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based assessment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36초

컴퓨터 기반 과학 수행평가 문항 개발 : 전류계와 전압계 회로 연결 실험 (The Development of Science Item on the Computer-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 Experiment on Constructing Circuits with an Ammeter and a Voltmeter)

  • 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48-358
    • /
    • 2013
  • 과학교육에서 컴퓨터는 교수 학습 뿐 아니라 평가의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죽, 컴퓨터의 장점을 살린 컴퓨터 기반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는 주로 과정 중심이 아닌 결과 중심의 평가이며, 피험자의 수만큼 컴퓨터가 있어야 하므로 학교의 정규 시험으로 활용하기 곤란하다. 그러나 수행평가의 경우 일반적으로 평가 과제가 미리 공개되므로 학급별 또는 학생별로 평가 시간이 다르게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험기구를 사용한 실험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물리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에 있어 이러한 기능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및 어려운 점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전류계와 전압계를 포함한 회로를 구성을 하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컴퓨터 기반 문항은 실제의 실험기구를 사용하여 진행되는 평가와 유사하게 구성하였으며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행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수행 결과를 자동적으로 채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가 학생들의 수행 결과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Using Immersive Augmented Realit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 Kim, Kyungki;Alshair, Mohammed;Holtkamp, Brian;Yun, Chang;Khalafi, SeyedAmirhesam;Song, Lingguang;Suh, Min Jae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9권4호
    • /
    • pp.16-33
    • /
    • 2019
  • The increasing size and complexity of modern construction projects demands mature capabilities of onsite personnel with regard to recognizing unsafe situations.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is paper or computer-based and suffers from a distinct gap between the classroom training environment and real-world construction sites; even trained personnel can find it difficult to recognize many of the potential safety hazards at their jobsites even after receiving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Immersive technologies can overcome the current limitations in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classroom and a real construc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developed and tested a new Augmented Reality (AR)-based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hazard recognition skills of students majoring in construction management as part of a construction safety cours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AR-based assessment can become a very effective assessment tool to evaluate safety knowledge and skills in a construction safety course, outperforming both paper and computer-based assessment methods. The students preferred AR-based assessment because it provides a realistic visual context for real world safety hazards.

MOBILE COMPUTER BASED CLASSROOM ASSESSMENT

  • Chul S. Kim;Laura A. Luca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24-928
    • /
    • 2005
  • Formative assessment of student progress and attitudes is important to our continuous improvement process, but collecting and compiling the data is burdensome without access to computer tools. This research is to set up a mobile computer based lab that will enable faculty who teach in rooms without computers to use testing and survey tools. The technologies necessary to develop such system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World Wide Web (WWW), database, and mobile computing a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real-time based formative assessment of student is proposed. A hardware configuration for real-time assessment is also presented in the research.

  • PDF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based post-earthquake intelligent assessment of engineering structures: Technological status and challenges

  • T. Jin;X.W. Ye;W.M. Que;S.Y. Ma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1권4호
    • /
    • pp.311-323
    • /
    • 2023
  • Ever since ancient times, earthquakes have been a major threat to the civil infrastructures and the safety of human beings. The majority of casualties in earthquake disasters are caused by the damaged civil infrastructures but not by the earthquake itself. Therefore, the efficient and accurate post-earthquake assessment of the conditions of structural damage has been an urgent need for human society. Traditional ways for post-earthquake structural assessment rely heavily on field investigation by experienced experts, yet, it is inevitably subjective and inefficient. Structural response data are also applied to assess the damage; however, it requires mounted sensor networks in advance and it is not intuitional. As many types of damaged states of structures are visible, computer vision-based post-earthquake structural assessment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among the engineers and scholars. With the development of image acquisition sensors, computing resource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deep learning-based post-earthquake structural assessment has gradually shown potential in dealing with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tasks.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s the state-of-the-art studies of deep learning-based post-earthquake structural assessment in recent years. The conventional way of im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based structural assessment are presented briefly. The workflow of the methodology for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based post-earthquake structural assessment was introduced. Then, applications of assessment for multiple civil infrastructures are presented in detail. Finally, the challenges of current studies are summarized for reference in future works to improve the efficiency, robustness and accuracy in this field.

Accurate Camera Self-Calibration based on Image Quality Assessment

  • Fayyaz, Rabia;Rhee, Eun Joo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2호
    • /
    • pp.41-52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accurate camera self-calibration based on SIFT Feature Detection and image quality assessment. We performed image quality assessment to select high quality images for the camera self-calibration process. We defined high quality images as those that contain little or no blur, and have maximum contrast among images captured within a short period. The image quality assessment includes blur detection and contrast assessment. Blur detection i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energy and standard devi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mages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Contrast assessment is based on contrast measurement and selection of the high contrast images among some images captured in a short period. Experimental results show little or no distortion i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images. Thus, the suggested method achieves camera self-calibration accuracy of approximately 93%.

CBA 시스템을 활용한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 개발 - OECD PIAAC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CT Literacy Assessment Tool Using Computer Based Assessment(CBA) System - Case of OECD PIAAC)

  • 이수영;이영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25-132
    • /
    • 2011
  • 본 논문은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역량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고 정보화 시대의 역량 특성이 반영된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 개발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2007년부터 초 중 고등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여 국가 수준의 ICT 리터러시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웹기반의 선다형과 수행형 ICT 리터러시 검사 시스템은 정보화 역량 고유의 특성을 완전히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OECD에서 연구개발 중인 PIAAC(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의 컴퓨터 기반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TIMSS 2019 과학 문항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 평가 간의 검사 매체 차이 탐색 (The Study of the Mode Effect between Computer-based and Paper-based Science Tests in TIMSS 2019)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8-57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인 TIMSS 2019 사전검사에서 지필 평가와 컴퓨터 기반 평가로 시행된 과학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검사 매체에 따라 문항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문항 및 학년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4학년과 8학년 모두 검사 매체에 따른 과학과 문항 정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8학년보다는 4학년의 경우 정답률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선다형 문항보다는 서답형 문항의 경우 정답률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검사 매체 영향에 대한 과학과 평가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로는 선다형 문항은 지필 평가와 컴퓨터 기반 평가 문항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서답형 문항은 지필 평가에 비해 서답형 문항의 정답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년별로는 4학년 학생들이 8학년 학생들보다 서답형 문항에서 정답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 컴퓨터 기반 평가의 개발과 현장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고 컴퓨터 기반 평가가 학교 평가로 잘 정착하기 위한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A Cost-Optimization Scheme Using Security Vulnerability Measurement for Efficient Security Enhancement

  • Park, Jun-Young;Huh, Eui-Nam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61-82
    • /
    • 2020
  • The security risk management used by some service providers is not appropriate for effective security enhancement. The reason is that the security risk management methods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opinions of security experts, types of service, and security vulnerability-based risk assessment. Moreover, the security risk assessment method,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isk treatment method in an information security risk assessment model, should be security risk assessment for fine-grained risk assessment, considering security vulnerability rather than security threat. Therefore, we proposed an improved information security risk management model and methods that consider vulnerability-based risk assessment and mitigation to enhance security controls considering limited security budget. Moreover, we can evaluate the security cost allocation strategies based on security vulnerability measurement that consider the security weight.

정보 교육에서의 사용성(Usability) 향상을 위한 웹기반 평가시스템 PAS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Assessment System PAS for Increasing the Usability in Informatics Education)

  • 염용철;유승욱;김용;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8
  • 정보 교육에서 수업과 평가를 통합하는 과정지향적인 평가가 수시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평가자인 교사가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평가를 할 수 있게 지원해 주는 사용성(Usability)이 고려된 웹기반평가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기반평가시스템의 사용성 요소를 분석한 후, 오프라인 지필평가과정에 내재한 사용성 요소를 추출하여 사용성이 제고된 PBA(Paper-Based Assessment)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PBA 모델에 의한 웹기반 평가시스템은 교사주도하에 평가전, 평가중, 평가후의 모든 과정이 제어된다. 특히 평가 대상을 손쉽게 바꿀 수 있고, 평가지에 대한 접근을 평가 단계마다 철저히 차단시켜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들의 학년, 반, 번호, 이름을 사용하여 손쉽게 평가지에 로그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PBA 모델에 기초하여 정보교육용 웹기반평가시스템 PAS(PBA-based Assessment System)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컴퓨터기반수학평가(CBAM)의 문항 제작 가능성 탐색: 동적 기하소프트웨어 환경에서 PISA2012 또는 2015 울타리 문항을 중심으로 (Exploring of the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Items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in Mathematics : Focused on Fence Items in PISA2012 or 2015 within an Environment of Dynamic Geometric Software)

  • 이서빈;김선호;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25-344
    • /
    • 2017
  • PISA2006부터 부분적으로 도입된 컴퓨터기반 평가가 PISA2015부터 전면 도입됨에 주목하고, 앞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컴퓨터기반 수학 문항 제작을 위한 가능성을 조사하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PISA의 문항을 포함하여 컴퓨터기반 평가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컴퓨터기반 문항 중 PISA의 울타리 문항을 GSP로 구현한 후 지필평가에서의 환경과 가장 다른 점인 Dragging 활동을 중점으로 그 특성인 종속성, 불변성, 경로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평가에서도 컴퓨터 환경의 장점인 개방형문제로의 확장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