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 (2013). 지역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및 산업화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강정현, 권영숙. (2003). 한국 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복식, 53(4), 1-16.
- 김성섭, 김미주, 조영신, 문보영. (2008). 홍콩 잠재관광객의 한류문화상품 및 한류관광상품 선호 분석. 호텔관광연구, 10(3), 1-17.
- 김성엽. (2011). 문화상품 이미지가 국가이미지 및 한국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1(2), 101-123.
- 김성엽, 주혜영. (2012). '한류' 문화상품 이미지의 수출촉진 역할에 관한 실증연구: 한.중.일 3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0(2), 19-30. https://doi.org/10.36345/KACST.2012.30.2.003
- 김정희. (1996).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탐색내용-지속적 탐색과 구매시 탐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하연.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희정, 이경희. (2000).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제 1보)-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1), 24-33.
- 문화체육관광부. (2022. 6. 15). 2021 국민여행조사 분석편. 한국관광 데이터랩. 자료검색일 2022. 6. 22, 자료출처 https://datalab.visitkorea.or.kr/site/portal/ex/bbs/View.do?cbIdx=1127&bcIdx=301057&pageIndex=1&tgtTypeCd=&searchKey=&searchKey2=&tabFlag=N&subFlag=N&cateCont=spt06
- 문희강, 윤초롱. (2011). 청소년들의 전통문화인식에 따른 한국적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한국의류학회지, 35(1), 51-62.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051
- 박노필. (2014). 백제관광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공주.부여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철현, 조지현. (2002). 방한 외래관광객의 의류상품 구매동기와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67-380.
- 신대택, 박승철. (2012). 백제문화상품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공주.부여 국립박물관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5), 333-338.
- 이동연, 이중석. (2008). 사비 백제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디자인학연구, 21(5), 169-182.
- 이미숙. (2018). 청소년의 백제문화 유물에 대한 선호도와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0(4), 41-56. https://doi.org/10.30751/KFCDA.2018.20.4.41
- 이미숙. (2016). 백제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3), 85-98.
- 이상미, 김정호. (2007). 충청지역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백제 문화상품 현황조사. 한국가구학회지, 18(3), 224-233.
-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2005). 한국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 이해준. (2004).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백제문화콘텐츠 확대방안. 백제문화, 33, 209-230.
- 이호선. (2011). 지역 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삼척, 도계지역의 지역문화상품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9, 171-181.
- 전희관. (2015). 백제 유물과 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백제문화권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세정. (2017).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수경. (2004). 미국대학생의 한국전통문양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12(3), 369-378.
- 장수경, 김재숙. (2000). 한국 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214-225.
- 정온슬기, 정성혜. (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인사동과 이태원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 187-208.
- 정지연. (2011). 구매특성을 중심으로 백제전통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윤경. (2008). 소비자특성과 점포요인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윤진. (2007). 한국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윤진, 이유리. (2007).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복식, 57(10), 74-86.
- 최윤혜, 은영자. (2004). 전통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266-274.
- 한국관광공사. (2021. 12. 13). 빅데이터를 활용한 2022년 관광트렌드 분석. 한국관광데이터랩. 자료검색일 2022. 6. 22, 자료출처 https://datalab.visitkorea.or.kr/site/portal/ex/bbs/View.do?cbIdx=1129&bcIdx=299411&pageIndex=1&tgtTypeCd=&searchKey=&searchKey2=&cateCont=tlt03
- 현선희, 배수정(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전통문양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1252-1261. https://doi.org/10.5850/JKSCT.2007.31.8.1252
- 홍희숙. (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73-84.
- 황균정. (2020). 지역 문화관관상품으로서의 기념품 개발 연구-기념품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1), 73-79. https://doi.org/10.14400/JDC.2020.18.11.073
- Eckman, M., Damhorst, M. L., & Kadd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2),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 Jenkin, M., & Dickey, L. (1976). Consumer types based on evaluative criteria underlying clothing decision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4, 150-162. https://doi.org/10.1177/1077727X7600400301
- Kim, S., & Littrell, M. A. (1999). Predicting souvenir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8(2), 153-162.
- Littrell, M. A., Anderson, L. F., & Brown, O. J. (1993). What makes a craft souvenir authentic? Annals of Tourism Research, 20(1), 197-215. https://doi.org/10.1016/0160-7383(93)90118-M
- Roth, M. S., & Romeo, J. B. (1992). Matching product category and country image perception: a framework for managing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3, 477-497. https://doi.org/10.1057/palgrave.jibs.8490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