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 변인

  • Choi, Jahye (Dept. of Family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Son, Seohee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최자혜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가족학과) ;
  •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Received : 2022.03.13
  • Accepted : 2022.05.20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who experienced divorce or bereavement. The study involved 244 divorced or widowed women from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ged 40-60 who had children and were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marital status and health), person-related variables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y and stress), and work-related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work-family enrichmen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appiness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Current economic status and stress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iddle-aged single mothers. Increasing middle-aged single mothers' participation in healthy leisure activities, reducing their stress, and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were found to be important to enhancing their subjective well-being. Regarding the foregoing, policy directions were discussed for middle-aged single mothers' leisure activities, stress management, and improved satisfaction with work.

본 연구는 이혼·사별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 변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7차 응답자 중 혼인상태가 이혼 혹은 사별인 40세에서 60세 중년기 유자녀 취업 여성 244명을 대상으로 빈도, 평균 등의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 및 일 관련 변인으로는 결혼지위, 주관적 건강상태, 여가활동만족도, 스트레스, 일 만족도, 일-가족 향상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의 경우 주관적 경제상태,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쳤다.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해 건강한 여가 활동 참여 및 스트레스 관리, 일 만족도 향상이 중요함을 발견하였고 이와 관련한 중년기 여성 한부모 대상 정책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수.류은진.이수경(2019). 중년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31(3), 110-138.
  2. 강보민.이기영(2020). 중년 1인 가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일반가구와 저소득층가구 비교. 한국사회과학연구, 39(3), 5-38.
  3. 공선영(2001).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변화정도, 대처전략 및 적응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3(1), 75-105.
  4. 김동건.이문숙(2009). 직장여성의 댄스스포츠 참가에 따른 여가만족이 직무만족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3), 397-408.
  5. 김동훈.기쁘다(2020). 중년기 일과 가정사이의 갈등 그리고 일에서의 소진이 결혼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 소속감의 매개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1), 111-125.
  6. 김미진(1995). 중년기 여성이 지각한 가족스트레스와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정.김귀분(2013).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150-158.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150
  8.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9.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 변인의 관한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수인.이의정(2012). 일 도시지역 한부모가족 부모의 정신건강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대한신경정신의학학회, 51(6), 422-429.
  11. 김애순(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애순 역(1998).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Daniel J. Levinson(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서울 : 세종연구원.
  13. 김연하.김애리(2019). 중년여성의 중년기 위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6(1), 150-159.
  14. 김오남(2005).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4), 85-119.
  15. 김현영(2020).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21(6), 563-573. https://doi.org/10.5762/KAIS.2020.21.6.563
  16. 김혜영.변화순.윤홍식(2008). 여성의 이혼과 빈곤: 직업과 소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2), 37-63.
  17. 김혜원(2009). 여성 가구주의 특성 및 경제활동 분석-여성 배우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동리뷰, 18-37.
  18. 김혜원.김명소(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19. 노영희.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 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20. 문현주.김준희(2014). 중년기의 여가인지가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74-85.
  21. 박병기.홍승표(2004). 주관적 안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3), 159-175.
  22. 박정원.최명숙(2007). 중년 여성의 위기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6(4), 469-480.
  23. 박정훈(2018).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569-577.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569
  24. 박주희(2019).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33-148.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3.007
  25. 박혜선.마예원.임선영(2019).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7(4), 241-251. https://doi.org/10.15268/KSIM.2019.7.4.241
  26. 방소연.도영숙(2020). 중년 여성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161-169. https://doi.org/10.5762/KAIS.2020.21.6.161
  27. 서은희.최지연.정영숙(2007). 중년 여성의 노화 불안과 미래 시간 조망 및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31(2), 21-40. https://doi.org/10.21193/KJSPP.2017.31.2.002
  28. 신기영.옥선화(2000).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지, 38(8), 29-51.
  29. 신희정(2013).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7), 311-32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11
  30. 성미애.진미정(2009).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가족과 문화, 21(3), 1-28.
  31. 손서희(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59-75.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059
  32. 손정남(2018).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갱년기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2(2), 148-157.
  33. 손정연.한경혜(2006). 결혼의 질, 이혼 장애 요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이혼 후 적응. 가정과삶의질연구, 24(1), 83-102.
  34. 송정애.이정덕(2011). 저소득편모들의 심리적복지감, 부모역할수행, 가족생활교육 요구도 조사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9, 85-117.
  35. 이현아(2021).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랜드.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5(1), 47-61. DOI : 10.22626/jkfrma.2021.25.1.004.
  36. 여성가족부(2018).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37. 양한연(2009). 싱글맘의 심리적 지원체계로서의 자조모임. 한국한부모가정학, 2(1), 39-56.
  38. 윤소영(2012).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39. 장선희.여형남(2018). 중년기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집, 19(12), 432-440.
  40. 장은령(2000).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에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장재정(1987).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조설애.정영숙.이재식.주미정(2018).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0), 871-882.
  43. 조옥희.김경신(2005).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개인, 가족, 직업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1-29.
  44. 정덕은.성경미(2011).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갱년기 중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7(1), 40-47.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1.040
  45. 정명실.송지호(2011). 중년 여성의 여가활동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건강 상태. 기본간호학회지, 18(1), 97-106.
  46. 정영숙.조설애(2013). 삶의 의미 원천과 의미에 대한 노력이 대학생과 중년 성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07-531.
  47. 정혜원(2009). 괜찮은 여성일자리에 관한 판별기준 탐색: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선호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주재선.김영란.이동선.정성미.송치선.한진영.이진숙.양준영.손창균.장숙랑(2002). 2019년 여성가족 패널조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9. 최윤정(2019). 여성한부모의 사회자본과 자녀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로서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302-31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302
  50. 최혜련(2011).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 참여자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1. 최희주.김영근(2017). 상담 및 심리분야의 중년연구 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24(3), 519-539.
  52. 하정혜.김지현(2016)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8(4), 1023-1046.
  53. 한경혜.송지은(2001).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13(1), 51-73.
  54. 허수연(2017). 직무부담과 일-가족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의 비교. 사회보장 연구, 33(4), 347-370.
  55. Neugarten, B. L.(1975). The awareness of middle age, In Neugarten, B, L.(Ed). Middle age and again.(pp. 3-41). Chiago : The University of Chi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