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혼여성의 행복은 세대별로 어떻게 다른가? - 생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

How does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Differ by Generation? - Focusing on the Impact of Time Allocation -

  • 이현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 김주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Lee, hyunah (Dept.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Kim, Joohee (Dept.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투고 : 2023.09.26
  • 심사 : 2023.11.24
  • 발행 : 2023.11.30

초록

본 연구는 생활시간의 배분과 균형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생활시간의 관점에서 시간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기혼여성이 느끼는 행복의 단면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세대별 생활시간구조를 살펴보고, 생활시간의 관점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기혼여성의 행복을 시간차원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세대별로 행복을 느끼는 정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의 경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의 행복에는 의무시간인 주업시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Y세대의 행복에는 돌봄필요가구원 여부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반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기혼여성의 경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봉사 및 여가시간에 따라, Y세대는 성역할태도에 따라 행복수준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활시간관점에서 기혼여성이 느끼는 행복수준이 세대에 따라, 그리고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다르고, 또 그 영향요인 또한 세대와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는 기혼여성 대상 가족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considered allocating and balancing time use a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atisfaction with time use. W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ime use,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in the perspective of time use through the Time Use Survey data. Analyzing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we found out that the level of happiness and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varied by generation. In the case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the happiness of baby boomers and Generation X was mostly impacted by mandatory work hours, while the happiness of Generation Y was mostly impacted by the presence of care-dependent people. However, in the case of economically unactive women, the happiness of baby boomers and Generation X was mostly impacted by leisure and volunteering time that could be used freely, while the happiness of Generation Y was mostly impacted by the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Therefore, through the perspective of time use, the happiness an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differs by generation and economic activeness.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family policies for married women.

키워드

참고문헌

  1. 구교준.임재영.최슬기(2015). 행복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부학연구, 21(2), 95-130. https://doi.org/10.19067/JGS.2015.21.2.95
  2. 구재선.서은국(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25(2), 143-166.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2.008
  3. 권안나(2021). 1인가구의 일.여가 유형에 따른 행복수준.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15-30. DOI: 10.22626/jkfrma.2021.25.4.002.
  4. 김난도 외(2017). 트렌드 코리아 2018. 미래의 창.
  5.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3), 25-43.
  6. 김종순.오세숙.윤소영(2016).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학연구, 14(4), 67-85. https://doi.org/10.22879/SLOS.2016.14.4.67
  7. 김종순.오세숙(2018). 일과 여가균형 정도에 따른 남성 베이비부머의 여가시간,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수준의 차이. 여가학연구, 16(3), 37-51. https://doi.org/10.22879/SLOS.2018.16.3.37
  8. 권진.박수빈.김진욱(2021). 한국 기혼남성의 생활시간구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생명연구, 62, 97-123.
  9. 박시내.심규호(2010). 베이비붐세대의 현황 및 은퇴효과분석. 통계개발원 연구보고서. 통계청.
  10. 박재환.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한울.
  11. 서지원.기은광.고선강(2021). 한국 여성과 남성의 세대별 가사노동시간의 변화(1999-2009):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 시간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2), 53-78. DIO: 10.22626/jkfrma.2021.25.2.005.
  12. 신아름.이상직(2021). 일-여가 인식 유형과 행복.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및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 연구 심층분석보고서. 214-237. 국회미래연구원.
  13. 심수진(2016). 한국사회에서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통계연구, 21(3), 25-47.
  14. 윤소영(2013).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의 실천과제. 2013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15. 은기수.조희금.송혜림.서지원.송유진.김은지.차승은(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
  16. 이기영.김외숙(200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7. 이재희.박창현.박은영.최지예(2019). 육아행복 국제비교 연구 : 삶의 질 조사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8. 이진우.금현섭(2020). 맞벌이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2(1), 34-69.
  19. 이태진.김성아 외(2021).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이현아.김주희(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DOI: 10.22626/jkfrma.2021.25.4.006.
  21. 이현아.김은정.김유경(2022). 가사노동과 돌봄정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2. 장미나.한경혜(2015). 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유형과 유형별 이상정서경험. 가족과 문화, 27(2), 98-129.
  23. 주은선(2016).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7), 75.
  24. 차승은(2014). 유급노동시간, 시간압박감 그리고 휴식의 효과. 한국인구학, 37(3), 25-52.
  25. 통계청(2020.07.3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도자료. https://sri.kostat.go.kr/board.es?mid=a10301060400&bid=220&act=view&list_no=384161&tag=&nPage=1&ref_bid=에서 2023.11. 인출
  26. 통계쳥(2021). 2021년 사회조사 결과. 통계청.
  27. 한겨레(2021.09.23). 하루 5시간 이상의 자유는 행복감을 떨어뜨린다?.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12433.html에서 2023.09. 인출
  28. 허종호(2022). 한국인의 행복과 일. 국민행복포커스 제2호. 국회미래연구원.
  29. 홍성희.김혜연.김성희.윤소영.고선강(2008). 건강가정을 위한 가정자원관리. 신정.
  30. John F. Helliwell, Richard Layard, Jeffrey D. Sachs, Jan-Emmanuel De Neve, Lara B. Aknin & Shun Wang(2023). World Happiness Report 2023.
  31. OECD(2011). How's Life? Measuring Well-Being. Paris: OECD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