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명수.류은진.이수경(2019). 중년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31(3), 110-138.
- 강보민.이기영(2020). 중년 1인 가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일반가구와 저소득층가구 비교. 한국사회과학연구, 39(3), 5-38.
- 공선영(2001).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변화정도, 대처전략 및 적응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3(1), 75-105.
- 김동건.이문숙(2009). 직장여성의 댄스스포츠 참가에 따른 여가만족이 직무만족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3), 397-408.
- 김동훈.기쁘다(2020). 중년기 일과 가정사이의 갈등 그리고 일에서의 소진이 결혼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 소속감의 매개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1), 111-125.
- 김미진(1995). 중년기 여성이 지각한 가족스트레스와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미정.김귀분(2013).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150-158.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150
-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 변인의 관한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수인.이의정(2012). 일 도시지역 한부모가족 부모의 정신건강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대한신경정신의학학회, 51(6), 422-429.
- 김애순(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애순 역(1998).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Daniel J. Levinson(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서울 : 세종연구원.
- 김연하.김애리(2019). 중년여성의 중년기 위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6(1), 150-159.
- 김오남(2005).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4), 85-119.
- 김현영(2020).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21(6), 563-573. https://doi.org/10.5762/KAIS.2020.21.6.563
- 김혜영.변화순.윤홍식(2008). 여성의 이혼과 빈곤: 직업과 소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2), 37-63.
- 김혜원(2009). 여성 가구주의 특성 및 경제활동 분석-여성 배우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동리뷰, 18-37.
- 김혜원.김명소(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 노영희.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 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 문현주.김준희(2014). 중년기의 여가인지가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74-85.
- 박병기.홍승표(2004). 주관적 안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3), 159-175.
- 박정원.최명숙(2007). 중년 여성의 위기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6(4), 469-480.
- 박정훈(2018).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569-577.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569
- 박주희(2019).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33-148.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3.007
- 박혜선.마예원.임선영(2019).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7(4), 241-251. https://doi.org/10.15268/KSIM.2019.7.4.241
- 방소연.도영숙(2020). 중년 여성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161-169. https://doi.org/10.5762/KAIS.2020.21.6.161
- 서은희.최지연.정영숙(2007). 중년 여성의 노화 불안과 미래 시간 조망 및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31(2), 21-40. https://doi.org/10.21193/KJSPP.2017.31.2.002
- 신기영.옥선화(2000).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지, 38(8), 29-51.
- 신희정(2013).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7), 311-32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11
- 성미애.진미정(2009).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가족과 문화, 21(3), 1-28.
- 손서희(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59-75.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059
- 손정남(2018).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갱년기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2(2), 148-157.
- 손정연.한경혜(2006). 결혼의 질, 이혼 장애 요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이혼 후 적응. 가정과삶의질연구, 24(1), 83-102.
- 송정애.이정덕(2011). 저소득편모들의 심리적복지감, 부모역할수행, 가족생활교육 요구도 조사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9, 85-117.
- 이현아(2021).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랜드.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5(1), 47-61. DOI : 10.22626/jkfrma.2021.25.1.004.
- 여성가족부(2018).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 양한연(2009). 싱글맘의 심리적 지원체계로서의 자조모임. 한국한부모가정학, 2(1), 39-56.
- 윤소영(2012).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 장선희.여형남(2018). 중년기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집, 19(12), 432-440.
- 장은령(2000).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에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재정(1987).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설애.정영숙.이재식.주미정(2018).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0), 871-882.
- 조옥희.김경신(2005).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개인, 가족, 직업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1-29.
- 정덕은.성경미(2011).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갱년기 중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7(1), 40-47.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1.040
- 정명실.송지호(2011). 중년 여성의 여가활동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건강 상태. 기본간호학회지, 18(1), 97-106.
- 정영숙.조설애(2013). 삶의 의미 원천과 의미에 대한 노력이 대학생과 중년 성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07-531.
- 정혜원(2009). 괜찮은 여성일자리에 관한 판별기준 탐색: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선호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주재선.김영란.이동선.정성미.송치선.한진영.이진숙.양준영.손창균.장숙랑(2002). 2019년 여성가족 패널조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윤정(2019). 여성한부모의 사회자본과 자녀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로서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302-31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302
- 최혜련(2011).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 참여자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희주.김영근(2017). 상담 및 심리분야의 중년연구 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24(3), 519-539.
- 하정혜.김지현(2016)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8(4), 1023-1046.
- 한경혜.송지은(2001).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13(1), 51-73.
- 허수연(2017). 직무부담과 일-가족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의 비교. 사회보장 연구, 33(4), 347-370.
- Neugarten, B. L.(1975). The awareness of middle age, In Neugarten, B, L.(Ed). Middle age and again.(pp. 3-41). Chiago : The University of Chi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