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Focusing on MZ Generation in the COVID-19 Period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3.03
  • Accepted : 2023.03.15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reviews prior studie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of MZ generation and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the 2020 Korea Housing Survey data. Using 14 residen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ree classifications, we explore the effec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arking facility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by hindering validity, and as a result, KMO was 0.925 and Bartlett's test result showed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less than 0.01. This indicates that the factor analysis model was suitable.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for the MZ generation show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a potential variabl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e fi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accessibility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more significant the sense of housing ownership appears. This suggest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such as the MZ generation has a stronger desire for consumption. Fourth, the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of the MZ generation was significant for housing movement, but not for housing ownership. Compared to the industrialized generatio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X generation, MZ generation shows distinct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housing ownership, and housing movement. Therefo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urvey should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ioritiz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housing market that suits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eneration. Finally, our study provides implications regarding the need for housing-related research on how differ in special temporal situations such as COVID-19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MZ세대의 주거환경특성,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20년 한국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다. 주거환경특성 14개 항목을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MZ세대의 주거환경에서 14개 항목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의 Varimax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14개 항목 중 주차시설 항목은 유효성을 저해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그 결과 KMO는 0.925, Bartlett의 검사결과는 0.01 미만의 유의한 확률을 보여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특성의 잠재변수인 주변환경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접근용이성, 이용편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MZ세대와 같은 젊은 세대일수록 소비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상업시설 접근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거보유의식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MZ세대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주거이동에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주거보유의식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산업화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와 다른 주거환경특성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그 요인은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특성 항목들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개선하고 보완해야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양극화를 줄이기 위하여 세대의 환경과 특성에 맞는 주택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간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차이가 나타나는지 주거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부성(2003),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서울: 시공문화사.
  2. 강은택.권대중(2015), "주택점유형태와 주거이동 동기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지」, 33(1): 215~230.
  3. 강은택.정효미(2015), "노인가구의 주거특성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3(1): 109~121.
  4. 강지혜.윤정숙(2009),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의식 유형화와 주거요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12): 31~40.
  5. 곽인숙.김순미(1996), "가족생활주기별 주거소비 및 주거이동 지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4): 233~248.
  6. 김부성.정재호(2015), "세종시로의 주거이동 및 주거만족도 요인 분석", 「부동산연구」, 25(4): 21~32. https://doi.org/10.6107/JKHA.2014.25.4.093
  7. 김용선.송명규(2014), "주택시장 경기변동과 주거특성들의 아파트가격에 대한 영향력 변화", 「부동산학보」, 58(58): 209~223.
  8. 김우성.허은정(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https://doi.org/10.17053/JCC.2007.10.4.002
  9. 김정범(2022),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동주택 주거 만족도와 주거애호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81: 175~190.
  10. 김준형(2008), "주거이동 가구의 주거소비행태 변화와 지역주택가격의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김진후(2021), "수도권 베이비부머의 주거이동과 주택자산선택 연구: 베이비부머의 은퇴여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12. 류태민(2021.12.6), "주택정책 방향 국민의 높은 주택보유의식을 고려해야", 아시아 경제.
  13. 민충근(2021),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10년,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 박인규.최완호.장희순(2013), "군인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확회논문집」, 11(3): 57~72.
  15. 백성욱(2021),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와 Aging in Place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6. 손상락.윤동준(2011), "2010 주거실태조사로 본 도시민의 은퇴 후 주거선택 의향과 정책제언", 「경남발전연구원」, 1~37.
  17. 심윤수(2007), " 공공주택의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SH 공사 임대.분양혼합배치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8. 옥희석(2020), "세대와 거주 지역별 주택규모, 주거이동, 주거환경만족도의 변화 분석 연구: 2006~2018년 주거실태조사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영산대학교.
  19. 윤상훈.이재영(2016),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주거환경만족도 영향 요인 규명", 「도시연구」, 10: 69~97. https://doi.org/10.34165/urbanr.2016..10.69
  20. 윤영종.박환용(2019), "베이비부머 은퇴세대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0(4): 85~94 . https://doi.org/10.6107/JKHA.2019.30.4.085
  21. 윤호(2007),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부동산 정책연구」, 8(2): 21~38.
  22. 이석기(2021), "청년세대의 주택보유의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3. 이송렬(2022), "부동산시장서 발 넓히는 MZ세대", 「감정평가」, 125: 89~91.
  24. 이현정(2015), "청년 임차가구의 자가 주택 보유 의식 및 영향 요인",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2): 215.
  25. 정병호.정재호(2015), "주거특성이 주거의 만족도와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동산학보」, 63(63): 256~267.
  26. 제해득(2016), "주거만족도 요인구조와 주거복지정책 중요도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27. 조하형(2011), "공동주택의 효율적 관리가 주거만족도 및 투자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8. 주거학연구회(2018), 「넓게 보는 주거학」, 파주: 교문사.
  29. 최재헌.윤현위(2013), "수도권 고령인구의 공간 분포와 주거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8(3): 408~414.
  30. 한충남(2015), "주거실태조사를 이용한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31. 황광훈(2022),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LHI Journal」, 13(3): 21~38.
  32. 황상민.양진영(2002), "한국사회의 세대집단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 전이적 공존 관점을 통한 대학생 집단의 세대 이미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6(3): 75~93.
  33. Gale, S.(1973), "Explanation Theory and Models of Migration", Economic Geography, 49(3): 257~274. https://doi.org/10.2307/143131
  34. Moore, E. G.(1972),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ity",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Resource Paper, 13: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