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ask in Fashion

패션에서의 마스크에 관한 의미 분석

  • Jung, Junghee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정정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Received : 2022.04.15
  • Accepted : 2022.06.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and to consider what meanings they have in the recent fashion world.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reflect on the internal meaning of masks exhibited in fashion designers' collections rather than functional meanings.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tries to help understand the expressive needs for variety and freshness pursued by modern fashion and use the unique design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internal meanings of masks. It, therefore, examines the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data about mask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nd also attempts to draw findings from the data of fashion collections which have been held since the 2000s, as well as from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books about fashion and various other media. The meanings of masks in the field of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y express identity, by criticizing the couture fashion, through the fashion. Second, they present a new concept of body, showing an illogical and ambiguous identity in which both feminine and masculine images coexist. Third, they are media externally communicating insights about human beings' inner world, through which various messages are transferred to modern people who are attached to external appearances, and the identities possessed by designers are revealed by the masks. Fourth, they ask about a boundary between gender and sexuality, as a means to make us concentrate on the important social issue, while expressing various and new identities, like the hybrid identity. In other words, they can be found to be used as effective media in communicating fashion massages intended by fashion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er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도 정부재원(교육부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2020S1A5B5A17088661)

References

  1. 김형기, 안소현, 이호경, 고호상, 이영임. (2005). 가면과 욕망(지구 지역시대의): 문화의 얼굴: 독일어권 지역의 문화연구. 서울: 연극과 인간.
  2. 김홍기. (2008). 샤넬 미술관에 가다-미술 속 패션 이야기. 고양: 미술문화.
  3. 김선영.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가면의 형태와 특성. 복식, 58(4), 13-25.
  4. 김정윤, 염미선. (2018). 패션마스크 디자인 개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8(3), 135-151.
  5. 김순자. (2016). 모호성의 관점에서 본 마틴 마르지엘라 패션디자인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8(2), 191-206.
  6. 김경희, 이옥희. (2002). 무용가면의 상징성 연구. 복식문화연구, 10(4), 404-418.
  7. 김찬주, 노미경. (2009). 아웃도어 라이프 활성화를 위한 페이스 커버 개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9(1), 47-59.
  8. 김보영. (2002). 배우 훈련에 있어서 가면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권현주. (2017). 무슬림 여성들의 가리개, 히잡에 관한 연구. 한국니트디자인학회 15(3), 95-106.
  10. 남수정. (2004). 20세기초 미술에 나타난 아프리카 원시조각의 영향에 관한 고찰: 마티스, 피카소, 브랑쿠시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류정아. (2004). 축제인류학. 서울: 살림출판사.
  12. 문나리. (2009). 제임스 앙소르(James Ensor) 회화의 풍자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반미선, 노윤선. (2017). 메종 마르지엘라 컬렉션에 나타난 마스크의 해체주의적 특성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 89-90.
  14. 박진희. (2008). 패션쇼에 나타난 페르소나 아이템의 특성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진영. (2010). 시선과 페르소나를 통한 자아 표현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손상희. (2018). 대기 환경이 미치는 제품디자인에 관한 분석: 황사마스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2), 335-345.
  18. 신세정. (2004). 사회적 가면 페르소나를 통한 자아표현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심우성. (1999). 탈. 서울: 대원사.
  20. 쑤상하오(蘇上豪). (2017). 새부리 가면을 쓴 의사와 이발소 의사(김성일 역). 서울: 시대의창.
  21. 엄세인. (2005). 가면 이미지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숙명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유하나. (2015). 성격가면을 활용한 역할 창조 접근법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유아정. (2018). 아름다운 것들의 역사. 서울: 에이엠스토리(amStory).
  24.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06). 축제문화와 제현상축제의 이론적 정립과 새로운 축제 모형 창출을 위한 학제적 접근2.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5. 유럽정보문화센터. (2003). 유럽의 축제 문화.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6. 이태경, 최정화. (2018). 현대 패션에 영향을 끼친 퍼포먼스 아티스트 작품의 페르소나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5), 585-599.
  27. 이은정. (1990). 한국 가면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임효빈, 김지민. (2020). 성인용 보건 마스크의 형태별 구조 및 디자인 분석. 패션과니트, 18(3), 91-93.
  29. 임형란. (2004). 가면(MASK)을 활용한 의상 디자인 개발 및 제작.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임형란, 이미숙. (2004). 가면(mask)을 활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패션비즈니스, 8(2), 154-167.
  31. 임경순, 유송옥. (1997). 샤넬의 커스튬 주얼리에 관한 연구. 복식, 32, 45-56.
  32. 전경욱, 김영훈. (1999). 재미있는 가면이야기(세계마스크 대전 도록). 서울: (주)MBC문화방송, (주)대생기업.
  33. 전경욱. (2017). 세계의 가면문화-주술.상징.예술. 서울: 민속원.
  34. 지구촌민속박물관. (2007). 지구촌 얼굴. 서울: 지구촌민속박물관.
  35. 장애란. (2002). Hussein Chalayan의 실험적 디자인. 한국복식학회, 52(5), 91-107.
  36. 정봉기. (2003). 아프리카 조각의 프리미티브를 중심으로: 작품 발표를 통한 조형세계.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정병훈. (2013). 사람들은 왜, 가면 뒤에 숨는가?. 서울: 씨엘북스(CLBooks).
  38. 정정희, 임은혁(2019a). 크리티컬 패션에 관한 고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5), 540-551. https://doi.org/10.5805/sfti.2019.21.5.540
  39. 정정희, 임은혁(2019b). 크리티컬 패션에 표현된 패션산업 시스템과 패션소비문화에 대한 비평적 메시지. 한국의류산업학회, 21(6), 717-729. https://doi.org/10.5805/SFTI.2019.21.6.717
  40. 정정희, 임은혁(2020). 크리티컬 패션의 비평적 메시지 유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2(2), 87-103. https://doi.org/10.30751/KFCDA.2020.22.2.87
  41. 조희선. (2001). '억압'과 '저항'의 기제로서의 이슬람 여성의 베일(veil)과 히잡(hijab). 한국중동학회, 22(1), 103-126.
  42. 최정화. (2015). 패션 마스크에 나타난 캐릭터 이미지의 유형과 활용의미. 기초조형학연구, 16(3), 571-582.
  43. 최정화. (2013). 보호용 기능성 마스크를 응용한 패션 마스크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6), 851-861. https://doi.org/10.5805/SFTI.2013.15.6.851
  44. 최은하. (2006). 유리가면을 통한 자아의 내면 표현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최은아. (2020). 유럽문화사에 나타난 가면과 정체성의 관계 연구(1). 한국헤세학회, 44, 187-212.
  46. 최은수. (2001). 유럽지역의 민속 축제 연구-독일어권 국가의 가면 놀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1997). 패션전문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48. 한지연, 정경연. (2015).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마스크 디자인의 조형성 비교. 디자인학연구, 28(1), 113-131.
  49. Anawalt, P. R. (2009). 세계 복식 문화사-세상 모든 스타일의 기원에 관한 기록(한국복식학회 역). 서울: 위즈덤하우스.
  50. Atopos., Zidiankis, V., Polhemus, T., & Duggan, G. G. (2011). Not a toy: Radical character design in fashion and costume. Berlin: Pictoplasma.
  51. Bedouin, J. L. (1961). Les Masquves. French Editions: Paris.
  52. Baan, E. D., Berg, N. V. D., Donath, J., Liu, C. M., Elzingre, M., Gomes-Koizumi, A., Koning, G., Lipovetsky, G., Marchette, L., Mulder, A., Richard, B., Schacknat, K., Smelik, A., Teunissen, J., Unger, M., Viallon, V., & Vos, M. (2007). Fashion & Accessories. Arnhem: ArtEZ Press.
  53. Bonnie. E. (2011). Japanese fashion designers-The Work and Influence of Issey Miyake, Yohiji Yamamoto and Rei Kawakubo. London. New York: Berg.
  54. DeWitte, D. J., Larmann, R. M., Larmann., & Shields, M. K. (2017). 게이트웨이 미술사-미술의 요소와 원리. 매체. 역사. 주제-미술로 들어가는 4개의 문(조주연, 남선우, 성지은, 김영범 역). 파주: 이봄.
  55. Francesca. G. (2016). Experimental Fashion-Performance Art, Carnival and the Grotesque Body(Dress Cultures). London. New York: I. B. Tauri Academic Studies.
  56. Geczy, A., & Karaminas, V. (2017). Critical Fashion Practice: From Westwood to Van Beirendonck. London,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57. Kawamura, Y. (2004). The Japanese Revolution in Paris Fashion. Oxford, New York: BergPublishers.
  58. Miller, S B. (1999, December 02) The Gallery: Cross-Cultural Disguises Retrieved June 14, 2013, from http://www.wsj.com/articles/SB9440970202371704
  59. Mack, J. (2000). 마스크-투탄카맨에서 할로윈까지 (윤길순 역). 서울: 개마고원.
  60. Needham. G. (2014). Bringing out the Gimp: Fashioning the SM Imaginary.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and Culture, 18(2), 149-168. https://doi.org/10.2752/175174114X13890223974506
  61. Nunley, J. W., McCarthy, C., Emigh, J., & Ferris, L. K. (1999). Masks: faces of culture. New York: Harry N. Abrams.
  62. Pollock, D. (1995). Masks and the Semiotics of Identity. The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1(3), 581-597. https://doi.org/10.2307/3034576
  63.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 (2009). Maison Martin Margiela. NY: Rizzoli.
  64. Tonkin. E. (1979). Masks and Powers. Man (N.S.) 14(2), 237-248. https://doi.org/10.2307/2801565
  65. Twist. K. V. (2005). Hussein Chalayan. Rotterdam: NAi Publishers.
  66. Toscani, O., & Saillard, O. (2009). Workwear: Work fashion seduciton. Venezia: Marsilio.
  67. Warwick, A., & Cavallaro, D. (1998). Fashioning the Frame: Boundaries, Dress and the Body. Oxford: Berg.
  68. Tseelon, E. (2001). Masquerade and identities: essays on gender, sexuality, and marginality. New York: Routledge.
  69. Tseelon, E., Burton, L., & Crane, D. (2014). Fashion as masquerade: critical studies in fashion & beauty. Bristol, Chicago: Intellect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