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ivate Investigator's Role against Digital Related Social Problems

디지털 관련 사회문제와 탐정의 역할

  • Received : 2023.09.27
  • Accepted : 2023.10.18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Modern society is operated based on the internet, wireless networks, and digital devices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a digital society. In particular, as most of financial transactions, information movement, and commercial activities are based online, various social problems and side effects related to this are increasing rapidly.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industrial espionage activities and leakage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social problems such as illegal goods trade such as drugs using online and online gambling are increasing to a serious level. These digital-based social problems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activities and capabilities of judicial institutions such as police and prosecutors. Now that the private investigation market is open, active intervention using them is necessar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ultivate private investigator's ability to investigate and collect evidence in relation to digital social and criminal problems. In addition, each private investigation education institution or association should actively invest and research this.

현대사회는 디지털 사회로 불릴 정도로 인터넷과 무선 네트워크망, 디지털 기기를 기반으로 한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금융거래나 정보의 이동, 상업활동 대부분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이뤄지면서,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부작용들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인 예로서 산업스파이 활동이나 산업기술 유출이 있으며, 온라인을 이용한 마약 등의 불법 재화 거래, 온라인 도박 등의 사회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사회문제를 경찰이나 검찰과 같은 사법기관의 활동과 능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이제는 탐정시장이 개방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사회문제 및 범죄문제와 관련하여 탐정의 조사능력 및 증거수집능력을 적극적으로 배양해야 하며, 각 탐정교육기관이나 협회들이 이에 대한 투자와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허명범(2022). "탐정법제화에 있어서 부패범죄 방지를 위한 탐정의 전문성 제고 방안",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이준복(2017). "민간조사(공인탐정)제도의 함의와 실효성에 관한 법/제도적 논의", 경찰학연구, 제17권 제1호, 경찰대학교.
  3. 황정익 외(2005). 공인조사(공인탐정)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005-01, 경찰대학교 치안정책연구소.
  4. 정일석(2008). "민간경비 영역확장을 위한 민간조사제도 도입 방안",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손상철(2011). "민간조사제도의 규제방안과 소관부처에 관한 고찰",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7권, 한국민간경비학회.
  6. 조성구.김태민(2012). "민간조사업의 도입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33호, 한국경찰학회.
  7. 강승훈.이상원(2014). "민간조사제도 법제화 추진에 따른 발전방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3권 제4호, 한국민간경비학회.
  8. 노진거.김일곤(2021). "공인탐정제도 도입을 위한 쟁점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통권 제89호, 한국경찰학회.
  9. 김계원.서진석(2016). "민간조사(탐정) 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통권62호, 한국공안행정학회.
  10. 김권호(2022). "국내 산업스파이 유형에 따른 탐정의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상수.염건령(2022). 탐정학개론, 서울: 대영문화사.
  12. 국무총리실(2021), 제4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
  13. 김용현(2022). "국내 민간조사 연구의 실태와 개선 방안", 문화와 융합, 제44권 제3호, 한국문화융합학회.
  14. 함혜연(2020). "공인탐정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변호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9권, 제5호, 한국공안행정학회.
  15. 방송통신위원회(2021).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16. 염건령.박영수(2021). "범죄수사에서 탐정의 공익적 보완 역할", 한국경찰연구, 제20권 제2호, 한국경찰연구학회.
  17. 김영길(2021). "탐정제도의 합리적 도입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봉수.추봉조(2019). "공인탐정 관련 법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시큐리티연구, 제6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19. 탁희성(2018). "민간조사제도 도입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적 제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 강영숙(2008). "외국의 탐정제도와 한국의 공인탐정제도의 사회적 필요성 수사연구", 통권 제210호, 수사연구사.
  21. 황요완(2017). "공인탐정제도 도입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상현(2019). "공인탐정에 관한 인식 연구; 일반경비원 신임교육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8권 제4호, 한국민간경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