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Microscale Behaviors and Precision Measurement Monitoring for the Five-story and Seven-story Stone Pagodas from Cheongnyangsaji Temple Site in Gongju, Korea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및 칠층석탑의 정밀 계측모니터링과 미세거동 해석

  • LEE Jeongeun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ok Ta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정은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박석태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3.08.04
  • Accepted : 2023.10.26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e five-story and seven-story stone pagodas at Cheongnyangsaji temple site in Gongju are located under the Sambulbong peak of Gyeryongsan mountain, and are known to have been built of the middle in Goryeo dynasty. As the two pagodas in which two types of Baekje stone pagoda coexist in one era, their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are recognized. The seven-story pagoda was overturned by robbery in 1944, and as a result, the five-story pagoda was tilted. Although the two pagodas were restored in 1961, structural instability was continuously raised. In this study, measurement data accumulated from May 2021 to March 2022,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the micro behavior of pagoda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uring the same period. As a result, the micro thermoelastic behavior was repeated according to the daily temperature change in all sensors, and both the slope and the displacement showed microscale behavior. In the inclinometer, moisture containing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stones repeated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showing the micro movements. In particular, the upper part of the five-story pagoda moved up to 3.89° to the northwest, and the seven-story pagoda tilted up to 0.078° to the northeast. The maximum displacements were recorded as 0.127 and 0.149 mm in the five-story and the seven-story pagoda, respectively. These values tend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e end of the measurement, but did not recover completely, indicating a state requiring precise monitoring.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able conservation of the two stone pagodas. Based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analyzed, and the preventive conservation through the maintenance of measurement system built this time should be continued.

공주 청량사지 오층 및 칠층석탑은 계룡산 삼불봉 아래에 있으며, 고려 중기에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탑으로 한 시대에 두 유형의 백제계 석탑이 공존하는 쌍탑으로서 역사적 및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두 탑은 1944년 도굴로 칠층석탑이 전도되고 그 영향으로 오층석탑에 기울어짐이 발생하였다. 1961년에 석탑을 복원하였으나 구조적 불안정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측자료를 축적하고 계절적 특성을 검토하여, 동일 기간의 기온변화와 강수량에 따른 석탑의 미세거동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모든 계측기에서 일간 기온변화에 따라 미세한 열탄성거동을 반복하였으며, 경사와 변위 모두 미세거동이 나타났다. 경사계에서는 기온변화에 따라 석재의 표면과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팽축을 반복하며 미세한 움직임을 보였고, 변위계에서도 시계열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면서 모두 이격거리가 감소하였다. 특히 오층석탑 상부는 북서쪽으로 최대 3.89° 거동하였으며, 칠층석탑은 북동쪽으로 최대 0.078° 기울었다. 최대 변위는 오층석탑과 칠층석탑에서 각각 0.127 및 0.149mm로 기록되었다. 이 값들은 계측 종료시점에 원래 상태로 회귀하는 경향은 있으나 완전히 회복하지 못하여 면밀한 감시가 필요한 상태를 지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과는 두 석탑의 안정적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한 거동특성이 분석되어야 하며, 계측시스템의 유지관리를 통한 예방보존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주시, 2015,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및 칠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pp.1~244.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국보.보물) 3」, pp.218~249.
  3. 기상자료개방포털, 2022, https://data.kma.go.kr/cmmn/main.do.
  4. 김덕문, 2017, 「불국사 삼층석탑 해체수리와 9.12 경주지진 분석」, 「미술사학연구」 295, pp.5~26. https://doi.org/10.31065/ahak.295.295.201709.001
  5. 김성한.이찬희, 2019, 「공주 송산리 고분군 내부의 미기후 특성 및 온열환경 안정성 해석」, 「보존과학회지」 35(2), pp.99~115.
  6. 김성한.이찬희.조영훈, 2019, 「대전 계족산성 원형성벽의 디지털기록화 및 단기모니터링 연구」, 「자원환경지질」 52(2), pp.169~188. https://doi.org/10.9719/EEG.2019.52.2.169
  7. 김세현.조상순.이세헌.이현성, 2021, 「9.12지진과 포항지진으로 인한 목조건축문화재 피해 분석」, 「문화재방재학회 논문집」 6(2), pp.105~119.
  8. 김재철, 2007, 「계룡산 청량사지 오층 및 칠층석탑의 정밀진단과 훼손도 평가」,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153.
  9. 김재철.이찬희.신재호.최석원, 2007a, 「계룡산 청량사지 오층 및 칠층석탑의 구조적 안정성 및 3D 영상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26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7~28.
  10. 김재철.이찬희.이명성.최석원, 2007b, 「계룡산 청량사지 오층 및 칠층석탑의 종합 풍화훼손도 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26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88~90.
  11. 문화재청, 2023,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
  12. 박준형.이찬희, 2018, 「홍성 홍주읍성 성벽의 보존상태 및 축성유형과 안정성 고찰」, 「문화재」 51(3), pp.4~31. https://doi.org/10.22755/KJCHS.2018.51.3.4
  13. 이선명.이찬희.김지영, 2010,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정밀 손상도 평가와 보존환경 분석」, 「보존과학회지」 26, pp.277~294.
  14. 이은창, 1960, 「계룡산청량사지와 오뉘 탑고」, 「사학연구」 7, pp.121~148.
  15. 조선총독부, 1917, 「공주 계룡산 오층 및 칠층석탑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p.624.
  16. 천득염, 2000,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pp.53~55, 88~89.
  17. 최일규.양혜리.이찬희, 2021,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내부 미세변위 정밀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털 기록화 연구」, 「보존과학회지」 37(6), pp.626~637.
  18. Jo, Y.H., Lee, C.H., 2014, 「Behavioral monitoring and stability evaluation of Korean stone pagoda in Magoksa temple using tiltmeter sensor」,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9(22), pp.14658~14668.
  19. Kim, S.H., Lee C.H., Jo, Y.H., 2020,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walls in the ancient Korean Royal Tombs from the sixth century Baekje Kingdom」,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79(81), pp.1~13. https://doi.org/10.1007/s12665-020-8819-6
  20. Park, J.H., Park, S.T., Lee, C.H., 2021, 「Structural stability and microscale behaviors of the fortress wall from the sixth century Baekje Kingdom in ancient Korea」, 「Heritage Science」 9(65), pp.1~16. https://doi.org/10.1186/s40494-021-005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