층: 산상, 생흔화석상 및 고환경적 의미」, 「부경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p.60.
  8. 백인성.김현주.박정규.김영석, 2023, 「경상분지 남부의 밀양소분지 호성퇴적층: 산상과 층서적 변화 및 고환경적 의미」, 「지질학회지」 59(1), pp.131~157. https://doi.org/10.14770/jgsk.2023.003
  9. 이광춘, 1992, 「백악기 경상분지 내 반야월층, 화산층 및 신양동층에서 산출되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탄사염암의 속성작용」, 「고려대학교이학박사 학위논문」, p.124.
  10. 윤성효, 1998, 「유천화산암 분포지 북부 백악기 채약산화산암의 암석화학 및 스트론듐 동위원소비 조성」, 「지질학회지」 34(3), pp.161~171. https://doi.org/10.3406/licla.1998.1366
  11. 이봉진, 2007, 「경상북도 하양지역의 반야월층에서 산출되는 스트로마톨라이트」, 「경북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p.53.
  12. 이성주.공달용, 2004, 「경상남도 남해지역에서의 진주층에 분포하는 막대기형 스트로마톨라이트」, 「지질학회지」 40(1), pp.13~26.
  13. 이성주.김정률.이광춘, 2003, 「한국 소청도의 선캄브리아 지층에 나타나는 박테리아 화석」, 「지질학회지」 39(2), pp.171~182.
  14. 좌용주.이용일, Yuji Orihashi, 2004, 「구산동 응회암과 진동 화강암에서 산출되는 저콘에 대한 U-Pb 연대와 진동층 퇴적시기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p.73.
  15. 한승희, 2017, 「경산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보존과 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pp.366~375. https://doi.org/10.26863/JKARG.2017.05.23.2.366
  16. Blatt, H., Middleton, G. and Murray, R., 1980, Origin of sedimentary rocks(2nd ed.),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pp.245~246.
  17. Brasier, M.D., Green, O.R. Jephcoat, A.P., Kleppe, A.K., Van Kranendonk, M.J., Lindsay, J.F., Steele, A. and Grassineau, N.V., 2002, Questioning the evidence for Earth's oldest fossils. Nature, 416, pp.76~81. https://doi.org/10.1038/416076a
  18. Chang, K.H., 1975,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st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 pp.1~23.
  19. Escapa, I. and Leslie, A., 2017, A new Cheirolepodiaceae(Coniferales) from the Early Jurassic of Patagonia(Argentina): Reconciling the records of impression and premineralized fossils, American Journal of Botany, 104, pp.322~334. https://doi.org/10.3732/ajb.1600321
  20. Golubic, S., 1976, Organisms that build stromatolites. In: Walter, M.R.(ed), Stromatolites, Elservier, Amsterdam, pp.113~148.
  21. Grotzinger, J.P. and Knoll, A.H., 1999, Stromatolites in precambrian carbonates.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27, pp.313~358. https://doi.org/10.1146/annurev.earth.27.1.313
  22. Hoffman, P., 1976, Stromatolite morphogenesis in Shark Bay, Western Australlia. In: Walter, M.R.(ed.), Stromatolites. Elsevier, Amsterdam, pp.261~271.
  23. Hofmann, H.J., 1976, Stromatoid morphometrics. In: Walter(ed.), Stromatolites. Elsevier, Amsterdam, pp.45~54.
  24. Jwa, Y.J., Lee, Y.L. and Orhashi, Y., 2009, Eruption age of the Kusandong Tuff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Korea. Geosciences Journal 13(3), pp.265~273 https://doi.org/10.1007/s12303-009-0026-0
  25. Kong, D.Y. and Lee, S.J., 2014, Significance of "Pre-study Post-designation"strategy in natural monument designation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geologic heritag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5), pp.324~332. https://doi.org/10.5467/JKESS.2014.35.5.324
  26. Kong, D.Y. and Lee, S.J., 2013, Possibility for Heliotropism from Inclined Columns of Stromatolites, Socheong Island,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5), pp.381~392. https://doi.org/10.5467/JKESS.2013.34.5.381
  27. Lee, K.C., Woo, K.S., Paik, K.H. and Choi, S.J., 1991,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tic history of the Panyaweol, and Shinyangdong formations, Kywongsang Supergroup, Korea-with emphasis on carbonate roc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pp.471~492.
  28. Lee, Y.N., 2003, Dinosaur bones and eggs in South Korea. Memoir of the Fukui Prefectural Dinosaur Museum, 2, pp.113~121.
  29. Nehza, O., Woo, K.S. and Lee, K.C., 2009, Combined textural and stable isotopic data as proxies for the mid- Cretaceous paleoclimate: a case study of lacustrine stromatolites in the Gyeongsang Basin, SE Korea, Sedimentary Geology, 214, pp.85~99. https://doi.org/10.1016/j.sedgeo.2008.03.012
  30. Park, J.G., Paik, I.S. and Kim, H.J., 2017, A Preliminary study on the occurrences and paleoenvironments of ichnofacies in the Daegu and the Banyawol formations, Gyeongsan city, 2017 Annual Fall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s(Abstracts), Jeju, October 25-28, p.423(in Korean).
  31. Schof, 1993, Microfossils of the Early Archean Apex Chert-new evidence of the antiquity of life. Science, 260, pp.640~646. https://doi.org/10.1126/science.260.5108.640
  32. Semikhatov, M.A., Gebelein, G.D., Cloud, P., Awramik, S.M. and Benmore, W.C., 1979, Stromatolite morphogenesis-progress and problem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eince, 16, pp.992~1015. https://doi.org/10.1139/e79-088
  33. Seong-Joo, L., Browne, K. and Golubic, S., 2000, On stromatolite lamination. In: Riding, R. and Awramik, A.(eds.), Microbial Sediments. Springer-Verlag, Berlin, pp.16~24.
  34. Tateiwa, I., 1929, Geological Atlas of Chosen, Waegwan, Daegu, Yeongcheon, Gyeongju and Joyang Sheets, Geological Survey of Chosen.
  35. Um, S.H., Choi, H.I., Son, J.D., Oh, J.H., Kwak, Y.H., Shin, S.C. and Yun, H.S., 1983,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Gyeongsang Basin, KIER Bulletin, 36, p.124.(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