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Use Behavior of Urban Park Users Expressing Depression on Social Media Using Text Mining Technique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SNS 상에서 우울감을 언급한 도시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 오지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 남성우 (건축공간연구원 건축정책본부) ;
  • 이상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Received : 2022.02.18
  • Accepted : 2022.03.25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park use behaviors using on line posts. During the period of the pandemic prevention activities, text data containing both 'park' and 'depression' were collected from blogs and cafes in the search engine of Naver and Daum, then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techniques. As a result, the main usage behaviors of park users who mentioned depression were 'look', 'stroll(walk)' and 'eat'. Other types of behaviors were connected centering around 'look', one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Also, from CONCOR analysis, as the cluster referred from communication behavior and dynamic behavior was formed as a single behavior type, it was considered park users with depression perceived the park as the space for communic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As the spread of COVID-19 caused the restriction of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users might consider parks as one of the solutions.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passive usage behaviors have prevailed rather than active ones due to the depression. Resulting outcomes would be useful to plan helpful urban park for citizens. It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the park use behavior of users in relation to the period of before/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depression.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에 의한 우울감과 공원 이용행태의 관계를 온라인상에 게시된 공원 이용에 대한 게시물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COVID-19 방역이 활발해진 기간 동안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및 카페에서 '공원'과 '우울'을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우울감을 언급한 공원 이용자는 '보다', '산책/걷다', '먹다'의 이용행태를 주로 보였고, 소통 행태인 '보다'를 중심으로 다른 이용행태들이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 결과, 소통 행태 및 동적 행태의 군집의 경우, 단일 행태 유형으로 군집이 형성되어, 우울감을 언급한 이용자는 공원을 소통활동과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OVID-19의 대유행으로 소통활동과 신체활동의 결핍이 증가되었고 공원에서 이를 해소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우울감의 발생으로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이용행태가 주요한 이용행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민에게 효과적인 공원의 조성 및 관리 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속 연구에서 COVID-19 대유행과 우울감의 유무를 연계한 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7권, 제5호, pp.83-91, 2020.
  2. G. Serafini, B. Parmigiani, A. Amerio, A. Aguglia, L. Sher, and M. Amore, "The psychological impact of COVID-19 on the mental health in the general population," QJM: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Vol.113, No.8, pp.531-537, 2020. https://doi.org/10.1093/qjmed/hcaa201
  3. M. J. Friedrich, "Depression is the leading cause of disability around the world," JAMA, Vol.317, No.15, p.1517, 2017.
  4. M. M. Tadesse, H. Lin, B. Xu, and L. Yang, "Detection of Depression-Related Posts in Reddit Social Media Forum," IEEE Access, Vol.7, pp.44883-44893, 2019. https://doi.org/10.1109/access.2019.2909180
  5. 장사랑, 손애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코로나 19 위험인식과 예방행위에 관한 이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7권, 제4호, pp.41-58, 2020.
  6. 김용운, 도시민의 공원이용행태가 공원만족도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 백수경, 박경훈,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한국조경학회지, 제42권, 제3호, pp.1-12, 2014. https://doi.org/10.9715/KILA.2014.42.3.001
  8. H. K. Yuen and G. R. Jenkins,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subjective well-being immediately after urban park visi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Vol.30, No.2, pp.134-145, 2020. https://doi.org/10.1080/09603123.2019.1577368
  9. 채진해, 김원주,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 평가-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48권, 제4호, pp.29-40, 2020. https://doi.org/10.9715/KILA.2020.48.4.029
  10. http://kstss.kr/?p=2301.
  11. 오민석, 도시 공원의 복지 가치 개념과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2. 이영경, 이병인,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영향-자연경관과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33권, 제6호, pp.1-11, 2006.
  13. 김정호, 김원태, 윤용환, "도시지역의 녹지경관 조망이 도시민의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4호, pp.516-523, 2013.
  14. 이준, 도시공원에서 청소년 체험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5. 조은이, 김도경, "블로그 (Blog) 를 이용한 삼청동길 방문자 행태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제35권, pp.77-86, 2012.
  16. 우경숙, 서주환,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원 이용행태의 시계열분석-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46권, 제2호, pp.27-36, 2018.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27
  17. 김세령, 최윤원, 윤희연, "경의선숲길 조성 전후의 연남동 방문자의 경험 분석-블로그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47권, 제4호, pp.33-49, 2019. https://doi.org/10.9715/kila.2019.47.4.033
  18. 우경숙, 서주환, "서울로 7017 방문자들의 이용행태분석-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48권, 제6호, pp.16-24, 2020.
  19.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빅데이터전략연구소, 빅데이터 개론, 광문각, 2018.
  20. 김수현, 이영준, 신진영, 박기영, 경제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한국은행, 2019.
  21. 김용학, "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 대중서사연구, 제21권, 제1호, pp.145-171, 2015. https://doi.org/10.18856/JPN.2015.21.1.005
  22.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분석, 청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