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간의 종단적 관계

  • 배아란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작은숲키큰나무어린이집)
  • Received : 2022.06.20
  • Accepted : 2022.10.06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 confirm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through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rom 2008 to 2010 and the participants were 1,444 mothers with infa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s using SPSS 28.0 and AMOS 26.0. Result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gradually increased,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gradually decreased. Having a lot of parenting knowledge reduced mother's parenting stress. Mother's parenting stress reduc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s parenting stress increas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promot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long with the systematiz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for mothers with infants to acquire parenting knowledge.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현, 강희경 (1997). 논문편: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2. 김미정, 하지민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상관계와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283-303.
  3. 김민정, 도현심, 신나나, 최미경 (2013).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2), 101-119. https://doi.org/10.5723/KJCS.2013.34.2.101
  4. 김민형, 곽승철, 김기룡 (2015).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조절효과. 자폐성장애연구, 15(2), 49-66.
  5. 김정미, 강정원, 박선영 (2011).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3(2), 1-19.
  6. 김정미, 문승미, 김유정, 안선희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어머니-교사 관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5), 79-98. https://doi.org/10.5723/KJCS.2013.34.5.79
  7. 김진경, 서주현, 배희분 (2016). 어머니의 출산 전.후 우울과 양육스트레스가 영아 발달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591-611.
  8. 김춘경, 조민규 (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종단적 관계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6, 33-56.
  9. 남기원, 변유미 (2018).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자녀의 식습관 및 수면시간 간의 단기 종단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2(1), 389-413. https://doi.org/10.32349/ECERR.2018.2.22.1.389
  10. 도현심, 이선희, 오유리, 김경미, 최규리, 강나현 (2009).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도 및 지식정도. 아동학회지, 30(3), 127-143.
  11. 민현숙, 문영경 (2013).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43-56. https://doi.org/10.5934/KJHE.2013.22.1.43
  12. 배아란 (2021).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종단적 분석: 혼합연구방법 적용.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배은희, 이소연 (201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 31(1). 26-45.
  14. 서영민 (2011). 첫 자녀 임신에서부터 조기 양육까지 '어머니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둘째자녀 출산계획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진영, 이주연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및 양육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369-38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369
  16. 성정혜, 김춘경 (2018). 어머니의 우울이 부모의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의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육아정책연구, 12(1), 99-123. https://doi.org/10.5718/kcep.2018.12.1.99
  17. 송연숙, 김영주 (2007). 1세-3세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475-493.
  18. 송영주, 이미란, 천희영 (2014). 첫 자녀 출산 후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자녀가치, 양육지식, 자녀미래기대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5), 15-35. https://doi.org/10.5723/KJCS.2014.35.5.15
  19.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양미선, 김양은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21. 이경하, 서소정 (2009).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3), 87-102.
  22. 이송은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수행귀인 및 부모역할 인식과 그에 따른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슬기, 전귀연, 김수경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일-아버지의 역할 갈등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1), 35-49.
  24. 이정숙, 방영숙, 배장오 (2016).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8(3), 27-41.
  25. 이종욱, 최한희, 박병기 (2012). 부모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교육 21(4), 275-296.
  26. 이주연 (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양육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희정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2), 87-115.
  28. 장선희 (201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정미라, 강수경, 김민정, 최혜정 (2014). 12개월 영아의 기질, 영아에 대한 어머니 애착, 양육스트레스와 영아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4(3), 333-354. https://doi.org/10.18023/kjece.2016.34.3.016
  30. 정윤주, 채진영 (2010. 10). 어머니의 부모역할 적응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제1회 한국아동패널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31. 최옥주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유아 사회성 간의 종단연구. 유아교육연구, 36(3), 127-149.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06
  32. 최인숙 (2015). 영아기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이 3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연구. 아동학회지, 36(6), 147-164. https://doi.org/10.5723/KJCS2015.36.6.147
  33. 최효식, 연은모, 권수진, 홍윤정 (2013).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육아정책연구, 7(2), 21-45.
  34. 최효식, 연은모 (2014).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양육태도 간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6), 5-30.
  35. 황성온, 황지온 (2015).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36(4), 163-176. https://doi.org/10.5723/KJCS.2015.36.4.163
  36. 홍세희 (1999). 문항반응 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워크샵, 1999(3), 1-89.
  37.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ediatric psychology press.
  38.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104_12
  39.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40. Ardelt, M. & Eccles, J. S. (2001). Effects of mother's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promotive parenting strategies on inner-city youth. Journal of Family Issues, 22(8), 944-972. doi:10.1177/019251301022008001
  41.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t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https://doi.org/10.1080/016502596385820
  42. Crnic, K. A.,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1042-1050. https://doi.org/10.2307/353007
  43.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2
  44. Huang, K. Y., Caughy, M. O., Genevro, J. L., & Miller, T. L. (2005). Maternal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quality parenting among White, African-American and Hispanic moth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26(2), 149-170. https://doi.org/10.1016/j.appdev.2004.12.001
  45.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s & manual (2nd ed.) Educational Testing Service.
  46. Mulsow, M., Caldera, Y. M., Pursley, M., Reifman, A., &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4), 944-95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944.x
  47. Laakso, M. L., Poikkeus, A. M., Eklund, K., & Lyytinen, P. (1999). Social interactional behaviors and symbolic play competence as predictors of language development and their associations with maternal attention-directing strategie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2(4), 541-556. https://doi.org/10.1016/S0163-6383(00)00022-9
  48.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 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