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Rate of Post-Hatching Growth of the First Artificially Bred Green Turtle Chelonia mydas Juveniles in Korea

국내최초 푸른바다거북(Chelonia mydas)의 실내 인공 번식 및 어린 개체의 초기 성장 특성

  • Cho, Eunvit (Aqua Planet Yeosu) ;
  • Kim, Il-Hun (Department of Ecology and Conservation,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
  • Han, Dong Jin (Aqua Planet Yeosu) ;
  • Im, Jien (Aqua Planet Yeosu) ;
  • Cho, In Young (Department of Ecology and Conservation,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
  • Lee, Ki-Young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Moon, Dae Yeon (Ocean & Fish Research)
  • 조은빛 (아쿠아플라넷여수) ;
  • 김일훈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다양성본부) ;
  • 한동진 (아쿠아플라넷여수) ;
  • 임지언 (아쿠아플라넷여수) ;
  • 조인영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다양성본부) ;
  • 이기영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물자원학과) ;
  • 문대연 (해양수산리서치)
  • Received : 2022.08.03
  • Accepted : 2022.12.0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globally due to its reduced population. Although C. mydas is not known to reproduce on the shores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listed as a protected marine spec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describes the first successful captive breeding of C. mydas in a commercial aquarium in South Korea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arly growth patterns of C. mydas hatched and reared in indoor facilities. C. mydas YS-B003 laid a total of 594 eggs in ten nesting events in the period December 2016-June 2017. Of these, 115 fertilized eggs from six events hatched successfully. The size of the newly hatched turtl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nesting events. The hatchlings from the 8th and 9th nesting events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from the 3rd and 5th events. The rate of growth initially varied across the different events, but from the 1,000th day, the inter-group variation disappeared. The present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captive breeding of sea turtles in indoor facilities,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se endangered sea turtle species.

Keywords

서론

전 세계에 서식하는 7종의 바다거북은 인간에 의한 남획, 혼획, 산란지 및 서식지의 파괴, 해양폐기물, 질병, 기후변화 등으 로 인하여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Moon et al., 2009; Hamann et al., 2010; Rasmussen et al., 2011). 바다거북류의 보전을 위하여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에서는 바다거북 전종 (7종)을 Appendix I로 지정해 국가 간 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회유성생물의 보전 협약(Convention on Migratory Species), 바다거북 보호 및 보존을 위한 미주협약(Inter-American Sea Turtle Convention), 인도양과 동남아시아의 바다거북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협약(Indian Ocean and South-East Asia) 등에서도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Seminoff, 2004). 한국에는 바다거북류 5종[푸른바다거북(Chelonia mydas), 붉은바다거북(Caretta caretta), 매부리바다거북(Eretmochelys imbricata), 올리브바다거북(Lepidochelys olivacea), 장수거북(Dermochelys coriacea)]이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Kim et al., 2017; Kim et al., 2019), 이 들 모두 낮은 출현빈도와 멸종위협의 지속적인 증가 등으로 인해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MOF, 2021a). 푸른바다거북(C. mydas; Linnaeus, 1758)은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넓게 분포하는 해양생물로 남극해와 북극해를 제외한 대서양, 인도양, 지중해, 태평양에 넓게 서식하며, 전 세계적으로 80개국 이상에서 번식하고(Hirth, 1997), 140개국 이상의 연안 해역에서 분포한다(Groombridge and Luxmoore, 1989). Wallace et al. (2010)의 연구에서 생물지리학, 유전적 형질 등을 고려하여 제안된 regional management units에 따르면 푸른바다거북은 전세계적으로 17개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남중국해에서 일본 남부까지 넓게 분포하는 북서태평양 계군(Pacific Northwest, CM-PNW)이 출현하는 것 으로 평가되었다(Moon and Kim, 2021).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Redlist)에 따르면 푸른바다거북은 다른 바다거북과 마찬가지로 인간에 의한 직접적인 포획(Humphrey and Salm, 1995; Fleming, 2001; Fretey, 2001), 정치망, 트롤, 주낙 등 어업 중 발생하는 부수어획, 번식지의 해변과 주변 섭이장의 서식지 훼손, 번식지의 개발, 모래유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지속적인 개체수 감소가 발생한다(Lutcavage, 2017). 번식지 주변 해역의 빛공해에 의한 성체 암컷의 번식포기(Witherington, 1992) 나 부화한 새끼가 가로등 불빛을 바다에 반사된 달빛으로 오인해 육지로 상륙하는 것도 위협요인 중 하나이다 (Witherington and Bjorndal, 1991). 최근에는 해양쓰레기에 의한 피해가 매우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uyler et al., 2016; Moon et al., 2022). 푸른바다거북의 성적 성숙에 도달하는 나이는 17–23년으로 평가되는데(Carr et al., 1978; Fitzsimmons et al., 1995), 전 세계적으로 분포된 32개 평가 그룹에서 지난 3세대 동안 번식하는 성숙한 암컷의 48–67%가 감소한 것으로 평가되어 멸종 위기(Endangered) 등급으로 평가될 만큼 위협이 지속적인 종으로 평가되고 있다(Seminoff, 2004).

전 세계적으로 푸른바다거북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가, 지자체, 연구자, 자원봉사자 등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단계에서 수많은 위협과 포식자로 인하여 어린시기에 생존율이 매우 낮다(Limpus, 1985; Frazer and Ladner, 1986). 푸른바다거북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의 방법 중 하나로 자연상태에서 바다거북 알을 수거하여 인공적으로 부화시킨 후 야생에 방류하여 개체수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Kurata and Hirose, 1969; Kondo et al., 2017). 일부 바다거북 농장에서 바다거북의 인공증식을 통한 야생 개체수의 복원을 목적으로 상업적인 증식을 옹호하는 주장으로 논란이 있으나, 목장형태의 밀도 높은 실내사육은 느린 성장률, 질병과 기생충, 영양부실 등에 의해 효율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Jacobson, 1996). 관광이나 상업적인 목적을 위한 인공증식은 카리브해의 그랜드 카이만 섬에 있는 Cayman Turtle Farm (1969년 설립)을 제외하고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사라진 실정이다(Ross, 1999).

한국에서는 푸른바다거북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2012년에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푸른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하여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해양생태계의 관리, 서식지외 보전을 통한 개체수 회복, 해양동물의 구조 및 치료 등을 위해서 노력하고있다(MABIK, 2021; MOF, 2021b).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양동물 서식지외보전기관인 아쿠아 플라넷 여수에서 2017년 국내 최초로 푸른바다거북의 실내 인공번식을 성공한 바 있다(MOF, 2017). 이는 국내에서 인공적으로 바다거북을 번식시킨 최초 사례임과 동시에, 실내에서 교미부터 산란, 부화, 초기 성장까지 성공한 드문 케이스이다. 한 국 연안에서 번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푸른바다거북의 인공번식에 성공한 만큼 해당 종의 안정적인 부화 및 초기 성장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인공적으로 번식에 성공한 푸른바다거북의 산란특성, 부화한 유체의 초기 성장도를 분석함으로서 국제적멸종위기종인 푸른바다거북의 안정적인 번식과 함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연구개체

국내 최초로 수족관의 인공환경 내에서 번식한 암컷 푸른바다거북은 2016년에 싱가포르 수족관에서 전시 목적으로 국내에 반입되었으며, 아쿠아플라넷 여수의 실내수조에서 사육되었다. 사육환경은 연중 수온 25–26℃, 광주기 12L:12D 조건이었으며, 사육 수조는 가로 20 m × 세로 17.5 m × 깊이 9 m로 3,150톤 이상의 메인수조와, 수컷과의 교미 후에는 암컷은 번식수조 가로 8.5 m × 세로 7.4 m × 깊이 2 m로 115톤에 옮겨 사육하였고, 번식을 위하여 가로 2.9 m × 세로 4 m × 깊이 1.3 m의 인공모래사장을 번식수조에 설치하였다(Fig. 1). 사육기간 중 먹이로는 전갱이, 오징어, 배추를 주식으로 주 2회 체중의 1%를 급이하였다.

KSSHBC_2022_v55n6_917_f0001.png 이미지

Fig. 1. The Aqua Planet Yeosu main captive tank (A), holding tank with artificial sand area (B ) and breeding tank of juveniles (C).

인공부화기에서 부화한 어린 개체는 가로 45 cm × 세로 30 cm × 깊이 25 cm의 수조에서 개별 사육하였고, 사육 환경은 연중 수온 25–26°C, 광주기 12L:12D로 성체 사육 환경과 동일하였다. 어린 개체의 먹이는 오전 10시와 오후 5시로 나누어 1일 2회 급이하였고, 오전에는 배합사료, 오후에는 전갱이와 새우살을 다져 체중의 15%까지 급이하였다(Fig. 1).

산란한 암컷(YS-B003) 개체의 크기는 등갑직선길이(straight carapace length, SCL) 88 cm, 등갑직선너비(straight carapace width, SCW) 71 cm, 몸무게(body weight) 99 kg 이었다. YS-B003은 2016년 11월 13일에 수컷인 푸른바다거북(YS-B001)과 교미 행동이 관찰되었는데, 수컷의 SCL은 91 cm, SCW는 74 cm, 몸무게는 81 kg이었다. 연구자의 관찰 이외에 추가적인 교미행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암컷의 임신은 초음파검사기(Hitachi aloka noblus ultrasound machine; Hitachi, Tokyo, Korea)와 5-1MHz 탐촉자(Hitachi Aloka Medical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임신이 확인된 시점부터 번식수조로 옮겨서 사육하면서 산란을 유도하였다.

푸른바다거북의 산란특성

연구기간(2016년 12월–2017년 8월)동안 산란한 알을 한 해 번식기 동안 산란한 것으로 가정하였고, 산란 회수별로 산란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 번에 산란한 알을 한 배 산란수로 평가하였다. 산란된 알은 화학적인 성분에 의한 교란을 막기 위하여 위생 장갑을 착용한 후 조심히 꺼내어 이동하였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알의 부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산란 후 6시간 이내에 옮겨 연구를 수행하였다(Parmenter, 1980). 산란된 알은 인공부화기 Rcom MARU 200 (Autoelex, Gimhae, Korea)를 이용하여 항온·항습 조건에서 부화시켰다. 부화 기간 동안의 온도는 배아의 성별, 성장률, 잔류 난황의 크기, 부화개체의 건강성 등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Booth, 1998; Mrosovsky, 1994; Fisher et al., 2014), 산란 차수별 부화 조건은 단일하게 수행하였다.

실내조건에서 안정적인 부화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조하여(Rafferty et al., 2013; Williamson et al., 2017), 푸른바다거북의 성비가 1:1로 추정되고 부화율이 가장 좋은 조건인 온도 29±1℃ 및 습도 90±5%를 유지하였다(Wibbels et al., 2003; King et al., 2013). 부화 중 알이 부패하여 주변 알을 오염시킬 가능성을 고려하여 손전등 플래시를 이용한 검란(candling) 을 통해 수정여부를 확인하였고, 미수정란 중 부패가 시작된 것으로 평가된 알은 제거하였다. 산란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수 별 산란일, 산란 개수, 부화소요기간, 부화 개수 및 부화율을 비교하였다.

푸른바다거북 차수별 성장 특성 비교

부화된 푸른바다거북 유체의 차수 별 비교를 위하여 4, 5, 8, 9차란의 부화 개체 중 건강상태가 양호한 33마리를 선별하여 월 1회의 주기로 성장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Table 1). 부화 직후 푸른바다거북 유체의 크기는 핸들링이 익숙해 진 후 9차란 10개체를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SCL과 SCW는 켈리퍼스(digimatic caliper; Mitutoyo, Tokyo, Japan)를 이용해 0.1 mm 단위로 측정하였고 몸무게는 휴대용 전자저울(ELT4001; Sartorius, Bohemia, NY, USA)을 이용해 0.1 g 단위로 측정하였다. 개체별로 분리 사육하여 섞이지 않도록 하였고, 불가피하게 개체를 함께 사육할 경우에는 개체별로 사진을 통해 구분하여 추적하였다. 먹이로는 바다거북 전용 영양제(5B48; Mazuri, St. Louis, MO, USA)와 함께 크릴과 전갱이를 다져 매일 2회 체중의 15%까지 제공하였다. 전체 측정 개체를 대상으로 시기별 성장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0–1년(365일), 1–3년(366–1,095일) 구간으로 구분하여 2회 이상 측정된 개체를 대상으로 최초와 마지막 측정값의 차이를 바탕으로 연평균 성장도를 계산하였다(Casale et al., 2009).

Table 1. Results of nesting by Chelonia mydas (YS-B003) on Aqua Planet Yeosu in 2016 and 2017

KSSHBC_2022_v55n6_917_t0001.png 이미지

푸른바다거북이 10회에 걸쳐 산란하면서 교미한 수컷의 차이, 암컷의 건강도 차이, 계절적인 차이, 서식지 온도의 차이 등으로 인해 부화한 유체 성장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차수별 성장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4, 5, 8, 9차 산란의 부화 일시 및 건강상태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육 환경의 실내 조건은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먹이는 모든 개체에게 충분히 제공하였기 때문에 성장도 차이는 차수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4개 그룹의 성장률 비교는 SCL과 몸무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의 비교를 위하여 4개 그룹의 개체들이 210–220일 동안 성장한 후 측정값을 가지고 그룹 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비교하였고, 그룹 간 차이는 Turkey 사후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차수에 따른 성장률 차이는 특정 시기가 아닌 장기간에 걸친 변화 경향 비교가 필요하기 때문에, SCL과 몸무게를 기준으로 성장 기간에 따라 성장률 변화가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였다.

통계분석

SCL과 SCW의 상관관계, SCL과 몸무게의 상관관계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8.0)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그래프는 Sigmaplot (ver. 13)을 통해 도식화하였다.

결과 및 고찰

푸른바다거북 산란특성

연구 개체는 2016년 12월 10일부터 2017년 08월 12일 사이에 총 10회에 걸쳐 594개의 알을 산란하였다(Table 1). 이러한 수치는 Cayman Turtle Center와 Okinawa Churaumi Aquarium 등의 인공사육시설에서 사육된 푸른바다거북의 번식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Wood and Wood, 1980; Kawazu et al., 2018). 또한, 야생에서 1–10회 평균 24–277개의 알을 낳으며 특정 암컷은 한해에 1,249개까지 알을 낳은 것으로 알려진 것과 비교할 때 정상적인 범위에 포함되었다(Chen and Cheng, 1995; Ekanayake et al., 2016). 산란시기에 있어서는 푸른바다거북은 자연서식지에서는 대개 봄에서 여름까지 3개월에 걸쳐 산란하고(Marquez, 1990), Cayman Turtle Center와 Churaumi Aquarium 등 다른 인공사육시설에서도 2–4개월 정도로 비슷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동일 암컷에 의한 산란이 무려 8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위의 두 인공사육시설은 야외에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서 수온과 광주기 조건이 주변 서식지와 유사하지만, 본 연구시설은 실내에 설치되어 연중 25–26℃의 일정한 수온과 12L:12D 광주기 조건, 충분한 영양공급 등이 장기간의 산란을 가능케한 이유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산란간격에 있어서 다른 연구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푸른바다거북은 야생 에서는 7–21일(Hirth, 1997), 10–19일(Kawazu et al., 2018), 7–43일(Rajakaruna et al., 2010), 인공사육시설에서는 4–25일 (Wood and Wood, 1980), 10–17일(Kawazu et al., 2018) 등 지역과 조건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 13일에서 최대 72일간으로 종전의 연구와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단일 사계이고 인공적인 환경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기는 어려웠다.

10차에 걸쳐 산란된 알 594개 중 130개(21.9%)가 성공적으로 부화하였다. 1차란은 대부분 미수정 란으로 확인되었고, 초기 연구의 특성 상 부화율이 낮은 문제점은 차수를 거듭하면서 보완되어, 5차란은 부화율 60%를 기록하였다. 자연상태에서 부화율 70–82% (Chen and Cheng, 1995; Ekanayake, 2003; Ekanayake et al., 2016)와 인공사육시설에서의 부화율 33.0–92.9% (Wood and Wood, 1977; Kawazu et al., 2018; Yao et al., 2022)를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이러한 차이는 매부리바다거북과 캠프바다거북의 연구에서도 보고되었다. 인공사육시설에서의 푸른바다거북은 자연서식지와 달리 충분한 먹이의 공급 등으로 해마다 번식하는 등 번식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Owens and Blanvillain, 2013), 부화율에 있어서는 낮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은 산란 암컷의 상태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었다. 즉, 난황형성과정, 수컷과의 교미 시간, 그리고 수정 등 알이 형성되는 과정이 부화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Wood and Wood, 1980; Craven et al., 2008; Perrault et al., 2011; Kawazu et al., 2018), 수컷과의 교미 기회의 증가, 먹이의 영양 균형 등의 개선을 통해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Wood and Wood, 1980; Craven et al., 2008). 산란한 알의 수에 있어서는, 1차 48개와 7차 11개로 특정 차수에 산란한 알의 수가 작았는데, 이는 산란 과정에서 관리자의 움직임, 조명 등 특정 요인에 의한 방해 작용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Ekanayake et al., 2016). 한편, 야생에서도 푸른바다거북은 산란기 초기에는 알의 수가 적으나 중기에 최대에 이르고 말기에는 다시 알의 수가 적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기도 하였다(Niethammer, 1997; Broderick et al., 2003). 1차와 7차 란은 전체가 미수정란으로 확인되었는데, 아마도 수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산란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푸른바다거북은 수컷이 가능한 많은 암컷과 교미를 시도하는 일부다처제의 번식 형태를 가지고(Jessop et al., 1999), 한 배 내에서도 여러 마리의 수컷 정자와 수정되는 다부성(multiple paternity)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are et al., 1994; Ireland et al., 2003). 실내 사육조건에서 다수의 수컷과 교미하기 어렵고 교미 시간이 충분치 않았을 가능성을 고려할 때 한번이 아닌 다수의 교미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Wood and Wood, 1980; Kawazu et al., 2018).

푸른바다거북 차수별 성장 특성 비교

9차란의 부화한 유체를 대상으로 부화 초기 크기를 측정한 결과(n=10), 부화한 어린 개체의 평균 SCL은 44.5±3.4 mm (36–49 mm), 등갑너비는 36.6±2.0 mm (34–40 mm), 몸무게는 22.4±2.2 g (19–27 g)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푸른바다거북 부화개체의 평균 SCL인 46.5–47.1 mm와 유사한 크기였다(Chen and Cheng, 1995; Ekanayake et al., 2016).

SCL과 SCW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의 상관(r2=0.9959, P<0.05)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SCL이 상승함에 따라 SCW도 상승하였다(Fig. 2). SCL이 성장함에 따라 몸무게는 지수함수에 따라 성장하였다(r2=0.9921, P<0.05). SCL과 SCW, SCL과 몸무게는 명확한 경향성을 보이는 성장 그래프 가지며, 이를 통해 푸른바다거북 어린 개체 중 SCL과 너비 중 데이터가 누락된 개체의 예상 수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SSHBC_2022_v55n6_917_f0002.png 이미지

Fig. 2.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straight carapace length and maximum straight carapace width (A) and between maximum straight carapace length and body weight in artificially bred green turtle juveniles (B).

산란 차수에 따른 개체 크기 비교 결과, 210–220일이 경과한 4개 그룹은 SCL과 몸무게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4차와 5차, 8차와 9차 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는 4차, 5차 그룹(a)과 8차, 9차 그룹(b)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ig. 3). 결과적으로 4차와 5차는 초기 성장속도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8차와 9차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느렸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부화기간 동안의 온도차이에 의해 태어난 개체의 초기 성장률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Yao et al., 2022), 우리의 연구에서는 부화기간 동안 온도 및 습도는 일정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수컷 정자의 건강성, 수정난이 임신 중인 암컷의 영양상태, 부화 후 성장기 동안의 사육환경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KSSHBC_2022_v55n6_917_f0003.png 이미지

Fig. 3. Comparison of growth per spawning case after 210–220 days of hatching. A, Maximum straight carapace length; B, Body weight.

장기간에 걸친 차수별 성장도 변화 경향을 비교할 때, SCL과 몸무게 모두에서 4차와 5차 그룹이 8차와 9차 그룹에 비해 초기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800–1,000일이 경과하는 시점에서는 성장률이 차이가 점차 적어지는 특성을 보였다(Fig. 4). 결과적으로 차수에 따라서 초기 성장도에서는 차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성장 특성은 유사해 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연구결과 푸른바다거북의 초기 성장도는 0–1년에는 19.5±8.1 cm/yr (n=32), 1–3년에는 9.8±3.2 cm/yr (n=23)으로 확인되었다. 푸른바다거북의 초기 성장은 등갑길이 기준으로 4.73 cm/yr (1913–1914년; Boulon and Frazer, 1990), 4.78 cm/yr (1981–1986년, 등갑길이 25.6–62.3 cm, N=41; Boulon and Frazer, 1990), 4.9 cm/yr (1990–2011년, 등갑길이 <90 cm; Eguchi et al., 2012)로 평가된 바 있는데, 우리의 결과값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부화 후 초기 데이터가 누락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같은 종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해역에서 capture-mark-recapture 방식으로 연구된 6.4–30.0 cm 등갑길이의 붉은바다거북의 초기 성장도를 분석한 논문에 따르면 초기 6개월까지의 성장도는 11.8 cm/yr이었던 반면 2.5–3.5년 개체는 3.6 cm/yr 수준의 성장도를 보인바 있다(N=88; Casale et al., 2009). 붉은바다거북의 초기 성장도와 비교할 때에도 우리의 연구결과 초기 성장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충분한 먹이를 공급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른 연구에서도 실내에서 사육한 개체는 야생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고 성적 성숙도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Wood and Wood, 1980).

KSSHBC_2022_v55n6_917_f0004.png 이미지

Fig. 4. Overall trend of time-dependent variation in growth rate across all spawning cases. A, Maximum straight carapace length; B, Body weight.

다른 많은 생물과 마찬가지로 바다거북도 어렸을 때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을 고려할 때(Bjorndal and Bolten, 1988), 우리 연구에서도 추가적인 측정을 수행한다면 초기에 빠른 성장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도가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의 연구와 다르게 많은 바다거북 종의 사육상태에서는 곡선형 성장을 보였는데(Uchida, 1967; Witzell, 1980; Frazer and Schwartz, 1984), 이러한 차이는 온도(Hughes, 1974), 먹이 종류(Stickney et al., 1973; Wood and Wood, 1981), 소화율(Njoman et al., 1982)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자연상태에서 푸른바다거북의 성장도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예를 들어 대서양과 캐리비안 해역에서 측정된 초기 성장도는 태평양 지역에 비해 빠르고(Bjorndal and Bolten, 1988), 같은 지역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ulon and Frazer, 1990).

우리의 연구결과에서 정확한 연령을 알고 있는 성체의 SCL 정보를 알 수 없었기 때문에 von Bertalanffy 식을 이용한 성장도 최대 추정치는 분석하지 않았다. 그러나 야생에서 생후 1년 이내의 어린개체의 포획이 극히 어렵기 때문에(Fabens, 1965; Bjorndal, 2003), 자연상태에서 연구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 SCL 25 cm 이하의 아주 어린 개체의 데이터는 대부분 누락되므로(Limpus and Walter, 1980; Bjorndal and Bolten, 1988; Boulon and Frazer, 1990), 본 연구와 같이 어린 개체의 초기 성장도는 비록 실내 사육조건임을 고려하더라도 푸른바다거북의 생태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도 푸른바다거북은 어린 시기에 잡식성이었다가 성장하면서 초식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성장곡선의 전환이 있을 것으로 제안된 바 있는데(Bjorndal and Bolten, 1988), 현재 추적 중인 개체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이러한 경향성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여수아쿠아리움에서의 푸른바다거북의 산란과 부화는 처음 시도한 인공번식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된다. 다만 초기 산란한 알과 후반 차수의 알이 미수정란이 많았던 것으로 보아 추후 암컷이 많은 수컷과 충분한 교미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아쿠아리움 등 실내외 인공사육시설에서의 바다거북 번식 및 사육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사

논문의 1저자인 조은빛과 김일훈의 기여도는 동일하며, 조은빛은 바다거북 사육 및 개체 측정, 김일훈은 연구 디자인, 개체사육 점검 및 논문작성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도움을 주신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양동우박사, 푸른바다거북의 사육에 도움을 준 아쿠아플라넷 여수의 서승현수의사, 한원민팀장, 해양보호생물 지원사업을 담당해 준 해양환경공단의 황인서처장, 임성오차장, 박현실대리에게 특별한 감사 인사를 전한다. 본연구는 아쿠아플라넷 여수가 전시 목적으로 반입한 푸른바다거북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CITES의 부속서 I급에 해당하여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보관 및 인공증식 보고를 득하였고, 연구 및 사육과정은 현행법을 준수하여 수항하였다. 이 논문은 해양환경공단의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원사업 및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사업(2022M00300, 2022E00300)의 지원을 받아수행되었다.

References

  1. Bjorndal KA. 2003. Roles of loggerhead sea turtles in marine ecosystems. In: Loggerhead Sea Turtles. Smithsonian Books, Washington D.C., U.S.A., 121-126.
  2. Bjorndal KA and Bolten AB. 1988. Growth rates of immature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on feeding grounds in the southern Bahamas. Copeia 1988, 555-564. https://doi.org/10.2307/1445373.
  3. Booth DT. 1998. Incubation of turtle eggs at different temperatures: do embryos compensate for temperature during development?. Physiol Zool 71, 23-26. https://doi.org/10.1086/515884.
  4. Boulon RH and Frazer NB. 1990. Growth of wild juvenile Caribbean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J Herpetol 24, 441-445. https://doi.org/10.2307/1565071.
  5. Broderick AC, Glen F, Godley BJ and Hays GC. 2003. Variation in reproductive output of marine turtles. J Exp Mar Bio Ecol 288, 95-109. https://doi.org/10.1016/S0022-0981(03)00003-0.
  6. Carr AF, Carr MH and Meylan AB. 1978. The ecology and migrations of sea turtles. 7, The West Caribbean green turtle colony. Bull AMNH 162, 1-46.
  7. Casale P, d'Astore PP and Argano R. 2009. Age at size and growth rates of early juvenile loggerhead sea turtles (Caretta caretta) in the Mediterranean based on length frequency analysis. Herpetol J 19, 29-33.
  8. Chen TH and Cheng IJ. 1995. Breeding biology of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Reptilia: Cheloniidae) on Wan-an Island, Peng-Hu Archipelago, Taiwan. I. Nesting ecology. Mar Biol 124, 9-15. https://doi.org/10.1007/BF00349141.
  9. Craven KS, Parsons J, Taylor SA, Belcher CN and Owens DW. 2008. The influence of diet on fatty acids in the egg yolk of green sea turtles, Chelonia mydas. J Comp Physiol B 178, 495-500. https://doi.org/10.1007/s00360-007-0242-8.
  10. Eguchi T, Seminoff JA, LeRoux RA, Prosperi D, Dutton DL and Dutton PH. 2012. Morphology and growth rates of the green sea turtle (Chelonia mydas) in a northern-most temperate foraging ground. Herpetologica 68, 76-87. https://doi.org/10.1655/herpetologica-d-11-00050.1.
  11. Ekanayake E, Rajakaruna RS, Kapurusinghe T, Saman M, Rathnakumara DS, Samaraweera P and Ranawana K. 2010. Nesting behavior of the green turtle at Kosgoda rookery, Sri Lanka. Ceylon J Sci 39, 109-120. http://doi.org/10.4038/cjsbs.v39i2.2997.
  12. Ekanayake EML, Kapurusinghe T, Saman MM, Rathnakumara DS, Samaraweera P and Rajakaruna RS. 2016. Reproductive output and morphometrics of green turtle, Chelonia mydas nesting at the Kosgoda rookery in Sri Lanka. Ceylon J Sci 45, 103-116. http://doi.org/10.4038/cjs.v45i3.7406.
  13. Ekanayake EML. 2003. Nest site fidelity and nesting behaviour of marine turtles in rekawa turtle rookery. M.S. Thesis, University of Peradeniya, Galaha, Sri Lanka.
  14. Fabens AJ. 1965. Properties and fitting of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Growth 29, 265-289.
  15. Fisher LR, Godfrey MH and Owens DW. 2014. Incubation temperature effects on hatchling performance in the loggerhead sea turtle (Caretta caretta). PLoS One 9, e11488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4880.
  16. Fitzsimmons NN, Tucker AD and Limpus CJ. 1995. Long-term breeding histories of male green turtles and fidelity to a breeding ground. Marine Turtle Newsletter 68, 2-4.
  17. Fleming EH. 2001. Swimming Against the Tide: Recent Surveys of Exploitation, Trade, and Management of Marine Turtles in the Northern Caribbean (Vol. 1). Traffic North America, Washington D.C., U.S.A.
  18. Frazer NB and Ladner RC. 1986. A growth curve for green sea turtles, Chelonia mydas, in the US Virgin Islands, 1913-14. Copeia 1986, 798-802. https://doi.org/10.2307/1444963.
  19. Frazer NB and Schwartz FJ. 1984. Growth curves for captive loggerhead turtles, Caretta caretta, in North Carolina, USA. Bull Mar Sci 34, 485-489.
  20. Fretey J. 2001. Biogeography and conservation of marine turtles of the Atlantic coast of Africa. In: Convention on Migratory Species Technical Series, No. 6.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Bonn, Germany.
  21. Groombridge B and Luxmoore RA. 1989. The Green Turtle and Hawksbill (Reptilia: Cheloniidae): World Status, Exploitation and Trade. IUCN Conservation Monitoring Center, Cambridge, U.K., 1-601.
  22. Hamann M, Godfrey MH, Seminoff JA, Arthur K, Barata PCR, Bjorndal KA and Godley BJ. 2010. Global research priorities for sea turtles: informing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the 21st century. Endanger Species Res 11, 245-269. https://doi.org/10.3354/esr00279.
  23. Hirth HF. 1997. Synopsis of the Biological Data on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Linnaeus 1758). Biological Report 97(.1). Department of Biology, University of Utah, Salt lake City, UT, U.S.A.
  24. Hughes GR. 1974. The sea turtles of South-East Africa. II. The Biology of the Tongaland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with comments on the leatherback Turtle Dermochelys coriacea and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in the study region. The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Durban, South Africa.
  25. Humphrey S and Salm RV. 1995. Status of sea turtle conservation in the Western Indian Ocean. In: Proceeding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training workshop and strategic planning session on sea turtles. held at Sodwana Bay, South Africa, 12-18.
  26. Ireland JS, Broderick AC, Glen F, Godley BJ, Hays GC, Lee PLM and Skibinski DOF. 2003. Multiple paternity assessed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in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Linnaeus, 1758) of Ascension Island, South Atlantic. J Exp Mar Biol Ecol 291, 149-160. https://doi.org/10.1016/s0022-0981(03)00118-7.
  27. Jacobson ER. 1996. Guest editorial: Marine turtle farming and health issues. Marine Turtle Newsletter 72, 13-15.
  28. Jessop TS, FitzSimmons NN, Limpus CJ and Whittier JM. 1999. Interactions between behavior and plasma steroids within the scramble mating system of the promiscuous green turtle, Chelonia mydas. Horm Behav 36, 86-97. https://doi.org/10.1006/hbeh.1999.1527.
  29. Kawazu I, Fukada S, Maeda K, Maeda Ko, Kino M, Omata M, Makabe M and Kobuchi T. 2018. Reproductive parameters of captive sea turtles in Okinawa Churaumi Aquarium. In: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Aquarium Conference Fukushima. Fukushima, Japan, 74-79.
  30. Kim IH, Moon DY, Cho IY, Kim MS, An YR, Han D and Park D. 2017. Occurrence of sea turtles in the Korean water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major species. Korean J Fish Aquat Sci 50, 311-318. https://doi.org/10.5657/KFAS.2017.0311.
  31. Kim IH, Yi CH, Lee JH, Park D, Cho IY, Han DJ and Kim MS. 2019. First record of the olive ridley sea turtle Lepidochelys olivacea (Reptilia: Testudines: Cheloniidae) from South Korea. Curr Herpetol 38, 153-159. https://doi.org/10.5358/hsj.38.153.
  32. King R, Cheng WH., Tseng CT, Chen H and Cheng IJ. 2013. Estimating the sex ratio of green sea turtles (Chelonia mydas) in Taiwan by the nest temperature and histological methods. J Exp Mar Biol Ecol 445, 140-147. https://doi.org/10.1016/j.jembe.2013.03.016.
  33. Kondo S, Morimoto Y, Sato T and Suganuma H. 2017. Factors affecting the long-term population dynamics of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in Ogasawara, Japan: influence of natural and artificial production of hatchlings and harvest pressure. Chelonian Conserv Biol 16, 83-92. https://doi.org/10.2744/ccb-1222.1.
  34. Kurata Y and Hirose I. 1969. Promotion of green sea turtle propagation, progress and results. In: The Tokyo Metropolitan Fisheries Experiment Station. Report on Primary Research of Development of Ogasawara Fisheries, Tokyo, Japan, 161-186.
  35. Limpus CJ. 1985. A study of the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in Queensland.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Queensland, Brisbane, Australia.
  36. Limpus CJ and Walter DG. 1980. The growth of immature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under natural conditions. Herpetologica 36, 162-165. https://www.jstor.org/stable/3891481.
  37. Linnaeus C.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In: Biol Reptilia. Gans C, Billet F and Maderson PFA, eds. Wiley and Son Co., Hoboken, NY, U.S.A., 269-328.
  38. Lutcavage ME. 2017. Human impacts on sea turtle survival. In: The Biology of Sea Turtle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387-409.
  39. Lutz PL, Musick JA and Wyneken J. 2002. Critical approaches to sex determination in sea turtles. In: The Biology of Sea Turtles, Volume II. 32. CRC Press, Boca Raton, FL, U.S.A. https://doi.org/10.1201/9781420040807-9.
  40. MABIK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2021.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 of Marine Bio-resources.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Seochun, Korea.
  41. Marquez MR. 1990. FAO species catalogue. Vol.11: Sea turtle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ea turtle species known to date. In: FAO Fisheries Synopsis. FAO, Rome, Italy.
  42. Miller JD. 1985. Embryology of marine turtles. In: Biol Reptilia. Gans C, Billet F and Maderson PFA, eds. Wiley and Son Co., Hoboken, NY, U.S.A., 269-328.
  43.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Facility Improvement and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of Marine Protected Species and Habitat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44.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1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MOF, Sejong, Korea.
  45.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1b. Facility Improvement and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of Marine Protected Species and Habitat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46. Moon DY and Kim IH. 2021. Sea Turtles in the East Asia Region-2021. IUCN-SSC Marine Turtle Specialist Group, Ross, CA, U.S.A., 58-61.
  47. Moon DY, Jung MM, An YR, Choi SG, Oh BS, Kim ZG and Kim SY. 2009. Distribution and strandings of endangered sea turtles in Korean waters. Korean J Fish Aquat Sci 42, 657-663. https://doi.org/10.5657/kfas.2009.42.6.657.
  48. Moon Y, Shim WJ, Han GM, Jeong J, Cho Y, Kim IH, Kim MS, Lee HR and Hong SH. 2022. What type of plastic do sea turtles in Korean waters mainly ingest? Quantity, shape, color, size, polymer composition, and original usage. Environ Pollut 298, 118849. https://doi.org/10.1016/j.envpol.2022.118849.
  49. Mrosovsky N. 1994. Sex ratios of sea turtles. J Exp Zool 270, 16-27. https://doi.org/10.1002/jez.1402700104.
  50. Niethammer KR, Balazs GH, Hatfield JS, Nakai GL and Megyesi JL. 1997. Reproductive biology of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at Tern Island, French Frigate Shoals, Hawai'i. Pac Sci 51, 36-47.
  51. Njoman I, Nuitja S and Uchida I. 1982. Preliminary studies on the growth and food consumption of the juvenile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l.) in captivity. Aquaculuture 27, 157-160. https://doi.org/10.1016/0044-8486(82)90135-1.
  52. Owens D and Blanvillain G. 2013. Captive reproduction of sea turtles: An important success story. In: Proceedings of the Churaumi Aquarium Symposium in Reproduction. Uchida S and Sato K, eds. Charleston, SC, U.S.A., 24-40.
  53. Parmenter CJ. 1980. Incubation of the eggs of the green sea turtle, Chelonia mydas, in Torres Strait, Australia: The effect of movement on hatchability. Aust Wildl Res 7, 487-491. https://doi.org/10.1071/wr9800487.
  54. Peare T, Parker PG and Waite TA. 1994. Multiple paternity in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Conservation implications. NMFS-SEFSC-351, NOAA Technical Memorandum, 115-118.
  55. Perrault J, Wyneken J, Thompson LJ, Johnson C and Miller DL. 2011. Why are hatching and emergence success low? Mercury and selenium concentrations in nesting leatherback sea turtles (Dermochelys coriacea) and their young in Florida. Mar Pollut Bull 62, 1671-1682.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1.06.009.
  56. Rafferty AR, Evans RG, Scheelings TF and Reina RD. 2013. Limited oxygen availability in utero may constrain the evolution of live birth in reptiles. Am Nat 181, 245-253. https://doi.org/10.1086/668827.
  57. Rasmussen AR, Murphy JC, Ompi M, Gibbons JW and Uetz P. 2011. Marine reptiles. PLoS One 6, e27373. http://doi.org/10.1371/journal.pone.0027373.
  58. Ross JP. 1999. Ranching and captive breeding sea turtles: evaluation as a conservation strategy. In: Research and Management Techniques for the Conservation of Sea Turtles. IUCN/SSC Marine Turtle Specialist Group Publication, Washington D.C., U.S.A., 197-201.
  59. Schuyler QA, Wilcox C, Townsend KA, Wedemeyer-Strombel KR, Balazs G, van Sebille E and Hardesty BD. 2016. Risk analysis reveals global hotspots for marine debris ingestion by sea turtles. Glob Change Biol 22, 567-576. https://doi.org/10.1111/gcb.13078.
  60. Seminoff JA. 2004. Chelonia myda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4, e.T4615A11037468. https://dx.doi.org/10.2305/IUCN.UK.2004.RLTS.T4615A11037468.en.
  61. Stickney RR, White DB and Perlmutter D. 1973. Growth of green and loggerhead sea turtles in Georgia on natural and artificial diets. Bull Ga Acad Sci 31, 37-44.
  62. Uchida I. 1967. On the growth of the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under rearing conditions. Bull Japan Soc Sci Fish 33,497-506. https://doi.org/10.2331/suisan.33.497.
  63. Wallace BP, DiMatteo AD, Hurley BJ, Finkbeiner EM, Bolten AB, Chaloupka MY and Mast RB. 2010. Regional management units for marine turtles: A novel framework for prioritizing conservation and research across multiple scales. PLoS One 5, e1546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15465.
  64. Williamson SA, Evans RG, Robinson NJ and Reina RD. 2017. Hypoxia as a novel method for preventing movement-induced mortality during translocation of turtle eggs. Biol Conserv 216, 86-92. https://doi.org/10.1016/j.biocon.2017.10.009.
  65. Witherington BE. 1992. Behavioral responses of nesting sea turtles to artificial lighting. Herpetologica 48, 31-39. https://www.jstor.org/stable/3892916.
  66. Witherington BE and Bjorndal KA. 1991. Influences of artificial lighting on the seaward orientation of hatchling loggerhead turtles Caretta caretta. Biol Conserv 55, 139-149. https://doi.org/10.1016/0006-3207(91)90053-c.
  67. Witzell WN. 1980. Growth of captive hawksbill turtles, Eretmochelys imbricata, in Western Samoa. Bull Mar Sci 30, 909-912.
  68. Wood JR and Wood FE. 1977. Captive breeding of the green sea turtle (Chelonia mydas).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World Mariculture Society 8, 533-541. https://doi.org/10.1111/j.1749-7345.1977.tb00142.x.
  69. Wood JR and Wood FE. 1980. Reproductive biology of captive green sea turtles Chelonia mydas. Am Zool 20, 499-505. https://doi.org/10.1093/icb/20.3.499.
  70. Wood JR and Wood FE. 1981. Growth and digestibility for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fed diets containing varying protein levels. Aquaculture 25, 269-274. https://doi.org/10.1016/0044-8486(81)90188-5.
  71. Yao YT, Du Y, Pan JX, Lin CX, Ji X and You WH. 2022. Incubating green turtle (Chelonia mydas) eggs at constant temperatures: Hatching success, hatchling morphology and post-hatch growth. J Therm Biol 104, 103182. https://doi.org/10.1016/j.jtherbio.2021.103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