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mart Work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Smart Work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일영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
  • 동학림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Received : 2022.10.16
  • Accepted : 2022.12.12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under the smart work environment, which has become a hot topic recently. To this end, job characteristics under the smart work environment were subdivided into job autonomy, job flexibility, and job efficiency. In addition, although these job characteristics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learning agility of employees was also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s. Job autonomy, job flexibility, and job efficienc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learning agi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in all pa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y empiricall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of smart work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to contact free society..

본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smart work 의 다양한 직무 특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smart work 환경하의 직무 특성을 직무 자율성, 직무 유연성, 직무 효율성으로 세분화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직무 특성이 직무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구성원의 학습 민첩성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결과 직무 자율성, 직무 유연성, 직무 효율성 모두 직무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학습민첩성의 경우 모든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비대면 사회로의 진전에 따른 스마트 워크 직무 특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정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섭, 이채현, 최정일(2021), "스마트워크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7-118.
  2. 고대유, 맹철규(2021), "코로나 비대면 시대 스마트워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공무원의 재택근무를 대상으로 한 목표명확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22(3), 173-184.
  3. 고용노동부(2020), "성공적인 재택근무 도입을 위한 길잡이," 재택근무 종합 매뉴얼.
  4. 곽임근, 김종배, 이남용(2011), "유연근무제 확대 및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활성화 방안," 정보처리학회지, 18(2), 59-72.
  5. 권세현, 이진구(2020),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 K기업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 83-107.
  6. 권윤정, 남승하(2021),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식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1(3), 141-170.
  7. 김미연, 서영욱(2021), "워라밸과 스마트워크환경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3), 505-517. https://doi.org/10.5392/JKCA.2021.21.03.505
  8. 김영애, 신호균(2012), "스마트워크 사용자의 집단별 특성이 스마트워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정책연구, 10(11),165-174.
  9. 김택진, 이희수(2016), "학습민첩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1), 27-46.
  10. 류혜현, 오헌석(2016). "학습민첩성 연구의 쟁점과 과제." HRD연구, 18(4), 119-147. https://doi.org/10.18211/KJHRDQ.2016.18.4.005
  11. 박예리, 이정훈, 이영주(2014), "스마트워크 근로자들의 직무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스마트워크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9(3), 23-49. https://doi.org/10.7838/JSEBS.2014.19.3.023
  12. 박은규(2011), "스마트워크 환경하의 노무관리상 문제점과 고려사항," 월간인사관리, 2월호, 30-32.
  13. 서아영(2012),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개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비즈니스 연구, 13(3), 427-459.
  14. 서용욱, 홍정화(2014), "중소제조기업의 직무특성, 지식경영시스템, 직원성과 간의 관계 분석 :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56(3), 169-213.
  15. 양문희, 배정근(2009), "재택근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특허청 심사관 재택근무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7(2), 97-123.
  16. 오상조, 이종만, 김용영(2017),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논문지, 8(11), 393-401.
  17. 오혜, 강대석(2018), "개별적 근무조건과 혁신행동 :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기업경영연구, 25(4), 45-64.
  18. 이민혜, 이준기(2011), "스마트워크 연구에 대한 고찰과 향후 연구주제," 정보화정책, 18(2), 72-84.
  19. 이은주(2020), "원격근로자 보호 관련 노동 법적 쟁점: 프랑스 및 스페인의 원격근무자 보호 관련 규정 검토를 중심으로," 노동법 포럼, 31, 303-340.
  20. 이재호, 김태진(2016), "유연근무제 확대에 따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16, 1-258.
  21. 이정우, 이혜정, 이세윤(2013), "스마트워크 적합성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정책, 20(2), 60-72.
  22. 이제현, 설현도(2021), "스마트워크(Smart Work) 도입의 문제와 대응방안 -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관리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22(1), 107-121.
  23. 이지현, 변국도, 이수진(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워크에 관한 연구: 2004-2021년간의 연구논문 리뷰," 인적자원개발연구, 24(3), 147-193.
  24. 이진주, 박세현, 송지훈(2021), "학습민첩성에 대한 메타분석: 최근 10년(2011-2020)간 발표된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3(1), 27-63.
  25. 이홍재, 변찬복, 박성종(2013), "직무자율성,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식공유행동의 구조적 영향관계 -서울시 특1급 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8(3), 145-168.
  26. 임보영, 정진우(2006), "원격근무확산을 위한 전제조건에 관한 논의," 한국지역정보학회지, 9(2), 81-97.
  27. 주시각, 손영곤, 전상길(2012),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책적 함의: 스마트워크 근로자와 직장근무 근로자의 조직 유효성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 융복합연구, 10(4), 11-22.
  28. 장진원, 한경석, 안용준, 이명호(2019), "공유좌석제 오피스가 구성원의 직무성과와 근로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7), 1353-1363.
  29. 장현주, 최무현(2009), "참여정부의 가족친화적 근무제도에 대한 평가: 재택 및 탄력근무제에 대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8(3), 121-154.
  30. 전기석, 최순원,(2020), "군 간부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한국군사학논집, 76(2), 99-125. https://doi.org/10.31066/KJMAS.2020.76.2.005
  31. 정수용, 신용태(2018),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지속사용의도에 대하여 IT기업과 비IT기업 간의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249-259. https://doi.org/10.14400/JDC.2018.16.3.249
  32. 정효채, 이병하, 박우성(2016), "스마트 워크를 통한 조직혁신-이트너스(주)의 스마트 오피스," 한국경영학회지, 20(1), 69-102.
  33. 최순원(2021), "육군간부 조직민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문화와융합, 43(4), 543-566.
  34. 최진숙, 하정윤, 김대명, 강지연(202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3), 116-13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116
  35.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19), 2019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 보고서.
  3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0), 2020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 보고서.
  37. Annink. A. and den Dulk, L.(2012), "Autonomy, Community," Work and Family, 15(4), 383-402. https://doi.org/10.1080/13668803.2012.723901
  38. DeRue, D. S., Ashford, S.J. and Myers, C. G.(2012), "Learning agility: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58-279. https://doi.org/10.1111/j.1754-9434.2012.01444.x
  39. Fonner, K. L. and Roloff, M. E.(2010), "Why telework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an are office-based workers : When less contact is beneficial,"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38(4), 336-361. https://doi.org/10.1080/00909882.2010.513998
  40. Garvin, D. A., Edmonson, A. C. and Gino, F.(2008), "Is yours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6(3), 109-116.
  41. Gefen, D. and Straub, D.(2005), "A Practical Gui de To Fact orial Validity Using Pls Graph :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6.
  42. Hayes, A. H.(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 A Regression-Based Approach," NY : The Guilford Press.
  43. Hackman, J. R. and Oldham, G. R.(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KMIS and PACIS 2013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170.
  44. Hoppock, R.(1935), "Job Satisfaction," New Work , Harper.
  45. Jang, J. W., Han, K. S., An, Y. J. and Lee, M. H.(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hot-desking office on the Job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working lif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7), 1353-1363. https://doi.org/10.9728/dcs.2019.20.7.1353
  46. McCall, M. W., M. M. Lombardo and A. Morrisson(1988), "Lessons of Experience: How Successful Executives Develop on The Job," The Free Press.
  47. Neirotti, P., Raguseo, E. and Gast, L.(2019), "Designing flexible work practices for job satisfaction: The rel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disaggregation in different types of work arrangements," New Technology, Work and Employment, 34(2), 116-138.
  48. Nopriadi Saputra, Sri Bramantoro Abdinagoro and Engkos Achmad Kuncoro(2018), "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Learning Culture Pertanika," J. Soc. Sci. & Hum, 26(S), 117-130.
  49. Saputra, N., Abdinagoro, S. D. and Kuncoro, E. A.(2018),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learning culture," Pertanika Journal of Social Science & Humanities, 26, 117-130.
  50. Smith, B. C.(2015), How Does Learning Agile Business Leadership Differ? Exploring a Revised Model of The Construct of Learning Agility in Relation to Executive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51. Swisher,V.V.(2013), "Learning Agility: the "X" factor in Identifying and Developing Future Leaders," Industrial & Commercial Training, 45(3), 139-142. https://doi.org/10.1108/00197851311320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