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개재물은 강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세 개재물은 위험하지 않지만, 조대 개재물은 강도를 떨어뜨리고, 반복하중에서 응력 집중원으로 균열 진전의 원인이다. 그래서 강 제조 공정의 새로운 정련 및 개재물 저감 기술은 용강 및 강 제품에 존재하는 비금속 개재물의 크기 및 양을 감소시켰다[1].
Ruhrstahl-Heraeus(RH) 탈기기는 용강에서 수소, 질소, 탄소 및 개재물을 제거하고, 래들에서 용강의 혼합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강 진공 정련로의 일종이다[2]. Hirase는 RH 탈기 공정에 의한 저탄소강 제조에 대한 산업적 시도를 보고하였다[3]. Wahlster와 Reichel은 RH 공정 적용의 일부 기술 및 야금학적 측면에 대해 논의하였다[4]. Watanabe 등은 RH 공정에서 기포 거동과 순환 속도 계산에 대해 논의하였다[5]. Maas와 Hupfer는 순환율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6]. Ono 등[7], Watanabe[5] 및 Kuwabara 등[8]은 순환 유량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을 제안하였다. Tsujino 등은 RH 탈기 공정의 래들에서 3차원 단상 유체 흐름을 모델링하였다[9]. Kato 등은 3차원 단상 유체 흐름을 래들에서 연구하고, 이것이 RH 탈기 장치에서 탈탄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10]. Ahrenhold과 Pluschkell[11] 및 Kamata 등[12]은 RH 공정에서 순환율의 계산과 측정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RH 정련 공정에서 아르곤 가스 유량[13,14] 및 진공 시간[15,16] 등에 관한 실험 및 해석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아르곤 유량 및 진공 압력에 따른 개재물 분포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체계적인 실험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Ruhrstahl Heraeus (RH) 정련 공정에서 아르곤 가스 유량 및 진공 시간 시간을 달리하고,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CC)로 TMCP강을 제조하여, 게재물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2. 재료 및 실험방법
RH 정련은 MgO-C 유형 내화물이 있는 래들에서 처리하였다. 래들에 담긴 용강은 3종류의 아르곤 가스 유량 (140Nm3, 160Nm3, 190Nm3) 및 2torr의 진공에서 10분 및 12분 동안 탈탄, 탈산합금, 탈기 등의 루르슈탈 헤레우스 (Ruhrstahl Heraeus; RH) 정련 공정을 거쳐, 폭 2,200mm, 두께 300mm로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CC)하였다.
Table 1은 각 시험편의 루르슈탈 헤레우스(Ruhrstahl Heraeus; RH) 정련 공정 및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CC) 공정의 조건을 나타낸다.
Table 1. Conditions of Ruhrstahl Heraeus (RH) process and continuous casting (CC) process for each specimen
시험편은 가스 유량 및 진공 시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부르기로 한다.
① TMCP14-12, ② TMCP16-12
③ TMCP19-12, ④ TMCP14-10
⑤ TMCP16-10, ⑥ TMCP19-10
게재물 및 경도는 가로 10mm × 세로 10mm으로 경면 연마하여, 관찰 및 측정하였다. 인장시험편은 압연방향 단면으로 채취한 Fig. 1과 같은 형상과 치수를 사용하였다. 충격흡수에너지는 압연방향으로 채취한 Fig. 2와 같은 형상과 치수의 시험편을 사용하였다.
Fig. 1 Dimension and shape of tensile specimen (Unit : mm)
Fig. 2 Dimension of the V-notch charpy impact test specimen (unit: mm)
게재물의 크기와 양은 Auto-SEM-EDS를 사용하여, 경면 연마한 12종류 시험편의 가로 3mm x 세로 3mm의 면적에서 분석하였다. 인장은 10톤의 인장시험기 ((DTU-900MH)를 사용하였으며, 크로스 헤드 속도는 5 ㎜/min이었다. 충격 흡수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충격시험기(OTC-500, ORIENTAL)는 20kgf-m를 사용하였다. 경도는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기(HM-124, Akashi, Japan)로 시험편마다 22번 측정하고, 최소값 및 최대값을 제외한 20개를 사용하여 와이블분포 해석하였다. 측정 조건은 압입하중 500g, 압입시간 10초로 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개재물 관찰
Fig. 3은 대표적으로 TMCP19-12 시험편에서 분석한 개재물을 나타낸다. (a)(b)(c)는 각각 Al2O3/CaO, MnS 및 TiNb 개재물이다.
Fig. 3 SEM-EDS of inclusions (a) Al2O3/CaO, (b) MnS, (c) TiNb
Fig. 4는 6종류 시험편에서 분석한 전체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의 총수를 나타낸다. 전체 산화물 및 Al-O계 개재물의 총수는 아르곤 가스 유량 및 진공 시간과 관계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Number of total oxides and Al-O inclusions for 6 types of specimen
①∼⑥ 시험편의 전체 산화물 총수는 ⑤시험편에서 최소인 78개, ③시험편에서 최대인 183개 관찰되었다. Al-O계 개재물 총수는 8∼24개이다. Al-O계 개재물 최대는 ④시험편에서 24개가 관찰되었고, 최소는 ③시험편에서 8개이다.
전체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의 총수에서 판단하면, ⑤시험편이 78개 및 14개로 가장 개재물이 작았다.
Fig. 5는 6종류 시험편에서 분석한 전체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의 평균 크기를 나타낸다. 전체 산화물 및 Al-O계 개재물의 평균 크기는 아르곤 가스 유량 및 진공 시간과 관계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Average size of total oxides and Al-O inclusions for 6 types of specimen
전체 산화물 평균 크기는 ①∼⑥시험편에서 4.4∼6.2㎛ 분포였으나, 최소 평균 크기는 ⑤시험편에서 4.4㎛, 최대 평균 크기는 ②시험편에서 6.2㎛였다. 그러나 전체 산화물 평균 크기는 5.47㎛이다. 한편, Al-O계 개재물의 평균 크기는 ①∼⑥시험편에서 3.7∼6.4㎛ 분포였으나, 최소 평균 크기는 ④시험편에서 3.7㎛, 최대 평균 크기는 ①시험편에서 6.4㎛였다.
전체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의 평균 크기에서 판단하면, ②시험편은 각각 4.7㎛ 및 4.4㎛로 가장 작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개재물의 크기는 오차 범위 내의 크기라 판단하였다.
3.2 기계적 특성
Fig. 6은 6종류 시험편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을 나타낸다. 진공 시간 12분 ①∼③시험편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아르곤 가스 유량과 상관없이 거의 비슷하지만, 항복강도는 아르곤 가스 유량 160Nm3인 ②시험편이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ig. 6 Tensile strength,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of 6 types of specimen
한편 진공 시간 10분 ④∼⑥시험편의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는 아르곤 가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연신율은 거의 비슷하였다. 진공 시간 12분 ①∼③시험편의 기계적 특성은 진공 시간 10분 ④∼⑥시험편보다 약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기계적 특성은 아르곤 가스 유량 160Nm3, 진공 12분인 ②시험편이 가장 우수한 것이라 판단되었다. 이것은 비커스경도의 와이블 확률 분포 해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Fig. 7은 6종류 시험편의 항복비 및 단면감소율을 나타낸다. 진공 시간 10분인 ④∼⑥시험편의 항복비는 모두 진공 시간 12분인 ①∼③시험편보다 약간 낮았다. 특히 아르곤 가스 유량 190Nm3, 진공 시간 10분인 ⑥시험편은 가장 낮은 항복비를 나타내었다. 진공 시간 12분 및 10분인 ①∼⑥시험편의 단면감소율은 각각 2.3, 2.0, 2.3 및 1.9, 2.4, 1.6을 나타내었다. 진공 시간 10분인 ④∼⑥시험편의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는 진공 시간 12분인 ①∼③시험편보다 약간 작음에도 불구하고, 단면수축율이 작은 것은 게재물의 영향이라 판단되었다.
Fig. 7 Yield ratio(σy/σu) and reduction of area(RA) of 6 types of specimen
Fig. 8은 6종류 시험편의 가공경화지수(n) 및 강도계수(K)를 나타낸다. 가공경화지수는 재료의 가공경화 정도를 나타내며, 진응력(σ)과 진변형율(𝜖) 곡선에서 식 (1), (2)와 같이 나타낸다.
\(\begin{align}\sigma = K \epsilon ^ { n }\end{align}\) (1)
\(\begin{align}\operatorname { log } \sigma = \operatorname { log } K + n \operatorname { log } \epsilon\end{align}\) (2)
Fig. 8 Strain hardening exponent (n) and strength coefficient (K) of 6 types of specimen
여기서 n은 가공경화지수 (strain hardening exponent), K는 강도계수 (strength coefficient)이다. n은 진응력-진변형률 선도에서 기울기로 클수록 네킹 발생 전까지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즉, 연성이 커서 성형성이 우수하다. K는 진변형률의 크기가 1일 때 진응력 값으로, 진응력-진변형률에서 곡선의 높이와 관계되며, K값이 작아야 소성가공에 유리하다.
가공경화지수는 진공 시간 10분인 ④시험편을 제외하고, ⑤과 ⑥시험편은 진공 시간 12분인 ①∼③시험편보다 작았다. 이것은 진공 시간 10분인 시험편은 네킹의 발생이 빠르게 나타나면서 파괴하는 것을 의미하고, 진공 시간 12분인 시험편은 네킹이 늦게 나타나는 변형저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진공 시간 10분인 ④∼⑥시험편의 강도계수는 진공 시간 12분인 ①∼③시험편보다 작으므로 소성가공이 쉽다.
Fig. 9는 6종류 시험편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를 나타낸다. 흡수에너지가 큰 것은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딘다는 것이다. 진공 시간 12분인 ①∼③ 및 10분인 ④∼⑥시험편은 아르곤 가스 유량이 많을수록 충격 흡수에너지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진공 시간 12분인 ①∼③시험편의 충격 흡수에너지는 진공 시간 10분인 ④∼⑥시험편보다 크다. 이것은 진공 시간 12분이 충격저항성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충격저항성은 아르곤 유량 140Nm3, 진공 시간 12분인 ①시험편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Fig. 9 Charpy absorbed energy of 6 types of specimen
3.3 마이크로 비커스경도의 와이블 해석
6종류 시험편의 비커스경도는 ① 430.1∼459.0, ② 439.5∼474.7, ③ 426.5∼474.7, ④ 417.8∼468.8, ⑤ 429.0∼474.3, ⑥ 421.4∼453.2로 분산이 나타났다.
비커스경도는 아르곤 가스 유량 및 진공 시간과 상관없이 일정한 값이 아니고, 변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산을 나타내는 특성 평가는 분산 분포를 고려한 확률론적 평가가 매우 중요하여, 최약 링크 가설을 고려한 2-파라미터 와이블 분포를 적용하여 와이블 통계 해석하였다[17].
2-파라미터 와이블 분포 F(x)로 표현하는 누적 분포 함수는 다음 식과 같다.
\(\begin{align}F ( x ) = 1 - \operatorname { exp } [ - ( \frac { x } { \beta } ) ^ { \alpha } ]\end{align}\)
여기서, F(x)는 비커스경도의 확률, α는 확률변수의 변동성을 의미하는 형상파라미터(shape parameter)로서, 커지면 통계적 분산이 작아지므로 신뢰성이 높아진다. β는 63.2% 확률에서 특성 수명을 나타내는 척도파라미터(scale parameter)이다.
Fig. 10은 6종류 시험편의 비커스경도를 와이블 확률로 나타낸 것이다. (a) 및 (b)는 3종류의 아르곤 유량 (140Nm3, 160Nm3, 190Nm3)에서 각각 2torr 진공에서 12분 및 10분 RH 정련 공정을 거친 CC시험편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비커스경도는 와이블 확률 분포로 설명할 수 있다.
Fig. 10 Weibull plot for Vickers hardness of 6 types of specimen
Table 2는 와이블 확률에서 얻어진 6종류 시험편의 형상파라미터, 척도파라미터 및 산술통계에 의한 변수도 나타내었다. 형상파라미터는 많은 분산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경도 분산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형상파라미터의 최대는 ①시험편에서 63.8을 나타내고, 최소는 ③시험편에서 39.1을 나타내었다. 한편 척도파라미터는 최대는 ②시험편에서 464.0을 나타내고, 최소는 ⑥시험편에서 441.8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비커스경도의 형상 및 척도파라미터에서 판단하면, 형상파라미터는 ①시험편의 63.8보다 ②시험편이 약간 작지만, 63.2%의 특성 수명인 척도파라미터가 ②시험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Table 2. The estimated Weibull parameters in 6 types of specimen.
Table 2에서 ①∼⑥시험편의 아르곤 유량과 진공 시간에 따라서 평균은 일정하지 않고, 다르게 나타났다. ⑥시험편의 비커스경도 평균은 ①∼⑤시험편의 약 94.4∼98.9%로 약간 낮았다. ③-⑥시험편의 변동계수는 ①과 ②시험편의 것보다 약간 크게 나타나, 경도 분산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4. 결론
본 연구는 Ruhrstahl Heraeus (RH) 정련 공정에서 아르곤 가스 유량 및 진공 시간을 달리하고,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CC)한 TMCP강의 개재물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속주조 TMCP강은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이 많이 관찰되었다. 아르곤 가스 유량 160Nm3, 진공 시간 10분인 ⑤시험편의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은 각각 78개 및 14개로 가장 개재물이 작았다.
(2) 아르곤 가스 유량 160Nm3, 진공 시간 12분인 ②시험편의 산화물과 Al-O계 개재물의 평균 크기는 각각 4.7㎛ 및 4.4㎛로 가장 작았다.
(3) 기계적 특성(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은 아르곤 가스 유량 160Nm3, 진공 시간 12분인 ②시험편이 가장 우수하여, 와이블 확률 분포 해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4) 충격저항성은 아르곤 유량 140Nm3, 진공 시간 12분인 ①시험편이 가장 우수하였다.
(5) 비커스 경도는 분산을 나타내었고, 와이블 분포로 설명할 수 있었다. 형상 및 척도파라미터에서 비커스경도는 아르곤 가스 유량 160Nm3, 진공 시간 12분인 ②시험편이 가장 우수하였다.
(6) 상기와 같이 아르곤 유량 및 진공 시간에 따른 시험편의 개재물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지만, 본 연구의 범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References
- C. Yang, F. Tang, T. He, Q. Fu, "Water model on fine inclusion removal by bubble flotation in RH refining process,"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vol. 528, pp. 107-111, (2014).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AMM.528.107
- C. Yang, F. Tang, T. He, Q. Fu, "Physical simulation of inclusions removal in 180t RH degasser," Advanced Materials Research, vol. 750-752, pp. 375-379, (2013).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AMR.750-752.375
- M. Hirase, "Manufacture of low-carbon steel by the RH degassing process," Iron Steel Institute Specification Report no. 154, p. 459, (1965).
- M. Wahlster, H. H. Reichel, "Some technical and metallurgical asp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RH process," Steel Times, vol. 195, pp. 459-468, (1968).
- H. Watanabe, K. Asano, T. Saeki, "Some chemical engineering aspects of R-H degassing process," Tetsu-To-Hagane, vol. 54, pp. 1327-1342, (1968). https://doi.org/10.2355/tetsutohagane1955.54.13_1327
- H. Maas, P. Hupfer, "The significance of the circulation rate on the vacuum treatment of liquid steel with the RH process," Vacuum, vol. 19, pp. 199-203, (1969). https://doi.org/10.1016/S0042-207X(69)80102-8
- K. Ono, M. Yanagida, T. Katoh, M. Miwa, T. Okamoto, "The circulation rate of RH-degassing process by water model experiment," Denki Seiko (Electr. Furnace Steel), vol. 52, pp. 149-157, (1981). https://doi.org/10.4262/denkiseiko.52.149
- T. Kuwabara, K. Umezawa, K. Morim, H. Watanabe, "Investigation of decarburization behavior in RH-reactor and its operation improvement," Trans. Iron Steel Inst. Jpn., vol. 28, pp. 305-314, (1988). https://doi.org/10.2355/isijinternational1966.28.305
- R. Tsujino, J. Nakashima, M. Hirai, I. Sawada, "Numerical analysis of molten steel flow in ladle of RH process," ISIJ Int., vol. 29, pp. 589-595, (1989). https://doi.org/10.2355/isijinternational.29.589
- Y. Kato, H. Nakato, T. Fujii, S. Ohmiya, S. Ohmiya, S. Takatori, "Fluid flow in ladle and its effect on decarburization rate in RH degasser," ISIJ Int., vol. 33, pp. 1088-1094, (1993). https://doi.org/10.2355/isijinternational.33.1088
- F. Ahrenhold, W. Pluschkell, "Circulation rate of liquid steel in RH degassers," Steel Research, vol. 69, pp. 54-59, (1998). https://doi.org/10.1002/srin.199801343
- C. Kamata, S. Hayashi, K. Ito, "Estimation of circulation flow rate in RH reactor using water model," Tetsu-To-Hagane, vol. 84, pp. 484-489, (1998). https://doi.org/10.2355/tetsutohagane1955.84.7_484
- J. Han, X. Wang, D. Ba, "Coordinated analysis of multiple factors of argon blowing parameters on the effect of circulation flow rate in RH vacuum refining process," Vacuum, vol. 109, pp. 68-73, (2014). https://doi.org/10.1016/j.vacuum.2014.05.007
- K. Peng, C. Liu, L. Zhang, Y. Sun, "Numerical simulation of decarburization reaction with oxygen blowing during RH refining process," 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B, vol. 53, pp. 2004-2017, (2022). https://doi.org/10.1007/s11663-022-02519-0
- T. Kuwabara, K. Umezawa, K. Mori, H. Watanabe, "Investigation of decarburization behavior in RH-reactor and itsoperation improvement," Trans. ISIJ, vol. 28, pp. 305-313, (1988). https://doi.org/10.2355/isijinternational1966.28.305
- Y. G. Park, K. W. Yi, S. B. Ahn, "The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and dimensions of the RH system on melt circulation using numerical calculations," ISIJ Int., vol. 41, pp. 403-409, (2001). https://doi.org/10.2355/isijinternational.41.403
- S. Y. Yun, S. H. Gu, K. W. Nam, "Reliability evaluation of hardness and impact absorption energy of tempered structure steel SCM435," Journal of the Industry Convergence and Application, vol. 22, no. 6, pp. 681-688,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