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and Transportation on Emotional Response and Satisfaction from Seeing a Musical

뮤지컬 관람 경험의 실재감과 전송이 감정반응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김지수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 전종우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22.03.02
  • Accepted : 2022.04.07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and transportation of the experience of seeing a musical upon satisfac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audiences of a musical and analyzed the response from 339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ce and transportation of the experience of seeing a music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motional responses. Second, the presence and transportation in the experience of seeing a music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Third, the emotional responses to the music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Fourth, emotional responses were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and transportation of the experie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it. As the share of online performances in performing art industries is increasing and the paradigm of seeing a performance is changing, this study implies that it provided a set of basic data for the industry and producers of such events, who are now seeking a new profit model through not only in-person events but also online performanc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뮤지컬 관람 경험의 실재감과 전송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감정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뮤지컬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3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관람 경험의 실재감과 전송은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 관람 경험의 실재감과 전송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뮤지컬에 대한 감정반응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뮤지컬 관람 경험의 실재감 및 전송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반응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분야에서 온라인 공연의 비중이 높아지며 관람 경험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현장 공연 제작은 물론 온라인 공연을 수익모델로 고민하는 공연기획자 및 관련 산업 종사자들에게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 J. Pine and J. H.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Vol.76, pp.97-105, 1998.
  2. 김용환, "공공연주회의 탄생과 발전, 형식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음악논단, 제20권, pp.67-104, 2006.
  3. 윤정연, "코로나 이후의 클래식 공연," 한국예술연구, 제29호, pp.73-90, 2020. https://doi.org/10.20976/KJAS.2020..29.004
  4. 김미연, 정경일, "호텔의 식 공간 연출 중 물리적 환경에 의한 고객감정반응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6호, pp.149-165, 2014.
  5. M.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San Francisco: Jossey-Bass, 1975.
  6. M. Csikszentmihalyi, "Reflections on enjoyment,"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Vol.28, No.4, pp.489-497, 1985. https://doi.org/10.1353/pbm.1985.0019
  7. M. Csikszentmihalyi,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Basic Books, 1998.
  8. 이랑구, 정진헌, "몰입감 향상을 위한 VR 영상 콘텐츠의 시청각 유도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1호, pp.495-500,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495
  9. 윤각, 조재수, 이준희,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몰입과 광고길이가 프리롤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침입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 PR 실학연구, 제11권, 제3호, pp.30-53, 2018.
  10. 강보현, "능동적 몰입, 수동적 몰입, 그리고 상황적 몰입," 마케팅논집, 제18권, 제4호, pp.21-55, 2010.
  11. 한금주, 정연자, "한국 뮤지컬 관람객의 관람동기가 몰입 및 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양예술, 제29권, pp.216-238, 2015.
  12. R. M. Morgan and S.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3, pp.20-38, 1994. https://doi.org/10.2307/1252308
  13. J. E. Mathieu and D. M. Zajac,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Vol.108, No.2, pp.171-194,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8.2.171
  14. T. W. Gruen, J. O. Summers, and F. Acito, "Relationship marketing activities, commitment, and membership behaviors in professional associ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4, No.3, pp.34-49, 1990. https://doi.org/10.1509/jmkg.64.3.34.18030
  15. K. Kim and G. L. Frazier, "Measurement of distributor commitment in industrial channels of distribu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40, No.2, pp.139-154, 1997. https://doi.org/10.1016/S0148-2963(96)00284-6
  16. 김인환, 황찬규, 황인진, 홍순근, "디지털아카이브 전시장 관람객의 감정반응요인이 몰입과 만족을 통해 전시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181-204, 2016. https://doi.org/10.17662/KSDIM.2016.12.3.181
  17. 황재성, TV 드라마의 유형과 몰입경험에 따른 시청자 만족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8. 홍성택, 이숙경, "태권도공연의 브랜드자산이 브랜드 태도, 몰입,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기예술연구, 제11권, pp.121-136, 2018.
  19. 장사우, 송은일, "중국 유학생의 태권도 공연 관람몰입이 관람만족 및 재 관람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3-30, 2019.
  20. 김미주, "무용 전공자들의 무용몰입이 공연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5-34, 2014.
  21. 이한선, 소비자 혁신성과 디지털전시에 대한 상호작용성과 몰입이 관람객의 유희성과 만족도,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 Team Lab World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2. M. Lombard and T. Ditton,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3, No.2, p.JCMC321, 1997.
  23. T. Kim and F. Biocca, "Telepresence via television: Two dimensions of telepresence may have different connections to memory and persuas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3, No.2, JCMC325, 1997.
  24. K. M. Lee, "Presence, explicated," Communication Theory, Vol.14, No.1, pp.27-50, 2004. https://doi.org/10.1093/ct/14.1.27
  25. M. Lombard, R. D. Reich, M. E. Grabe, C. C. Bracken, and T. B. Ditton, "Presence and television. The role of screen siz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1, pp.75-98, 2000. https://doi.org/10.1093/hcr/26.1.75
  26. 금희조, "3D 입체영상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4호, pp.27-48, 2010.
  27. M. C. Green and T. C. Brock, "The role of transportation in the persuasiveness of public narrat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9, No.5, pp.701-721,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9.5.701
  28. M. Csikszentmihalyi and M. Csikzentmihaly,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1990.
  29. A. Tellegen and G. Atkinson, "Openness to absorbing and self-altering experiences ("absorption"), a trait related to hypno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83 No.3, pp.268-277, 1974. https://doi.org/10.1037/h0036681
  30. 황유리, 정세훈,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설득적 효과: 애드무비(ad movie)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5권, 제6호, pp.83-104, 2014.
  31. E. A. Van den Hende, D. W. Dahl, J. P. Schoormans, and D. Snelders, "Narrative transportation in concept tests for really new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reader-protagonist similarity,"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9, pp.157-170, 2012. https://doi.org/10.1111/j.1540-5885.2012.00961.x
  32. S. T. Murphy, L. B. Frank, J. S. Chatterjee, and L. Baezconde-Garbanati, "Narrative versus nonnarrative: The role of identification, transportation, and emotion in reducing health disparit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3, No.1, pp.116-137, 2013. https://doi.org/10.1111/jcom.12007
  33. M. C. Green and J. L. Clark, "Transportation into narrative worlds: implications for entertainment media influences on tobacco use," Addiction, Vol.108, No.3, pp.477-484, 2013. https://doi.org/10.1111/j.1360-0443.2012.04088.x
  34. R. Koordeman, D. J. Anschutz, and R. C. Engels,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movie alcohol portrayals on transportation and attitude toward the movi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38, No.7, pp.2073-2079, 2014. https://doi.org/10.1111/acer.12443
  35. 김소윤, 이현우, "내러티브 메시지의 설득 효과 및 그 처리과정에 관한 연구: 장기기증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 반응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7호, pp.76-108, 2007.
  36. 권두순, 이미영, 함유근, "전자상거래 산업에서의 감정반응 (PAD) 요인이 소셜커머스 (Social Commerce)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생산성논집(구 생산성연구), 제27권, 제3호, pp.457-489, 2013. https://doi.org/10.15843/KPAPR.27.3.201309.457
  37. A. Mehrabian and J. A. Russell,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MIT Press, 1974.
  38. 권업, 김규정, "종업원의 감정반응(PAD), 애착행위, 지식공유 및 신제품 혁신성간의 상호작용(reciprocal effect)에 관한연구," 경영학연구, 제31권, 제4호, pp.1039-1068, 2002.
  39. 이지훈, 구동모, 이미정, 임성혁, "온.오프라인 매장 쇼핑고객의 지배력, 환기, 즐거움 등 감정요인간의 인과관계와 이들 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마케팅관리연구, 제16권, 제1호, pp.89-123, 2011.
  40. 김상희, 김경애, 박만석, 양지훈, "인터넷 쇼핑동기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고객감정 및 행동과의 관계," 경영과 정보연구, 제30권, 제1호, pp.1-37, 2011.
  41. 서문식, 김상희, "성별에 따른 인터넷 쇼핑상황에서 의 감정적 반응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제9권, 제1호, pp.101-128, 2002.
  42. 박민정,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의 정보품질이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93-303, 2013.
  43. 전종우, 이대현, "관람객의 감성적 요인이 공연 문화콘텐츠 선호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들의 연극과 뮤지컬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10-134, 2013. https://doi.org/10.15814/JPR.2013.17.4.110
  44. 최현주, "무용공연 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만족도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51권, pp.299-326, 2007.
  45. 박화선, 민동규, 권현오, 송창대, "공연 만족이 행동의도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한옥자원활용 야간상설 공연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0권, 제1호, pp.305-321, 2016. https://doi.org/10.18398/KJLGAS.2016.30.1.305
  46. 이동수, 최현주, 설민신, "고객만족에 미치는 공연 서비스품질 결정요인,"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pp.905-914, 2016.
  47. 조예진, "문화공연 관람요인이 공연관람의도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제15권, 제4호, pp.1-12, 2015.
  48. 정진수, "한국 문화공연예술의 일본인관광객 지속유치 방안 : 공연예술 '난타'의 관람동기와 만족도 관점에서," ceri 엔터테인먼트연구, 제5권, pp.129-149, 2006.
  49. 황금주, 강은주, 한주희, "관람객의 관람 동기가 공연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684-1695, 2011.
  50. 구은자, "창작뮤지컬에 대한 선택속성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제8권, 제3호, pp.178-202, 2013.
  51. 조한범, 이연수,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가치와 관람 몰입 및 관람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7호, pp.61-79, 2012.
  52. C. Heeter, "Communication research on consumer VR," Communication in the age of virtual reality, Vol.1, pp.191-218, 1995.
  53. B. Reeves and C. Nass, "The media equation: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Cambridge, UK, Vol.10, p.236605, 1996.
  54. 엄준필, 한진욱, "VR을 통한 스포츠 체험의 프레즌스가 종목태도에 미치는 영향: 뇌파분석 기법을 통한 각성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5-29, 2018.
  55. 한광석, 최준혁. "증강현실 광고의 프레즌스(Presence) 와 플로우(Flow)가 광고 태도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8호, pp.29-35,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0.18.8.029
  56. 전종우,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스토리텔링 전송 행위가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 신뢰도, 태도, 공유의도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5권, 제2호, pp.44-76, 2017.
  57. 하제현, 하재필, "프로야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몰입과 관람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729-741, 2014.
  58. 김동환, 노도현, 김승용, "대학스키수업 참여자의 교수행동인식과 내적동기, 학습몰입, 수업만족도 및 재참여의사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05-124, 2009.
  59. 강하나, 진현정, "창작뮤지컬의 콘텐츠 제공 및 홍보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 소비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pp.169-185, 2015. https://doi.org/10.17053/JCC.2015.18.2.008
  60. 김태민, 김태균, "증강현실이 적용된 광고의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프레즌스(presence)와 만족도 평가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제24호, pp.49-59, 2010.
  61. 이승도, 임관순, "가상현실 스포츠 이용 활성화를 위한 프레즌스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79-94, 2020.
  62. 장형준, 김광호, "VR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R 프레즌스, 이용자 특성, VR 멀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420-43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420
  63. 최영기, 조선, "SIT 체험요인이 즐거움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9권, 제3호, pp.105-127, 2014.
  64. 한수정, "여가스포츠참여자의몰입, 자기효능감, 여가만족간의 관계," 문화산업연구, 제15권, 제4호, pp.13-20, 2015.
  65. 곽한병,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재미가 즐거움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pp.95-109, 2016.
  66. 정형식, 최수아, 김영심, "지역축제의 기대성과, 체험 및 감정이 방문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CRM 연구, 제2권, 제1호, pp.33-52, 2009.
  67. 홍경완, 김현철, "관광축제 서비스품질, 즐거움과 각성 및 방문객 만족에 관한 인과관계 연구," 관광학연구, 제29권, 제3호, pp.125-144, 2005.
  68. 백헌, 권두순, 이재범, 김진화, "감정반응(PAD) 요인이 문화예술 웹사이트 서비스에서의 만족과 구전을 통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4권, 제1호, pp.105-128, 2012.
  69. 김성광, 감정반응(PAD) 요인이 인디뮤지션 공연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과 공연만족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70. W. J. Havlena and M. B. Holbrook, "The varieties of consumption experience: comparing two typologies of emotion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3, pp.394-404, 1986. https://doi.org/10.1086/209078
  71. 김정기, "한국 성인의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와 시청동기, 시청, 행위, 시청 프로그램의 상관성 연구," 성곡논총, 제27권, 제3호, pp.371-401, 1996.
  72.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2017.
  7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74. 박찬수, "뮤지컬의 어린이 뮤지컬로의 장르 전환 전략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제15호, pp.197-22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