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21R1I1A3040733).
References
- 강다영(2020).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경만(2000).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민석, 김나영, 양일호(2014). 계절의 변화 원인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개념 시뮬레이션 사례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43-5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43
-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김다정, 전석주. (2014).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가상학습 기반수업모형의 설계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133-142.
- 김순미, 양일호, 임성만(2013).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멘탈 모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893-9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893
-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3(3), 271-283. https://doi.org/10.21796/JSE.2019.43.3.271
-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 과학 수업에 VR 구현 프로그램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9(2), 296-305.
-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2020).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74-89.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1.74
- 노현호(2018). VR 콘텐츠를 활용한 초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맹승호, 이기영,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03-718.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03
- 박인우, 류지현, 조상용, 손미현, 장재홍(2017).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콘텐츠 이해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이슈리포트. 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M 2017-8.
- 박정호, 최은영(2018). VR 콘텐츠의 인지에 미치는 시지각 요인이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2(7), 985-992. https://doi.org/10.6109/JKIICE.2018.22.7.985
- 배영권, 박판우, 문교식, 유인환, 김우열, 이효녕, 신승기(2018). 가상현실장비(VR)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만족도와 학습자의 태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5), 593-603.
- 석윤수(2022). 계절 변화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3차원 모델링 수준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석윤수, 윤혜경(2022).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원인에 관한 지구본 활용 모델링 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673-689.
- 성지영(2014). 모델을 활용한 계절의 변화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심규철, 박종석, 김현섭, 김재현, 박영철, 류해일(2001). 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25-737.
- 엄장희(2022). 초등학교의 협력적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학생 행위주체성 이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필석(2007).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모델의 활용 양상 분석: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 관련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45-662. https://doi.org/10.14697/JKASE.2007.27.7.645
- 유연준, 오필석(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 윤희영(2015). 초등학생의 소집단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기압에 관한 모델링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기영, 맹승호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별과 우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93-40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93
- 이정아, 이기영, 박영신, 맹승호, 오현석(2015).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179-19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179
- 이재병, 권난주(2022) 가상현실(VR)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공간 감각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6(1), 66-79. https://doi.org/10.21796/JSE.2022.46.1.66
- 이태수(2017).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 안내된 탐구학습이 학습장애 학생의 과학과 '태양계와 별'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24(2), 265-287. https://doi.org/10.34249/JSE.2017.24.2.265
- 이혜선, 정윤희, 김상연(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가상현실(VR) 연구와 교육적 활용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지, 19(18), 311-338.
- 장진아, 박준형, 송진웅(2019).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탐구 활동의 특징: 가상실험, 가상현실, 증강현실 활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8(2), 275-286.
- 정선라, 이용복(2013).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66-367.
- 조혜숙, 남정희, 오필석(2017). 과학교육에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고찰: 메타모델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239-25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239
- 채동현(2011).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30(2), 204-212.
- 최선영, 여상인(2010). 초등과학수업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운 초등과학교과서 단원에 대한 조사. 과학교육논총 23, 89-102.
- 최섭(2021). VR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의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도윤, 김형범, 김흥태(2022). 가상현실 (VR) 지질자료 개발을 통한 원격수업의 효과 분석: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47-61.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1.47
- Baek, H., Schwarz, C., Chen, J., Hokayem, H., & Zhan, L. (2011). Engaging elementary students in scientific modeling: The MoDeLS fifth-grade approach and findings. In Models and modeling (pp. 195-218). Springer.
- Baek, Y. (2010). Teaching and learning in a virtual world. Seoul: Hakjisa.
- Barab, S. A., Hay, K. E., Barnett, M., & Keating, T. (2000). Virtual solar system project: Building understanding through model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719-756.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9)37:7<719::AID-TEA6>3.0.CO;2-V
- Bell, R. L., & Trundle, K. C. (2008). The use of a computer simulation to promote scientific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3), 346-372. https://doi.org/10.1002/tea.20227
- Clement, J. (1989).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In J. A. Glover, R. R. Ronning & C. R. 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Perspectives on Individual Differences. Springer, Boston, MA.
- Harrison, A. G., & Treagust, D. F. (2000). Learning about atoms, molecules, and chemical bonds: A case study of multiple-model use in grade 11 chemistry. Science Education, 84(3), 352-381.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352::AID-SCE3>3.0.CO;2-J
- National Research Council & Downs, R. M. (2006). Learning to think spatially. National Academies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es Press.
- Passmore, C., Stewart, J., & Cartier, J. (2009). Model-based inquiry and school science: Creating connec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9(7), 394-402.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9.tb17870.x
-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https://doi.org/10.1080/03057267.2013.869039
- Rea-Ramirez, M. A., Clement, J., & Nunez-Oviedo, M. C. (2008).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In J. J. Clement & M. A. Rea-Ramirez (Eds.),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 Education, vol 2. Springer, Dordrecht.
-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Shwartz, Y., Hug, B.,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https://doi.org/10.1002/tea.20311
- Schwarz, C. V., & White, B. Y. (2005). Metamodeling knowledge: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2), 165-205. https://doi.org/10.1207/s1532690xci2302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