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Emotional Labour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on Effect of Flourish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복감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효과 : 면세점 판매사원 대상 연구

  • Choi, Jung-woo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Organization Counseling) ;
  • Jung, Sung-cheol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최정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 정승철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22.01.27
  • Accepted : 2022.03.13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On this study, we've analyzed Emotional labor's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mediation of flourishing and moderate of social support, targeting the 323 employees working in a downtown duty free store by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V. 2.16.3) to verify used study structure. From this study, a few main th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is a positivel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 over intention also negativel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flourishing and social support after study. Secondly, It is founded out there is a mediation effect of flourishing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 over intention. Thirdly, Flourishing works as mediator and social support is works as a moderator fact on flourishing. Fourthly, social support effect works better when emotional labor lever is higher. Based on this result, we provide some implications, advices and limitations for alleviating turn over coming from emotion labor level of duty free working clerks.

본 연구에서는 서울 한 시내 면세점에 근무하고 있는 판매종사자들 323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를 통한 '행복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 노동, 이직 의도,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 등의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에 활용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V.2.16.3)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몇 가지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 노동은 이직 의도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정 노동과 이직 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행복감은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사회적 지지는 매개변수에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는 감정 노동수준이 낮을 때보다 감정 노동수준이 높을 때 더욱 큰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면세점 판매종사자들의 감정 노동으로 인한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내희(1995), 백화점과 노동의 연예화, 공간, 육체, 권력. 서울, 문화과학사.
  2. 강문실,송병식(2008), "정서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 결과요인 그리고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학술대회발표 논문집, 1-28.
  3. 국가인권의원회(2015). 유통업 서비스 판매 종사자의 건강권 실태조사결과.
  4. 김수연, 장세진, 김형렬, 노재훈(2012),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 노동과 우울수준," 대한산업의학학회지, 12(3), 227-235.
  5. 김영조, 한주희(2008), "서비스직원의 감정 노동수행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32(3), 95-128.
  6. 김준환(2010), 감정처리 프로세스와 적응적 판매가 관계의 질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7. 네이버 지식백과 (2007). 감정 노동, emotion work, emotional labor. 선샤인 논술사전, 인물과 사상사.
  8. 박상영(2015).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유효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9. 박율희(2016), 면세점직원의 감정 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10. 박종원(2021),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4(1), .39-50. https://doi.org/10.22788/4.1.3
  11.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12. 박홍주(2006). 감정 노동, 여성의 눈으로 다시 보기. 인물과 사상, 85.
  13. 서영석(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22(4), 1147-1168.
  14. 손형준, 정승철(2019),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2(1), 81-92. https://doi.org/10.22788/2.1.6
  15. 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2011). 제국. 서울, 이학사..
  16. 오성길(2012). 직무소진이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7. 오종철, 안운석(2018), "콜센터 상담직원의 직무 특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1(1), 145-164. https://doi.org/10.22788/1.1.10
  18. 우석봉(2000), 호텔 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선행요인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19. 이영자, 김태현(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9(3), 79-94.
  20. 이은현, 김진선(2000), "사회적 지지의 효과 모델 및 통계분석방법에 관한 국내간호논문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0(6), 1503-1520. https://doi.org/10.4040/jkan.2000.30.6.1503
  21. 이지영,정승철(2020), "PR실무자의 직무특성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벤처혁신연구, 3(2), 129-145. https://doi.org/10.22788/3.2.7
  22. 이환정(201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23. 이현주,정승철(2021),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관계에서 변화 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벤처혁신연구, 4(3), 89-108. https://doi.org/10.22788/4.3.6
  24. 정승철(2017),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번영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2(2), 137-149. https://doi.org/10.16972/APJBVE.12.2.201704.137
  25. 정승철(2015), PSRI: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척도 개발 보고서. 한국가이던스.
  26. 조종현(2018),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1(2), 129-144. https://doi.org/10.22788/1.1.9
  27. 진야핑(2016), 면세점 종업원의 감정 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8. 탁진국,홍현숙,이강숙(2002),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35(2),160-168.
  29. Allen, N. J., and J. P. Meyer(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30. Arnold, H. J., and D. C. Feldman(1986),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Hill Book Company
  31. Ashforth, B. E., and R. H. Humphrey(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https://doi.org/10.2307/258824
  32. Barak, M. M., J. A. Nissly and A. Levin(2001)."An Atecedents to Retention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and Meta Analysis," Social Service Review, 626-661.
  33. Bluedorn, A. C.(1982). "A Taxonomy of Turnover" Academy of Manegement Review. 3. 11-21.
  34. Cammann, C., M. Fichman, D. Jenkins and J. Klesh(1979), The Michigan Organiza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chigan.
  35. Cordes, C. L. and T. W. Dougherty(1993), "A Review and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4) ,621-656. https://doi.org/10.2307/258593
  36. Choi, H. J(2011),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reself-evaluati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Hotel Industry,"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Studies, 13(3),168-186.
  37. Choi, H. J(2012), "A Study on Coreself-evaluation,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tel Front Line Staff,"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2), 118-133.
  38. Diener, E., D. Wirtz, D., R. Biswas-Diener, W. Tov, C. Kim-Prieto, D. Choi and S. Oishi(2009), New Measures of Well-being. Assessing Well- being: The Collected Works of Ed Diener, Vol. 3,. New York, NY: Springer
  39. Grandey(201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40. Hochschild(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https://doi.org/10.1086/227049
  41. Hochschild(1983), The Managed Heart, Berkeley and Los Angele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 Hom, P. W., and R. W. Griffeth(1995), Employee Turnover. Cincinnati, OH: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43.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44. Kruml and Geddes(2000), "Explod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4(1), 8-49. https://doi.org/10.1177/0893318900141002
  45. Iverson, R. D.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lle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46. Negri, A and M. Heardt(2000), Empir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7. Morris, J. A., and D. C. Feldman(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48. Seligman, M. E. P(2002),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49. Steel, R. P.,and N. K. Ovalle(1984),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Alliterations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0. Ryan, R. M., and E. L. Deci(2001), "On Happiness & Human Potential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7, 1069-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