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주거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른 연령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용욱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 김새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 황준원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 조미정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도시.부동산개발학과)
  • Received : 2023.03.02
  • Accepted : 2023.03.27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nd the young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at 35.9% among all single-person households. However, research o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s been relatively recent. Research on single-person households has mostly focused on all single-person households or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all single-person households into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o analyze how these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2020 Seoul Survey Urban Policy Index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ach factor. First, a finding is that various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directly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Next, it was found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directly affects life satisfaction in the models of young and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that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sidential and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re more divers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hat age group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particular,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diverse alternatives to improve their residential and life satisfaction.

1인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층의 비율은 35.9%로 전체 1인 가구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하지만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1인가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1인 가구 전체 또는 노인 1인 가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며, 더 나아가 연령층별 차이 및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1인 가구를 청년층과 중장년층, 노년층으로 나누어 세 집단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주거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에는 2020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각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다양한 주거환경요인들이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년 및 중장년 1인 가구 모형에서 주거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거만족도가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청년층의 주거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1인가구의 주거 및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연령층별 차이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청년 1인가구의 경우에는 주거 및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더 다양한 대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현.박정윤(2020), "결혼경험 유무에 따른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4(1): 21~39. https://doi.org/10.22626/jkfrma.2020.24.1.002
  2. 강지민(2021), "서울시 1인가구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강현철(2013),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적합도지수의 해석과 모형적합 전략에 대한 논의", 「한국자료분석학회」, 15(2): 653~668.
  4. 권세연.박환용(2014),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 만족 영향요인 연구", 「주택연구」, 22(1): 77~104.
  5. 권현정(2016), "청년 1인가구의 주거복지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6. 김상호(2015), "수도권 도시특성에 따른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7. 김영주.곽인경(2020),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과 우울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5(4): 241~250. https://doi.org/10.21097/ksw.2020.11.15.4.13
  8. 김용욱(2023), "서울시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장년 및 노년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9. 김지경.송현주(2009), "조기은퇴남성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가정과삶의질연구」, 27(3): 31~43.
  10. 김진현.김형주(2017), "1인 가구 특성이 주거유형 및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도시 행정 학보」, 31(3): 91~109.
  11. 박미선.이재춘(2018),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지원 정책방안",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1): 3~26.
  12. 박성복(2011), "노인의 주거관련 요인과 삶의 만족도", 「한국행정논집」, 23(3): 731~760.
  13. 박진호.김영순.양인선.조귀래(2021), "1인가구의 주거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남 인구30만 이상 시지역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9(4): 245~259.
  14. 신상준(2017), "개인의 생활환경과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인천광역시 시민을 대상으로", 「도시연구」, (11): 285~316.
  15. 이재수.양재섭(2013), "서울의 1인 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국토연구」, 48(3): 181~193.
  16. 이주연.정진혁.손봉수(2008),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26(2): 17~24
  17. 이학식.임지훈(2017), 「SPSS24 매뉴얼」, 서울: 집현재.
  18. 이현주.이수진.장유진.안옥희(2020), "청년주택에 관한 청년세대의 의식 조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2): 253~256.
  19. 이효재.지순.박매자(1979), "한국 저소득층 노인생활에 관한 사회", 「한국문화원 논총」, 34: 239~288.
  20. 임근식(2012),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47~89.
  21. 임선미.이보영(2016), "중장년층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1): 49~63. https://doi.org/10.16972/APJBVE.11.1.201602.49
  22. 임준홍.홍성효(2014), "주거환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2(2): 137~152.
  23. 장진희(2018), "1인 가구와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개 자치구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9(4): 87~110. https://doi.org/10.23129/SEOULS.19.4.201812.87
  24. 정기성.김효정(2018), "서울시 2030 직장인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와 주거환경요인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6(1): 121~138.
  25. 정병호.정재호(2015),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63: 256~267.
  26. 정순둘(2003),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 59~79.
  27. 조미현.송재민(2020), "서울 대도시권의 1인 가구 주거이동 및 유입지역 특성 분석: 직업과 주택 요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5(4): 70~84. https://doi.org/10.17208/jkpa.2020.08.55.4.70
  28. 통계청(2021), "2020 인구주택총조사", 세종.
  29. 하규영.이민영(2020),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다집단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7(1): 39~63. https://doi.org/10.7466/JFBL.2021.39.1.17
  30. 한재원.이수기(2019),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분석-2016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4(5): 33~47. https://doi.org/10.17208/jkpa.2019.10.54.5.33
  31. 홍성철(2015), "1인 가구의 증가와 미디어 소비 행태 분석", 「정보사회와 미디어」, 16(3): 59~84.
  32.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3. 황광선(2013),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연구: 주택복지정책에 대한 함의", 「서울도시연구」, 14(1): 57~72. https://doi.org/10.23129/SEOULS.14.1.201303.57
  34. 황윤희.정재호(2023),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LHI Journal」, 14(1): 47~66.
  35. Bagozzi, R. P. and U. M. Dholakia (2002), "Intentional Social Action in Virtual Communiti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6(2): 2~21. https://doi.org/10.1002/dir.10006
  36. Bagozzi, R. P. and Y.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37.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John Wiley & Sons.
  38. Byrne, B. M. (2016),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3rd ed.), New York: Routledge.
  39. Hair, J. F.,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New Jersey: Prentice-Hall.
  40.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dford Press.
  41. Oswald, A. J. (1997), "Happiness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Economic Journal, 107(445): 1815~1831.  https://doi.org/10.1111/j.1468-0297.1997.tb0008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