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on the Effect of Share-House Service Quality on Trust, Commitment, and Reuse Intention - The Case of University Town in East North Area of Seoul -

쉐어하우스 품질이 사용자의 신뢰와 몰입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 동북지역 대학가 사례-

  • 최의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 오동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Received : 2022.02.28
  • Accepted : 2022.04.06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hare house quality, trust and commitment to reuse intention of share houses, which are used residences of the college students of South Korea, with a view to confirming whether such share houses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form of residence for college students and young generation. With this, it is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hare house market and find implications in the reasonable supply of share houses in the near futu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pap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tangibility, safety, empathy,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Share house quality affect trust, commitment, and reuse intension.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이 주거공간으로서 이용하는 쉐어하우스 품질과 쉐어하우스에 대한 신뢰, 몰입도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쉐어하우스가 대학생 및 청년층의 새로운 주거공간의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현재 쉐어하우스 시장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며, 추후 쉐어하우스의 합리적인 공급 및 거주환경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쉐어하우스 대학생 사용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쉐어하우스 품질로 유형성, 안전성, 공감성, 신뢰성, 응답성이 신뢰와 몰입 및 재이용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쉐어하우스의 품질 중, 유형성, 안전성, 공감성, 신뢰성, 응답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면, 쉐어하우스에 대한 신뢰와 몰입이 향상되고 재이용의사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대학생 및 청년층에게 필요한 주거공간의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민간 시장을 이용하여 낮은 임대료와 더불어 주거의 질이 보장되어 있는 쉐어하우스 공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주거정책적 관점에서 향후 대응주거로서의 쉐어하우스가 지속가능한 주거 유형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및 장래가구추계 자료, 2020.
  2. 김하진, 서울시 쉐어하우스 수요.공급 선호도 및 선택요인 비교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 김아롬, 홍형옥, 김수미, "대학생 1인 가구의 주거중요도와 쉐어하우스에 대한 인식 및 선호,"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307-312, 2014.
  4. 박지은, 강순주, 모정현, "쉐어하우스와 플랫형 기숙사의 특성분석과 대학생 수요자 의식,"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pp.121-126, 2016.
  5. 박제희, Share Housing의 특성을 적용한 대학기숙사 공간계획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 지은영, "청년1 인가구의주거복지를 위한 쉐어하우스 거주 실태와 요구도: 입주자와 잠재 수요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54권, 제6호, pp.589-598, 2016.
  7. B. J. L. Berry, F. E. Horton, and J. O. Abiodun, Geographic perspectives on urban systems: with integrated readings, Prentice Hall, 1970.
  8. 김윤정, 강미선, "주택의 구매가치 평가요소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의 활용방안: 소비자의 거주가치 및 자산 가치에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7권, 제6호, pp.31-40, 2001.
  9. 박영근, 김판준, 황태수, "주거환경이 주거선택기준, 가치, 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14권, 한국주택학회, pp.145-173, 2006.
  10. 권기현, 전명진,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주거입지 및 통근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제29권 제2호, pp.69-83, 2013.
  11. D. O'Sullivan, "Changing neighborhoods-neighborhoods changing: A framework for spatially explicit agent-based models of social system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Vol.37, No.4, pp.498-530, 2009. https://doi.org/10.1177/0049124109334793
  12. 신은정, 유선종, "AHP-Fuzzy 보정을 이용한 셰어하우스 거주결정요인," 감정평가학논집, 제15권, 제2호, pp.127-141, 2016.
  13. 최준환, 박서준, 이도훈, "1 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외 공유 주택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7권, 제5호, pp.1-10, 2016. https://doi.org/10.6107/JKHA.2016.27.5.001
  14. 이희원, 성민호, 유정원, 이기석, 이장범, "1 인가구를 위한 도시형 쉐어하우스의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6권, 제3호, pp.1-8, 2014.
  15. 오정, 최정민,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5권, 제3호, pp.63-72, 2014. https://doi.org/10.6107/JKHA.2014.25.3.063
  16. 박혜선, 하미경, "코하우징 유형별 특징 및 선호에 관한 연구: 건축적 특성에 의한 분류를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제27권, pp.33-42, 2013.
  17. 류혜주, 김석경,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서울시의 셰어하우스 사례 연구 : 운영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제2호, pp.127-130, 2020.
  18. C. El Otmani, Together alone: The relation between the needs of the solo-dweller and the design strategy of co-living, 2022.
  19. 고지영, 이연숙, 안소미, "주거취약 청.장년 독신가구의 커뮤니티형 공동주택 구성요소 선호특성 연구: 서울 쇠퇴지역 거주 독신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16권, 제2호, pp.53-66, 2016.
  20. 이보람, 박이수, 서경희, "청년주거문제의 대안으로서 국내 셰어하우스에 관한 연구 : 공급자 및 수요자 측면의 관점에서," 국토계획, 제56권, 제2호, pp.235-251, 2021.
  21. 정기성, "신경망 분석을 활용한 비주택 거주 청년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주택연구, 제29권, 제2호, pp.37-58, 2021.
  22. 홍수영, 송선주, "1인 가구 대상의 공유주택 특성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 도시연구, 제14권, 제1호, pp.25-45, 2021.
  23. 박은미, 나건, "쉐어하우스 거주자를 위한 사용자 경험 중심의 UX/UI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43-152, 2016.
  24. S. Maalsen, "I cannot afford to live alone in this city and I enjoy the company of others: Why people are share housing in Sydney," Australian geographer, Vol.50, No.3, pp.315-332, 2019. https://doi.org/10.1080/00049182.2019.1613026
  25. 주현진, 문정민, "일본의 시니어 쉐어하우스 공간배치 및 면적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제2호, pp.13-20,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2.013
  26. 최지선, 오동훈, "공급자 관점에서 본 시니어계층을 위한 셰어하우스 도입 활성화 방안," 주택연구, 제23권, 제3호, pp.89-109, 2015.
  27. 김도연, "공유주택 공급 및 계획기준 설정 방안연구: 국외 공유주택의 제도적 특성분석과 국내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pp.139-150,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1.139
  28. 신성윤, 윤영식, "셰어하우스 운영수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73권, pp.130-144, 2018.
  29. D. Stojanovic, Housing shar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 Research Agenda for Real Estate, Vol.81, 2022.
  30. 세계일보, 2019, 쪼개고 쪼갠 원룸...청년이 '사람답게 살 집'은 없다, 2019년 11월 17일자 연중기획 - 청년 미래를 묻다, http://www.segye.com/newsView/20191112513412
  31. 최의란, 쉐어하우스 품질이 이용자의 신뢰와 몰입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서울시 동북지역(동대문구) 대학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