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oduct Image and Evaluative Criteria on Purchase intention of Cultural Fashion Products - Focusing on Cultural Fashion Products using Baekje Traditional Culture -

패션문화상품의 이미지와 평가기준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백제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을 중심으로 -

  • Mi-sook, Lee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2.07.27
  • Accepted : 2022.10.04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ultural fashion products using Baekje traditional cultur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duct image and evaluative criteria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ultural fashion products using Baekje traditional culture. The subjects were 500 adult consumers from their 20s to 50s.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and the instruments were four stimuli, which were developed using Baekj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roduct image, evaluation criteria, purchase intention of cultural fashion products, and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handkerchief designs were developed as cultural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consumer behaviors toward cultural fashion products and thier preference of Backje relics. Second, three factors (attractiveness, uniqueness, and gentleness) emerged for images of cultural fashion products. Third, four factors (design characteristics, tourism characteristics, cultural symbolism and practicality) emerged for the evaluation criteria for cultural fashion products. Fourth, three image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Especially, attractiveness had a greater effect than others. Fifth, the four evaluative criterion factors also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Design characteristics ha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tourism characteristics, cultural symbolism, and practicality in order.

Keywords

References

  1. 강민. (2013). 지역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및 산업화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정현, 권영숙. (2003). 한국 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복식, 53(4), 1-16.
  3. 김성섭, 김미주, 조영신, 문보영. (2008). 홍콩 잠재관광객의 한류문화상품 및 한류관광상품 선호 분석. 호텔관광연구, 10(3), 1-17.
  4. 김성엽. (2011). 문화상품 이미지가 국가이미지 및 한국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1(2), 101-123.
  5. 김성엽, 주혜영. (2012). '한류' 문화상품 이미지의 수출촉진 역할에 관한 실증연구: 한.중.일 3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0(2), 19-30. https://doi.org/10.36345/KACST.2012.30.2.003
  6. 김정희. (1996).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탐색내용-지속적 탐색과 구매시 탐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하연.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희정, 이경희. (2000).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제 1보)-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1), 24-33.
  9. 문화체육관광부. (2022. 6. 15). 2021 국민여행조사 분석편. 한국관광 데이터랩. 자료검색일 2022. 6. 22, 자료출처 https://datalab.visitkorea.or.kr/site/portal/ex/bbs/View.do?cbIdx=1127&bcIdx=301057&pageIndex=1&tgtTypeCd=&searchKey=&searchKey2=&tabFlag=N&subFlag=N&cateCont=spt06
  10. 문희강, 윤초롱. (2011). 청소년들의 전통문화인식에 따른 한국적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한국의류학회지, 35(1), 51-62.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051
  11. 박노필. (2014). 백제관광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공주.부여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철현, 조지현. (2002). 방한 외래관광객의 의류상품 구매동기와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67-380.
  13. 신대택, 박승철. (2012). 백제문화상품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공주.부여 국립박물관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5), 333-338.
  14. 이동연, 이중석. (2008). 사비 백제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디자인학연구, 21(5), 169-182.
  15. 이미숙. (2018). 청소년의 백제문화 유물에 대한 선호도와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0(4), 41-56. https://doi.org/10.30751/KFCDA.2018.20.4.41
  16. 이미숙. (2016). 백제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3), 85-98.
  17. 이상미, 김정호. (2007). 충청지역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백제 문화상품 현황조사. 한국가구학회지, 18(3), 224-233.
  18.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2005). 한국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19. 이해준. (2004).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백제문화콘텐츠 확대방안. 백제문화, 33, 209-230.
  20. 이호선. (2011). 지역 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삼척, 도계지역의 지역문화상품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9, 171-181.
  21. 전희관. (2015). 백제 유물과 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백제문화권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장세정. (2017).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수경. (2004). 미국대학생의 한국전통문양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12(3), 369-378.
  24. 장수경, 김재숙. (2000). 한국 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214-225.
  25. 정온슬기, 정성혜. (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인사동과 이태원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 187-208.
  26. 정지연. (2011). 구매특성을 중심으로 백제전통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조윤경. (2008). 소비자특성과 점포요인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윤진. (2007). 한국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윤진, 이유리. (2007).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복식, 57(10), 74-86.
  30. 최윤혜, 은영자. (2004). 전통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266-274.
  31. 한국관광공사. (2021. 12. 13). 빅데이터를 활용한 2022년 관광트렌드 분석. 한국관광데이터랩. 자료검색일 2022. 6. 22, 자료출처 https://datalab.visitkorea.or.kr/site/portal/ex/bbs/View.do?cbIdx=1129&bcIdx=299411&pageIndex=1&tgtTypeCd=&searchKey=&searchKey2=&cateCont=tlt03
  32. 현선희, 배수정(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전통문양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1252-1261. https://doi.org/10.5850/JKSCT.2007.31.8.1252
  33. 홍희숙. (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73-84.
  34. 황균정. (2020). 지역 문화관관상품으로서의 기념품 개발 연구-기념품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1), 73-79. https://doi.org/10.14400/JDC.2020.18.11.073
  35. Eckman, M., Damhorst, M. L., & Kadd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2),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36. Jenkin, M., & Dickey, L. (1976). Consumer types based on evaluative criteria underlying clothing decision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4, 150-162. https://doi.org/10.1177/1077727X7600400301
  37. Kim, S., & Littrell, M. A. (1999). Predicting souvenir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8(2), 153-162.
  38. Littrell, M. A., Anderson, L. F., & Brown, O. J. (1993). What makes a craft souvenir authentic? Annals of Tourism Research, 20(1), 197-215. https://doi.org/10.1016/0160-7383(93)90118-M
  39. Roth, M. S., & Romeo, J. B. (1992). Matching product category and country image perception: a framework for managing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3, 477-497. https://doi.org/10.1057/palgrave.jibs.8490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