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by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 in China

중국 일반고등학교 교사가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분석

  • Zhai Lixia (Henan Finance University) ;
  • Zhouyueto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책리하 ;
  • 저우웨퉁 (부산대학교)
  • Received : 2023.11.27
  • Accepted : 2023.12.22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eachers'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for incumbent Chines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This is because no matter what the curriculum on career education looks like, career education can eventually be conduct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provide career education. The survey categorie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are largely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experience/current of career education,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difficulty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Currently, the Chinese government strongly encourages career education, but it lacks the ability of teachers to stockpile expertise in the field.In addition, teachers showed a high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but they expressed difficulties in recognizing how to develop vocational career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ing career education through a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s that determine the re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in a situation where career education research itself is very weak for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s in China.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중국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관찰하는 것이다. 어떤 형태의 진로교육 교육과정이라도, 교사들의 인식에 따라 진로교육은 다양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범주는 크게 진로교육의 경험/현재, 진로교육의 중요성, 진로교육의 필요성, 시행과정의 어려움, 그리고 시행방법으로 구분된다. 현재 중국 정부는 진로교육을 강력하게 장려하고 있지만, 교사들이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진로교육의 효과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지만, 직업진로능력 개발방법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일반고 교사들의 진로교육 연구의 취약성을 고려할 때,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진로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응용 (2016) 상담학 사전. 서울 : 학지사
  2. 한국진로교육학회 (199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서울 :교육과학사
  3. 경기도교육연구원 (1992.) 진로교육의 길잡이.수원 :세창문화사
  4. 이상수 (2022). 교육의 사회적 책임. 서울:학지사
  5. 박남기(2017).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 패러다임 탐색.교육학연구, 55(1), 211-240
  6. 안지유(2011)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초등진로 교육현황 분석(学位论文标记)
  7. 이지연.김재희.이서정 (2017). 해외 진로개발 정책과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자료 2017-22
  8. 敎育部 (2020, 12, 08) 从 "屋次" 到 "美型" 职业教育进入高质量发展新阶段
  9. 敎育部 (2022, 08, 22) 《中国职业教育发展白皮书》
  10. 张莹 (2017) 高职校内职业生涯教育研究 科技经济导刊 2017, 08
  11. 陈义强 (2017) 职业生涯教育研究对普通高中教育的启发 科学论坛 2017, 01 Р155
  12. 刘雪冰 (2015) 普通高中职业规划校本课程开发研究[J] 基础教育研究, 2015 (21) :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