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남화, 김민지(2020). 고등학교 통합과학 수행평가 사례를 통해 탐색한 교사의 수행평가 실천 특성과 PCK 사이의 관련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3), 291-305.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3.291
- 강훈식, 강석진(2015).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가진단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34(2), 153-163.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 곽영순, 하지훈(2020).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 적용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465-471.
- 교육부(2015a).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제2015-74호 [별책 1]). 세종: 교육부.
- 교육부(2015b).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제2015-74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제2022-33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 구본용, 구혜영, 이명우(1994). 또래상담자 훈련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 권희경, 김주아, 박경호, 안해정, 최인희, 김명섭(2020). 2020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RR2020-29).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김경희(1997). 한국 아동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43-56.
- 김대업(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파주: 학현사.
- 김동현(2014).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민환, 박다해, 노태희(2022). 과학탐구실험의 '역사 속의 과학 탐구'에서 과학교사의 평가 실태와 평가 지향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6), 597-610.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6.597
- 김성기, 민희정, 백성혜(2020). 학습공동체를 통한 과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신념에 관한 연구. 교원교육, 36(1), 1-21.
-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231-151.
- 김유진(2015). 수능 마친 고3 수험생 "수능 점수로 대학가는게 복잡한 고차방정식 같아요".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2&sid2=256&oid=014&aid=0003547530
- 김은숙, 김현경(2021). 중학교 과학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151-162.
- 김인숙, 이문복, 박종임, 송민호, 김성기, 곽민호, 김성숙, 김창환, 임은진(2020).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KICE-eAssessment) 개발 연구(II).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2(1), 1-25.
- 김진화, 전은선, 박선경(2014). 직장인의 평생학습역량에 대한 탐색적 실증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6(1), 181-205.
- 김현정, 김성기(2021). 탐구보고서에 기반한 화학교사의 과학 역량 평가 실태 분석. 대한화학회지, 65(3), 209-218. https://doi.org/10.5012/JKCS.2021.65.3.209
- 김현주(2015). 성적이 '인생의 등급' 결정한다고?.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50719050508130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 남궁지영, 김양분, 박경호, 최인희, 박현정(2016). 2016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RR2016-13).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노경섭(2015).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서울: 한빛아카데미.
- 노태희, 이재원, 강서진, 강훈식(2015).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725-73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25
-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 박도순, 권순달, 김명화, 김석우, 김영애, 김옥남, 김종필, 김진규, 김진하, 김형주, 남명호, 남현우, 박완성, 백순근, 성태제, 양길석, 어윤경, 이기종, 이나현, 이원석, 이종승, 이현주, 장은아, 조지민, 최대호(2007). 교육평가: 이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 박영석(2009).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 교사의 형성평가 실행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41(4), 51-79. https://doi.org/10.35557/TRCE.41.4.200912.003
- 박종임, 이문복, 송민호, 김광규, 한정아(2021a).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KICE-eAssessment) 개발 연구(III).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박종임, 이문복, 송민호, 김광규, 한정아(2021b).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도구 개발 및 현장 적용 방안(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슈페이퍼 vol. 5).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배정민(2012). 그림으로 이해하는 닥터 배의 술술 보건의학통계.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 백수정, 이희수(2012). 성인교육 퍼실리테이터 역량 개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 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8(3), 59-85.
- 성태제(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 성태제(2004).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 신건권(2016). Amos23 통계분석 따라하기. 서울: 청람.
- 신정윤, 박상우(2021). 초등 과학과 과정중심 평가문항 예시 자료의 특징. 초등과학교육, 40(2), 191-209.
- 심보경, 유미현(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의 수행평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현장과학교육, 14(4), 481-500. https://doi.org/10.15737/SSJ.14.4.202011.481
- 양일호, 나종철,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2008).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석: 5학년 1학기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7(3), 221-232.
- 여상인, 박애자, 임희준(2007). 초등 과학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행평가준거 설정이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0(1), 395-412.
- 오현석, 이기영(2006). 현행 중등학교 과학 교과 지필평가 문항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1), 405-424.
- 유현숙, 김태준, 이석재, 송선영(2004). 국가수준의 생애 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31
- 전성수(2013).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성수, 박종호(2014).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 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47-65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47
- 정은영, 최원호(2014).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과학과의 평가 실태. 과학교육연구지, 38(1), 168-181. https://doi.org/10.21796/JSE.2014.38.1.168
- 정종오(2015). 노벨물리학상 나카무라 "아시아교육은 시간 낭비".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120 09285961944
- 조준형(2015). 노벨상 6명 배출 日교토대 학장 "영어실력은 도구 중 하나일 뿐, 중요한 건 사고력 배양, 정해진 답 없는 문제 풀 능력 키워야". http://m.media.daum.net/m/media/world/newsview/20151021180024633
- 채수진(2006).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평가방법의 일관성 검토: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4(1), 331-349.
- 채희인(2017). 과학핵심역량의 재구조화에 기반한 초등과학 수업전략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채희인, 노석구(2015).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23-40.
- 하민수, 박현주, 김용진, 강남화, 오필석, 김미점, 민재식, 이윤형, 한효정, 김무경, 고성우, 손미현(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95-504.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495
- 허명(1984). 과학탐구 평가표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 57-63.
-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AAS.
- Arbuckle, J. (2016). IBM SPSS Amos user's guide. Chicago, IL: IBM Amos Development Corporation.
- Ballantyne, R., Hughies, K., & Mylonas, A. (2002). Developing procedures for implementing peer assessment in large classes using an action research process.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7(5), 427-441. https://doi.org/10.1080/0260293022000009302
- Bienvenu, M. J., Sr., & Stewart, D. W. (1976). Dimensio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Journal of Psychology, 65, 60-66. https://doi.org/10.1080/00223980.1976.9921380
- Brown, G. T. L. (2004).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and Practice, 11(3), 301-318. https://doi.org/10.1080/0969594042000304609
- Cangelosi, J. (1990).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 Ebel, R. L. (1965).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Englewood Criffs, N. J.: Prentice-Hall.
- Falchikov, N. (1995). Peer feedback marking: Developing peer assessment.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raining International, 32(2), 175-187. https://doi.org/10.1080/1355800950320212
- Fehring, R. J. (1987).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Heart and Lung, 16(6), 625-629.
- Fraser, B. J. (1981). TOSRA: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hawthorne, VIC: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 Griffin, F., Care, E., & McGaw, B. (2012). The changing role of education and schools. In F. Griffin, B. McGaw & E. Care (Eds.),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p. 1-15). New York: Springer.
-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US.
-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New York: McGraw-Hill, Inc.
- Macklin, T. T., & Rossiter, C. M. (1976).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elf-actualization. Communication Quarterly, 24, 45-50. https://doi.org/10.1080/01463377609369237
- Misitomu, A. I. (2012). An exploration of year 10 students' motivation, attitude and self-efficacy toward learning chemi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ikato, New Zealand.
- NAEP. (1984). Science objectives: Fifth national assessment 3rd draft. Washington, D.C.: NAEP.
- Padilla, M. J., Okey J. R., & Dillashaw F. G. (1983).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process skill and formal thinking abilit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3), 239-246. https://doi.org/10.1002/tea.3660200308
- Roseman, I. J., Spindel, M. S., & Jose, P. E. (1990). Appraisals of emotion-eliciting events: Testing a theory of discrete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pecial Psychology, 59(5), 899-915. https://doi.org/10.1037/0022-3514.59.5.899
- Ruben, B. D. (1976). Assessing communication competency for intercultural adaptation. Group and Organization Studies, 1, 334-354. https://doi.org/10.1177/105960117600100308
- Thomas, L., Deaudelin, C., Desjardins, J., & Dezutter, O. (2011). Elementary teachers' formative evaluation practices in an era of curricular reform in Quebec, Canada.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381-398. https://doi.org/10.1080/0969594X.2011.590793
- Topping, K., & Ehly, S. (1998). Peer assisted learning.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Uzunboylu, H., & Hursen, C. (2011).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Scale (LLLCS): The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H. U. Journal of Education, 41, 449-460.
- Wang, J. R., Kao, H. L., & Lin, S. W. (2010). Preservice teachers' initial conceptions about assessment of science learning: The coherence with their views of learning scien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522-529. https://doi.org/10.1016/j.tate.2009.06.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