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곽영순(2012).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3(2), 162-169.
- 김봉제(2021). 인공지능 기반 도덕과 교육 플랫폼 개발. 한국초등교육, 31(특별호), 139-158. https://doi.org/10.20972/KJEE.31..202101.139
- 김선미(2018).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주제통합방식 환경교육 프로그램 구안 방안: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선일, 신영준(2019). 체험중심 생태환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8(4), 465-474.
- 김재호(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지윤(2008).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란(2020). 초등 과학 수업에 VR 구현 프로그램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9(2), 296-305.
- 문우종, 김봄솔, 김정아, 김봉철, 서영호, 오정철, 김용민, 김종훈(2021). 데이터 라벨링 중심의 머신러닝 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2), 327-335.
- 박은정(2007). 미세먼지와 그 유해화학물질의 건강위해성 평가.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이서로, 김영식(2020). AI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A)), 187-190.
- 박종찬(2020). 엔트리코딩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은정(2017).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탐색. 환경교육, 30(3), 237-250. https://doi.org/10.17965/KJEE.2017.30.3.237
- 설휘재, 소금현(2021). 바이오에너지에 관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에너지 절약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9(2), 151-161. https://doi.org/10.15717/BIOEDU.2021.49.2.151
- 손원성(2020). 인공지능(AI)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SW교육 수업안 개발: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4(5), 453-462.
- 손정명, 김태영(2021). 초등학교 교과연계 인공지능 교육 운영 사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1), 111-114.
- 송숙진(2020). 미세먼지 지식과 미세먼지 대응에 대한 인식 및 실천 비교: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정범(2020).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인공지능 도구 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12), 2135-2142.
- 송희화(2020). 환경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 미세먼지 교육 프로그램 구안: 초등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윤화(2016). 환경동화를 활용한 유아 환경 교육 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미정, 소금현(2020). 환경동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학생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8(1), 99-109. https://doi.org/10.15717/BIOEDU.2020.48.1.99
- 오석환(2021).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순진(2009). 학교 기후 변화와 교육의 현황과 과제. 환경교육, 22(2), 1-22.
- 이가빈(2017).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나(2020). 국내 지역별 미세먼지 배출 효율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성덕, 김형균(2010).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47(2), 65-88.
- 이성희(2018).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초등 저학년 황사. 미세먼지 안전지도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승철, 김태영(2020).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내용 및 방법 제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1), 177-180.
- 이지혜, 허난(2018). 수학교육의 변화와 인공지능과의 연관성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32(1), 23-36.
- 임철일(2019). 미래 사회와 교육을 위한 교육공학 연구 및 실천 영역의 재조명. 교육공학연구, 35(2), 253-287.
- 장나리, 이상원(2020). 미세먼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지식.인식 및 태도 조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3(3), 1-20.
- 장미화, 이미형, 이선미, 조윤수, 조경숙(2019). 아두이노를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미세먼지측정기 만들기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6, 224-228.
- 장필경(2017).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남숙(2014). 동기강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기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학연구, 21(1), 135-154.
- 정성열(2020).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관한 사상구 주민의 인식 연구. 동의대학교 국가안전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현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초등과학교육, 36(3), 286-301.
- 천은지(2020). VR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민영, 이태욱(2019). 인공지능 교육의 현황과 학교 및 교사의 역할 변화 예측.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2), 85-88.
- 최성봉(2008). 환경교육 영상매체 활용 수업이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7(10), 1183-1191.
- 허설화(2017).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미세먼지 예방 보드게임 개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하나(2016). 미세먼지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손상 인식과 관리 태도에 관한 만족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환경부(2016).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
- 황연주(2020). 초등 미술수업에서 스마트폰 앱 '퀴버'를 활용한 3D 증강현실 애니메이션 교육 방안. 미술교육 연구논총, 60, 277-308.
- Bandura, 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 https://doi.org/10.1521/jscp.1986.4.3.359
- OECD (2014). The Cost of Air Pol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