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정화, 권창진, 이유나(2022).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분석. 교육 발전, 41(3), 425-444.
-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8].
-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2018.12.).
-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 김성준(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 검토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2(2), 153-174.
- 방정숙, 선우진, 조선미, 이유진, 김은경, 김윤영, 박예진, 김경훈, 황지남, 이하늬(2019).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1963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9(4), 709-739.
- 서희주(2022). 고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과 역량 교수에 대한 교육적 지원 양상. 학교수학, 24(2), 189-215.
- 서희주, 이선영, 한선영(2019).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Educative) 수업 지원 양상 및 개선 방안: 고등학교 <수학>의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1(3), 531-559.
- 소경희(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33(1), 195-214. https://doi.org/10.15708/KSCS.33.1.201503.009009
- 신동조(2020).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수학교육, 59(1), 63-80.
- 안병곤(2018).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용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초등수학교육, 21(1), 39-53.
- 이경화, 정혜윤, 강완, 안병곤, 백도현(2017). 수학 교구 활용을 위한 교수학적 원리의 제안 및 적용. 수학교육논문집, 31(2), 203-221.
- 임영빈(2022).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초등수학교육, 25(2), 143-160. https://doi.org/10.7468/JKSMEC.2022.25.2.143
-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남지현, 박미정, 박성광, 박혜민, 유철민, 임미인, 정혜선, 좌승협(2022). 초등학교 수학 3-2 지도서. 미래엔.
- 최창우(2014). 한국과 미국의 1학년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고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0(4), 385-404. https://doi.org/10.7858/eamj.2014.028
- Ball, D. L., & Cohen, D. K. (1996). Reform by the book: What is-Or might be-The role of curriculum materials in teacher learning and instructional reform? Educational Researcher, 25(9), 6-14. https://doi.org/10.2307/1176518
-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 Krajcik, J. (2009).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supports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ar programs to inform the design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77-998. https://doi.org/10.1002/tea.20293
- Davis, E. A., &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https://doi.org/10.3102/0013189X034003003
- Davis, E. A., Palincsar, A. S., Arias, A. M., Bismack, A. S., Marulis, L., & Iwashyna, S. (2014).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A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driven proces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1), 24-52. https://doi.org/10.17763/haer.84.1.g48488u230616264
- Davis, E. A., Palincsar, A. S., Smith, P. S., Arias, A. M., & Kademian, S. M. (2017).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Uptake, impact,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design. Educational Researcher, 46(6), 293-304. https://doi.org/10.3102/0013189X17727502
- Dwiggins, A. D. (2020). Educative features of upper elementary Eureka math curriculum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 Fuentes, S. Q., & Ma, J. (2018). Promoting teacher learning: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educative features of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21, 351-385. https://doi.org/10.1007/s10857-017-9366-2
- Males, L. M. (2011). Educative supports for teacher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What is offered and how is it express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 Remillard, J. T. (2000). Can curriculum materials support teachers' learning? Two fourth-grade teachers' use of a new mathematics tex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0(4), 331-350. https://doi.org/10.1086/499645
- Remillard, J. T. (2018). Examining teachers' interactions with curriculum resource to uncover pedagogical design capacity. In L. Fan, L. Trouche, C. Qi, S. Rezat, & J. Visnovska (Eds.), Research on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resources: Advances and issues (pp. 69-88).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