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주연, 이진희 (2020).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453-461. https://doi.org/10.5762/KAIS.2020.21.7.453
- 권기남, 성미영 (2010).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2), 257-270.
- 곽은영 (2012).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갑순, 채신영 (2021). 유아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 인식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참여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49-6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6.49
- 김경철, 한유진, 김인애 (2019). 유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놀이신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9(6), 349-375.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5
-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https://doi.org/10.5723/KJCS.2012.33.2.69
-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4.
- 김수예, 김현경 (2021). 부모의 놀이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3), 19-37.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3.019
-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https://doi.org/10.16978/ECEC.2012.7.2.002
- 김지윤 (2016). 가정환경 및 어머니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진희 (2020).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 인식, 놀이참여가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7(1), 49-64.
- 김혜숙, 고재홍 (2018). 어머니의 지혜와 자녀의 행복: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1), 355-376. https://doi.org/10.20497/jwce.2018.7.1.355
- 김호, 유영의 (2011).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333-352.
- 도남희, 배윤진, 김지예 (2014).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 박주은 (2016). 유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기초연구-유아행복의 개념, 관련 변인, 측정도구에대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5(3), 76-94. https://doi.org/10.17643/KJCE.2016.25.3.05
- 송민영 (1998).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민영, 박현선 (2020).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과 놀이지원 행동이 자녀의 생활시간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51(2), 125-146. https://doi.org/10.16999/kasws.2020.51.2.125
- 심미영, 이문옥 (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 유아의 놀이성,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 509-536.https://doi.org/10.22590/ecee.2018.22.4.509
- 안미현, 김정미 (2017). 유아의 놀이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213-228.
- 안선희, 성은현 (2016). 창의성에 대한 부모인식,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특성간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16(1), 63-79.
- 안세은, 김지현 (2022).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40(1), 1-10. https://doi.org/10.7466/JFBL.2022.40.1.1
- 오미형, 최보가 (2006).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4(1), 1-10.
- 오혜선, 김지현 (2021). 부모 참여적 놀이신념이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가정환경의 질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475-487.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5.475
- 우혜진 (2017).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이경선 (2017).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305-324.
- 이승미, 김언경 (2018). 유아 사교육 현황, 사교육에 대한 유아의 불만족도 및 행복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9(3), 31-48. https://doi.org/10.15854/jes.2018.9.49.3.31
- 이은주 (2010).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주연, 이지영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 기기중독에 미치는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7(4), 263-275. https://doi.org/10.20496/cpew.2020.7.4.263
- 이하정, 탁정화 (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39-6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4.039
- 이현지, 정혜욱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참여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4), 77-9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59
- 이효임, 신나리 (2020).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시간의 매개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59-77.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59
- 임예슬, 한유진 (2015).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부-자녀 간 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2), 1-16. https://doi.org/10.5723/KJCS.2015.36.2.1
- 임진경, 노은호 (2014). 교육조력자로서의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1.
- 장영숙, 조혜정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51-268.
- 장은정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전미경, 장재숙 (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 조해연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목화, 손승희, 박정아 (2017). 보육실 환경 변화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및 놀이성의 차이. 한국생활과학회지, 26(4), 271-282. https://doi.org/10.5934/kjhe.2017.26.4.271
- 최민자, 김진경 (2022).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6(2), 167-193. https://doi.org/10.21459/kccr.2022.26.2.167
- 최성열 (2016). 유아행복 관련변인 연구동향. 아동교육, 25(4), 369-378. https://doi.org/10.17643/KJCE.2016.25.4.19
- 최유석, 임지영 (2021).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 ch, 59(1), 71-82. https://doi.org/10.6115/fer.2021.006
- 최은혜 (2022).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유형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 특성.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정화, 김정화 (2021). 아동 권리를 존중하는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5(4), 511-530. https://doi.org/10.21459/kccr.2021.25.4.511
- 홍지명 (2021).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5), 2687-2699. https://doi.org/10.22143/HSS21.12.5.190
-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 Barnett, L. A. & Kleiber, D. A. (1982). Playfulness and the early play environment.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4(2), 153-164. https://doi.org/10.1080/00221325.1984.9923421
- De Neve, J.-E., Diener, E., Tay, L., & Xuereb, C. (2013) The objective benefi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J. Helliwell, R. Layard, & J. Sachs (Eds.), World happiness report 2013 (pp.54-79). 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 Dewey, J. (1993). How we think. D.C. Heath and Company.
- Fisher, K. R., Hirsh-Pasek, K., Golinkoff, R. M., & Gryfe, S. G. (2008). Conceptual split? Parents' and experts' perceptions of play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305-316. https://doi.org/10.1016/j.appdev.2008.04.006
- Fogle,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uth Carolina University.
- Fung, W., & Chung, K. K. H. (2022). Parental play supportiveness and kindergartners' peer problems: Children's playfulness as a potential mediator. Social Development, 31(4), 1126-1137. https://doi.org/10.1111/sode.12603
- Hirsh-Pasek, K., Golinkoff, R. M., Berk, L. E., & Singer, D. G. (2009). A mandate for playful learning in preschool: Presenting the evi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Guilford Press.
-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 Lin, X., & Li, H. (2019). Chinese mothers'profile which values both play and academics predicts better developmental outcome in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43(1), 61-66. https://doi.org/10.1177/0165025418767062
- Parmar, P., Harkness, S., Super, C. M. (2004). Asian and Euro-American parents' ethnotheories of play and learning: Effects on preschool children's home routines and school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2), 97-104. https://doi.org/10.1080/01650250344000307
- Permiakova, M. Y., Tokarskaya, L. V., & Yershova, I. A. (2016). The research of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in senior preschooler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33, 100-104. https://doi.org/10.1016/j.sbspro.2016.10.153
- Schneider, E., & Rosenblum, S. (2014).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y Child's Play (MCP) questionnai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3), 277-285. https://doi.org/10.5014/ajot.2014.009159
- Shin, N., Vuaghn, B. E., Akers, V., Kim, M., Stevens, S., Krzysik, L., Coppola, G. et al. (2011). Are happy children socially successful? Testing a central premise of positive psychology in a sample of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6(5), 355-367. https://doi.org/10.1080/17439760.2011.584549
- Ward, K. R., & Sutton, G. W. (2009). Aging well: Surprising guideposts to a happier life.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28(2), 184-186.
- Yang, Y. (2008).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1972 to 2004: An age-period-cohort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2), 204-226. https://doi.org/10.1177/0003122408073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