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New Year's Rites During January in Korea, China, and Japan

한·중·일 정월 세시의례의 종교적 성격과 구조

  • Received : 2023.07.07
  • Accepted : 2023.10.24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New years' rites serve a religious function to wish for well-being during the year by bidding farewell to the previous year and welcoming the next. In Japan, in mid-December, to welcome Toshigami, kadomatsu, and shimenawagazari are prepared, as well as osechi ryori to be eate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On New Year's Day, people go to shrines and bow to the gods while saying Hatsumode (初詣).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month, in the course of a rite called Dondoyaki, all the decorations used in the first month and the amulet used in the previous year are burned. In Korea, when the Lunar New Year approaches, people prepare for their ancestral rites and clean their houses. On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people hold ancestral rites for their ancestors. There are many different seasonal rites, taking place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to the full moon. In China, Danwonban (團圓飯), in which the whole family sits together and eats on New Year's Eve, is important. Lights are brightly lit up all night, and the sound of firecrackers outside rings out loudly. On the door, the word chun-ryun is attached to wish for prosperity in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cycle of the four seasons, the first lunar month contains a high proportion of the seasonal rites that are repeated every year. The first month represents the beginning of a year, and various rituals are performed in order to wish for good health and abundance during the coming year. In addition, the "folk religious world view" is integral to annual new years' rites, so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ligious character and structure of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nnual ceremonie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annual new years' rite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how the rites a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inflection points in the year. In addition, religious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in terms of gods, predictions, and fertility prayers, exorcisms, health, and restoration.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various religious elements such as shamanism, agricultural faith, ancestor worship, Shintoism, Tao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can be witnessed in the annual new years' rit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addition,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se are shown to depend on the country.

정월 세시의례는 지난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여 그해의 안녕을 비는 종교적 기능을 수행한다. 일본에서는 12월 중순이 되면 도시가미를 맞이하기 위한 가도마츠(門松)와 시메나와가자리(しめなわ飾り), 정초에 먹을 오세치요리를 준비한다. 새해가 열리면 신사에 가서 하쓰모데(初詣)를 한다. 정월 보름에는 돈도야키를 하여 정월에 사용한 장식물과 지난해에 사용한 부적이나 액막이 물건을 전부 태워 보낸다. 한국에서도 설이 다가오면 차례준비를 하고 섣달그믐에는 집안을 깨끗이 하고 가까이 사는 어른들에게는 감사의 뜻으로 묵은세배를 드린다. 새해 첫날 차례를 지내며 정초에서 보름까지 지신밟기, 달집태우기 등 많은 세시의례가 있다. 중국에서는 제야에 온 가족이 둘러앉아서 먹는 단원반(團圓飯)이 중요하다. 환하게 불을 밝히며 밤을 새며(守歲), 문밖에서는 폭죽소리가 요란하다. 문에는 춘련을 붙이며 새해에는 번창하기를 기원한다. 중국에서는 정월 초하루에 폭죽을 터뜨리며 요란하게 보내지만 한국과 일본은 대보름에 달집태우기와 돈도야끼를 시끌벅적하게 한다. 사계절의 순환에 따른 생업과 제의력에 기초하여 매년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세시의례에서 정월은 비중이 높다. 정월은 1년의 시작으로 그해의 안녕과 풍요를 염원하는 갖가지 의례가 행해진다. 또한 정월 세시의례에는 민간신앙적 세계관이 잘 내포되어 있어 한·중·일 세시의례에 내포된 종교적 성격과 구조를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다. 본 연구는 한·중·일 정월 세시의례의 현황과 정월 속에서도 어떤 변곡점에 맞물려 세시의례가 구조화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신, 예축과 풍요의 기원, 액막이와 축귀, 건강과 복 기원의 측면에서 종교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한·중·일 3국의 정월 세시의례에는 샤머니즘과 농경신앙, 조상숭배, 신도, 도교, 유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이 보이며 유무(有無)나 정도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NRF-2022S1A5B5A17047490).

References

  1. 국립민속박물관, 2002, 「한국 고.중세 세시풍속 자료 집대성」.
  2.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삼국.고려시대편)」.
  3.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신문.잡지편)」.
  4. 국립민속박물관, 2004,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조선전기문집편)」.
  5. 국립민속박물관, 1997, 「한국의 세시풍속I」.
  6. 국립민속박물관, 1997, 「한국의 세시풍속II」.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경기도 세시풍속」.
  8. 김덕묵, 2011, 「민속종교 연구방법론」, 한국민속기록보존소.
  9. 김덕묵, 2021, 「일본의 가정에서 모시는 신 연구 - 시즈오카현 우쓰노야 마을을 중심으로 」, 「문화재」 55(4), 국립문화재연구원.
  10. 김매순, 1819, 「洌陽歲時記」.
  11. 김성원, 1994, 「韓國의 歲時風俗」, 명문당.
  12. 김택규, 1991, 「韓國農耕歲時의 硏究」, 영남대출판부.
  13. 노성환, 2019, 「조선통신사가 본 일본의 세시민속」, 민속원.
  14. 유득공, 1779, 「京都雜誌」.
  15. 임동권, 1993, 「韓國歲時風俗硏究」, 집문당.
  16. 정승모 역, 2009, 「동국세시기」, 풀빛.
  17. 최남선, 이영화 역, 2013, 「조선상식문답」, 경인문화사.
  18. 최상수, 1999, 「歲時風俗」, 서문당.
  19. 최인학 외, 1998, 「기층문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상상체계(하)」, 민속원.
  20. 홍석모, 1849, 「東國歲時記」.
  21. 大林太良, 1992, 「正月の來た道」, 小學館.
  22. 藤原修, 1994, 「トシガミの性格について」, 「民俗の歷史的世界」, 岩田書院.
  23. 富山 昭, 1992, 「靜岡縣 民俗歲時記」, 靜岡新聞社.
  24. 三橋 健, 2021, 「神道の本」, 西東社.
  25. 小川直之, 1992, 「年中行事硏究の方向」, 「日本民俗學」190, 日本民俗學會.
  26. 新谷尙紀, 2007, 「日本人なら知っておきたい暮らしの歲時記」, 宝島社.
  27. 柳田國男, 1946, 「祭日考」, 小川書店.
  28. 井阪康二, 1998, 「日本民俗學の硏究動向II, 時間の民俗」, 「日本民俗學」214, 日本民俗學會.
  29. 竹田 旦, 2008.10, 「日韓比較民俗學の試み-淸明と寒食をめぐって」, 「專修大學社會科學硏究, 所月報」 544.
  30. 高占祥, 1993, 「中國民族節日大全」, 知識出版社.
  31. 蒯大申.祁紅, 박현규 역, 1999, 「중국민속학」, 백산자료원.
  32. 喬繼堂, 1991, 「中國歲時風俗」, 天津人民出版社.
  33. 丘桓興, 남종진 역, 2002, 「중국풍속기행」, 프리미엄북스.
  34. 국립민속박물관, 2006, 「중국대세시기」.
  35. 陶立璠, 김종직 역, 1997, 「중국민속학의 이해」, 집문당.
  36. 田建華.向良喜, 2012, 「中華民俗全知道」, 中國紡織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