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호경, 허난, 노지화(2021). RPP(Role-Play Presentation)를 통한 교사의 AI교사와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분석. 수학교육, 60(3), 321-340. https://doi.org/10.7468/MATHEDU.2021.60.3.321
- 교육부(2020). 제3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교육부.
- 김태령, 한선관(2020).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40(3), 181-204.
- 김홍겸, 박창수, 정시훈, 고호경(2018). 미래교육에서의 인간 교사와 인공지능 교사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소고. 교육문화연구, 24(6), 189-207. https://doi.org/10.24159/JOEC.2018.24.6.189
- 관계부처 합동(2020).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대한민국의 미래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2020. 11.). 관계부처 합동.
- 노지화, 고호경, 김병수, 허난(2023).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한 수학교육 연구방향의 함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6(1), 1-19. https://doi.org/10.30807/KSMS.2023.26.1.001
- 류미영, 한선관(2018).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17-324.
- 박만구(2020).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동향. 한국초등교육, 31(특집), 91-102. https://doi.org/10.20972/KJEE.31..202008.91
- 박원우, 손승연, 박해신, 박혜상(2010). 적정 표본크기(sample size) 결정을 위한 제언. Seoul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21, 51-85.
- 박혜연, 손복은, 고호경(2022).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6(1), 1-21.
- 성지현(2023). 개인 맞춤형 수학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시스템의 기능과 적용 사례 분석. 수학교육, 62(3), 303-326.
- 손태권(2023). ChatGPT의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분수 문제에 관한 학생의 산출물과 예비교사의 담화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6(2), 99-113.
- 신동조(2020a).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AI) 활용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4(3), 215-234.
- 신동조(2020b). 초.중등교육에서 인공지능: 체계적 문헌고찰. 수학교육학연구, 30(3), 531-552. https://doi.org/10.29275/jerm.2020.08.30.3.531
- 신동조(2022).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수학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모색. 수학교육철학연구, 4(1), 33-50. https://doi.org/10.23027/JPME.2022.4.1.3
- 심영훈, 김지현, 권민성(2023).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37(2), 159-181.
- 이준형, 송기상(2021). 인공지능 기반의 ITS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조사. 에듀테인먼트연구, 3(2), 25-36.
- 임미인, 김혜미, 남지현, 홍옥수(2021). 인공지능(AI) 활용 초등수학수업 지원시스템의 교수.학습 적용 방안 모색. 학교수학, 23(2), 251~270
- 임영빈, 안서헌, 김경미, 김중훈, 홍옥수(2021).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업 지원시스템의 효과성 분석: <똑똑 수학탐험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32(4), 61-73. https://doi.org/10.20972/KJEE.32.4.202112.61
- 장혜원, 남지현(2021). 초등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의 실제: 초등수학 수업지원시스템 '똑똑! 수학탐험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31(특집), 105-123. https://doi.org/10.20972/KJEE.31..202101.105
- 정슬기, 박만구(2023).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인공지능 수학 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7(1), 87-108.
- 한우진, 김은영, 이상수(2021). 수업설계에서의 AI 활용에 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21(24), 859-875.
- 한형종, 김근재, 권혜성(2020).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47-56. https://doi.org/10.14400/JDC.2020.18.7.047
- Baker, T., & Smith, L. (2019). Educ-AI-tion rebooted? Exploring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chools and colleges. Retrieved from Nesta Foundation website. https://www.media.nesta.org.uk/documents/Future_of_AI_and_education_v5_WEB.pdf.
- Chassignol, M., Khoroshavin, A., Klimova, A., & Bilyatdinova, A. (2018). Artificial Intelligence trends in education: A narrative overview. Procedia Computer Science, 136, 16-24. https://doi.org/10.1016/j.procs.2018.08.233
- Creswell, J. W. (2022).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age.
-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https://doi.org/10.1287/mnsc.35.8.982
- del Olmo-Munoz, J., Gonzalez-Calero, J. A., Diago, P. D., Arnau, D., & Arevalillo-Herraez, M. (2023).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for word problem solving in COVID-19 days: Could they have been (part of) the solution?. ZDM-Mathematics Education, 55(1), 35-48. https://doi.org/10.1007/s11858-022-01396-w
- Holmes, W., Bialik, M., & Fadel, C.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 Hu, W., & Shi, Y. B. (2018). Research on the role predicament of teacher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China Education Review, 8(6), 273-278. https://doi.org/10.17265/2161-6248/2018.06.004
- McCarthy, J., Minsky, M. L., Rochester, N., & Shannon, C. E. (1955). A proposal for the Dartmouth summer research project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Magazine, 27(4), 12-14.
- Moden, M., Tallvid, M., Lundin, J., & Lindstrom, B. (2021).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Why teachers abandoned a technology aimed at automating teaching processes. In. B. Tung (Ed.), Proceedings of the 54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1538-1547). HICSS Conference Office.
- Murphy, R. F.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to support K-12 teachers and teaching: A review of promising applications, challenges, and risks. Rand Corporation. Retrieved from https://www.rand.org/pubs/perspectives/PE315.html
- Russell, S, J., & Norvig, P. (2016).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Prentice Hall.
- Shin, D. (2021). Teaching mathematics integrating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nvestigating prospective teachers' concerns and TPACK. International J 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0(8), 1659-1676.
- Tan, S. C., Lee, A. V. Y., & Lee, M. (2022). A systematic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for collaborative learning over the past two decades. Computers and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3, 100097.
- Zhao, Y., & Liu, G. (2019). How do teachers face educational chang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era. 2018 international workshop on education reform and social sciences (pp.47-50). Chengdu,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