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xploring Urban Renewal Areas Using Spatial Density Analysis

공간 밀도분석을 이용한 재정비 대상지 탐색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3.05.19
  • Accepted : 2023.06.1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reas in need of urban renewal by utilizing spatial data and analyzing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this research employed a kernel density function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ith spatial data, through which it sought ways to identify high-demand areas for urban renewal projects. The key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classified 587 target sites in Seoul based on development density (ratios) and an indicator for aged buildings. Approximately half of these areas were consistent with leading pilot project sites and Accelerated Integration Site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s in the designated leading pilot project sites, as decided by public sectors, were relatively poor compared to other areas. Lastly, the target areas for urban renewal were not clearly categori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stead, it was found that categorization should be made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each project.

정비사업에 있어 공공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객관적으로 정비사업이 필요한 지역을 선제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데이터를 활용하여 재정비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고, 재정비 대상지 유형화 및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공간데이터를 사용하여 커널밀도함수와 K-means 군집분석을 수행하였고, 재정비 대상지역 발굴 방법을 모색하였다. 주요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 용적비와 노후도 지표를 기준으로 서울시 전역에 걸쳐 587개 재정비 대상지를 구획하였으며, 선도사업·신속통합기획 후보지 비교결과 절반 정도 일치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정비 대상지는 공공에서 지정한 선도사업 후보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하였다. 셋째, 재정비 대상지는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형화되지 않았으며, 사업요건별 유형화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SH도시연구원의 2021년 기본과제로 수행된 「재정비 대상지역의 공간DB 고도화 및 특성 분석 연구」의 일부와 국토교통부 2022년 공간빅데이터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작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재정비 대상지 탐색」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작성되었으며, 2021년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NRF-2021R1A2C1012039)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미선.이상현.조난주(2002), "GIS를 이용한 도시 주거지 상업용도화 예측 모델링",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1): 197~208.
  2. 강세진.김창석.남진(2006),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노후불량주거지의 유형별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41(3): 53~67.
  3. 강신은(2021), "공공재개발사업.공공재건축사업의 주요내용과 법적 개선방안", 「건설법연구」, (6): 2~31.
  4. 국토교통부(2021), "도심 주택공급의 활력소, 공공개재발 후보지 첫 선정", 보도자료, 세종.
  5. 길혜민.박혁서.박지윤(2015), "GIS기반 커널밀도함수분석과 LISA분석을 활용한 요양병원 입지선정요인 분석", 「주거환경」, 13(4): 283~299.
  6. 김기중.이영민.조동기(2021), "서울시 저이용상업.업무공간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부동산분석」, 7(3): 185~203.
  7. 김동한.서태성.이미영.한우석.임지영.김현아(2015),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8. 김동현.김세용(2011), "주거환경정비사업 추진시 사업지연에 미치는 요소별 영향 분석 - 서울시 주거환경 정비사업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5): 163~178.
  9. 김수현.최창규(2019), "용적실현비(A-FAR)에 영향을 미치는 용도지역별 대지특성에 대한 분석 - 서울시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에서 법정용적률(L-FAR) 대비 실현된 용적률(D-FAR)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4(2): 33~45. https://doi.org/10.17208/jkpa.2019.04.54.2.33
  10. 김옥연.권혁삼(2016), "도심 내 소규모 민간토지 활용 행복주택 공급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4): 27~42.
  11. 김의명.홍송표.박진이(2019), "연속수치지도와 유동인구를 이용한 범죄취약 추정지역 추출", 「한국지도학회지」, 19(1): 9~68.
  12. 남영우(2020), "공공임대주택 입주가구의 군집별 특성분석에 대한 연구", 「LHI Journal」, 11(2): 25~32.
  13. 박재홍.최형석(1997), "토지적합성 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활용방안", 「국토계획」, 32(1): 133~141.
  14. 서명교.윤원영(2017), "군집기반 열간조압연설비 상태모니터링과 진단", 「품질경영학회지」, 45(1): 25~37. https://doi.org/10.7469/JKSQM.2017.45.1.025
  15. 서지원.성효현(2016),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국가지질공원의 경관자원 개발", 「한국지형학회지」, 23(4): 37~152.
  16. 성진욱.김기중.정재훈(2021), 「재정비 대상지역의 공간DB 고도화 및 특성 분석 연구」, 서울: 서울주택도시공사.
  17. 안기원.유환희.김영(1996), "GIS와 입지모형을 이용한 지방중소도시의 주거지 적지분석", 「한국측량학회지」, 14(1): 69~80.
  18. 오성록.김연진.차주일.이홍철(2011), "GIS와 GOSST를 이용한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8(4): 81~93.
  19. 윤공현(2006), "GIS기법을 이용한 변전소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지」, 14(1): 29~36.
  20. 이종민.이민경.오성훈(2016), 「유휴공간의 전략적 활용 체계 구축 방안」, 세종: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1. 정종철(2020), "주성분분석과 커널밀도함수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소 적지분석", 「국토연구」, 105: 3~14. https://doi.org/10.15793/KSPR.2020.105..001
  22. 조아현(2021), "옴니보어의 동네: 서울특별시 소재 레스토랑의 특징과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2(2): 5~76.
  23. 한승희(2011), "계층적 GIS분석 모델링에 의한 주거지개발 적지선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4): 440~447. https://doi.org/10.5392/JKCA.2011.11.4.440
  24. 한승희.김성길(2010),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이용한 적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지논문지」, 11(12): 5207~5215. https://doi.org/10.5762/KAIS.2010.11.12.5207
  25. 황선영.황철수(2003), "GIS를 활용한 도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서울시 성북구를 사례로", 「국토계획」, 38(1): 53~66.
  26. Ahmad, I. R. and I. Athoillah (2020), "Spatial Analysis Of Sustainable Land Use Development Coastal Areas In Batanng Regency", Bappenas Working Papers, 3(1): 42~53. https://doi.org/10.47266/bwp.v3i1.54
  27. Allen, M. J., T. R. Allen, C. Davis and G. McLeod (2021), "Exploring Spatial Patterns of Virginia Tornadoes Using Kernel Density and Space-Time Cube Analysis (1960-2019)",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10(5): 310.
  28. Anderson, T. K. (2009),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K-Means Clustering to Profile Road Accident Hotspot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1(3): 359~364. https://doi.org/10.1016/j.aap.2008.12.014
  29. Brandao, F. J., R. M. Correia and A. Paio (2018), "Measuring Urban Renewal: A Dual Kernel Density Estimation to Assess the Intensity of Building Renovation-Case Study in Lisbon", Urban Science, 2(3): 91.
  30. Cinar, H. and B. Cermikli (2019), "Point Density Analysis With Cognitive Mapping Technique: Istanbul-historical City Center",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28: 9192~9199.
  31. Foroughi, S. and M. Rasol (2016), "Housing Renovation Priority in the Fabric Texture of the Cit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Model (AHP)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 Case Study of Zanjan City, Iran", The Egypt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and Space Science, 19(2): 323~332. https://doi.org/10.1016/j.ejrs.2016.05.001
  32. Gutting, R., M. Gerhold and S. Rossler (2021), "Spatial Accessibility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 Population-Weighted Method Assessing the Social Amenity Provision", Urban Planning, 6(4): 189~201. https://doi.org/10.17645/up.v6i4.4425
  33. Mora-Garcia, R. T., M. F. Cespedes-Lopez, J. C. Perez-Sanchez and R. Perez-Sanchez (2015),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for the Visualization of Spatial Patterns in Urban Studies", 15th International Multidisciplinary Scientific GeoConferences (SGEM2015), Albena, Bulgaria.
  34. Silverman, B. W. (1986),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CRC, 1~22.
  35. Syafitri, A. K. N. and P. B. Santosa (2019), "Spatial Analysis of Kulon Progo District Development from 2007-2030 with Cellular Automata Markov Model", KnE Engineering, 269~277.
  36. Vasan, S., J. Baker and A. Alcantara (2018), "Use of Kernel Density and Raster manipulation in GIS to Predict Population in New Mexico Census Tracts", Review of Economics Finance, 14: 5~38.
  37. Weldu, W. G. and I. A. Deribew (2016),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ites for Housing Development Using GIS Based Multi-Criteria Evaluation in Dire Dawa City, Ethiopi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s: Basic and Applied Research, 28(3): 34~49.
  38. 통계청, "e-나라지표", 2022.11.06. 읽음. https://www.index.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