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leotopographic and Structural Analyses of Cherwon Castle in Taebong

태봉 철원도성의 고지형과 구조 분석 연구

  • Received : 2020.12.31
  • Accepted : 2021.01.26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Cherwon Castle is located in Pungcheonwon, Cherwon, in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Currently, it is split across the Demilitarized Zone (DMZ) between the two Koreas. It attracts attention as a symbol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as cultural heritage that serves as data in making important policy decisions on the DMZ. Despite its importance, however,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investigation and research done on Cherwon Castle. This is due to the difficulty involved in investigation and research and is caused by the site's inaccessibility. As a solution, the current investigative methods in satellite and aerial archeology can be applied to interpret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Cherwon Castle and the features of its inner space zoning. Cherwon Castle was built on the five flat hills that begin in the northern mountainous hills and stretch to the southwest. The inner and outer walls were built mainly on the hilly ridges, and the palace wall was built surrounding a flat site that was created on the middle hill. For each wall, the sites of the old gates, which were erected in various directions , have been identified. They seem to have been built to fit the direction of buildings in the castle and the features of the terrain. The castle was built in a diamond shape. The old sites of the palace and related buildings and landforms related to water drainage were identified. It was verified that the roads and the gates were built to run from east to west in the palace. In the spaces of the palace and the inner castle, flat sites were created to fit different landforms, and building sites were arranged there. Moreover, the contour of a reservoir that is believed to be the old site of a pond has been found; it lies on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that connects the palace and the inner castle. Between the inner castle and the outer castle, few vestiges of old buildings were found, although many flat sites were discovered. Structurally, Cherwon Castle is rotated about nine degrees to the northeast, forming a planar rectangle. The planar structure derives from the castle design that mimics the hilly landform, and the bending of the southwestern wall also attests to the intention of the architects to avoid the wetland. For now, it is impossible to clearly describe the functions and characters of the building sites inside the castle.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inner castle was marked out for space for the palace and government offices, while the space between the outer and inner castle was reserved as the living space for ordinary people. The presence of the hilly landform diminishes the possibility that a bangri (grid) zoning system existed. For some of the landforms, orderly zoning cannot be ruled out, as flat areas are commonly seen. As surveys have yet to be conducted on the different castles, the time when the walls were built and how they were constructed cannot be known. Still, the claim to that the castle construction and the structuring of inner spaces were inspired by the surrounding landforms is quite compelling.

태봉 철원도성은 현실적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조사와 연구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현재 고고학계에서 이용되고 있는 고지형분석 방법론의 적용과 해석을 통해 도성의 구조와 내부 공간 구획의 여러 모습을 파악하였다. 태봉 철원도성은 외성의 북쪽 구릉지성 지형에서 시작하여 남서방향으로 흘러 내려온 다섯 줄기의 평탄한 구릉지형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내·외성벽은 각 구릉의 능선 줄기를 중심으로, 궁성벽은 그러한 능선 줄기의 중심 구릉지에 축조하였다. 각 성벽에는 여러 방향의 성문과 문지 등이 확인되는데, 도성 내부 건물의 방향과 지형 형태에 맞추어 설치한 것으로 파악된다. 도성 내 궁성은 평면 사다리꼴의 형태이며, 그 내부에는 궁전지와 관련 건물지 그리고 배수관련 지형 등이 확인된다. 궁전의 동서방향으로는 추정 도로와 함께 성문의 위치도 확인되었다. 궁성과 내성의 공간은 각각의 구릉 지형에 맞추어 평탄대지를 조성하고 건물지를 배치하였다. 내성의 남쪽에는 연못지로 추정되는 저수지가 궁성에서 내성의 중심을 잇는 수직 선상에 자리하는 모습이다. 내성과 외성 사이에는 건물지 흔적은 잘 관찰되지 않지만 평탄한 대지 지형의 존재로 그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다. 태봉 철원도성의 전체적인 구조는 북동 방향으로 약 9도 치우쳐 평면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구릉성 지형의 형태를 따라 설계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남서벽의 꺽임 현상 또한 습지성 지형을 회피를 의도한 것으로 파악된다. 아직 도성 내부의 건물지 기능과 성격이 불명확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공간 활용의 모습도 분명치 않다. 하지만 내성은 궁전과 함께 관아 건물지로서의 이용 공간으로서, 외성과 내성 사이 공간은 일반민의 생활 공간으로서 구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리제로서의 구획 흔적도 구릉성 지형의 존재로 인해 그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일부 지형은 평탄한 지대가 넓게 확인되고 있어 정연한 공간 구획의 모습을 배제할 수는 없다. 각 성벽의 축조 선후 시기나 방식 등도 아직 명확치 않지만, 적어도 지형을 이용한 도성의 축조와 내부 공간 구조의 활용을 이해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수원대학교박물관, 2009, 「용인 서봉사지 사역조사보고서」.
  2. 심정보, 2019, 「태봉국 철원도성의 축조 기법과 공간 구성」, 「문물연구」 36집, 동아문화재단.
  3. 양정석, 2016, 「新羅 王京의 地理學的 理解를 위한 基本 槪念의 檢討-도시형태론과 도시체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80, 호서사학회.
  4. 유병하.나병호, 2015, 「궁예도성과 견훤도성」, 「대외관계로 본 후백제」, 공감.
  5. 이기석, 2016, 「철원 풍천원과 태봉국 도성지의 지리」, 지리모노그래프2.
  6. 이기석, 2020, 「鐵原 楓川原의 지리와 태봉국 都城址의 방리제」,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59-1.
  7. 이재, 2018, 「철원도성 연구의 현단계」, 「남북 공동의 문화유산: DMZ 태봉 철원도성」, 철원군.태봉학회.
  8. 이재, 2019, 「비무장지대 문화유적 현황과 보존방안」, 「문화재」 52권 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9. 이홍종, 2015,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 경관」,「고고학」 14, 중부고고학회.
  10. 이홍종.高橋 學, 2006, 「행정중심복합도시 평야지역 내 고지형 및 유적분포 예측조사 보고서」, 한국고고환경연구소.
  11. 정호섭, 2018, 「왜 태봉 철원도성인가?」, 「철원 DMZ 궁예도성 남북 공동발굴 추진 정책 세미나」, 남북역사학자협의회.
  12. 정호섭.구문경, 2014, 「태봉국 도성 복원의 추진방안」, 강원발전연구원.
  13. 조인성, 2018, 「태봉 철원도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신라 왕경에서 고려 개경으로 -월성과 만월대-」, 국립문화재연구소.
  14. 하일식, 2015, 「남북한 역사 서술에서 태봉의 위상」, 「DMZ의 평화적 이용과 남북 역사 문화 교류」, 남북역사학자협의회.
  15. 허의행, 2017, 「풍납토성의 구조와 내부 공간 구획의 고지형적 접근」, 「호서고고학」 38, 호서고고학회.
  16. 허의행, 2020, 「3D 지형 분석을 통해 본 능허대와 주변의 고지형」, 「백산학보」 116, 백산학회.
  17. 허의행.이홍종, 2018, 「DMZ 내 유적 조사 방법론」, 「DMZ 문화재 보존 및 조사연구 발전방안 학술 심포지엄」, 국립문화재연구소.
  18. 허의행.장우영, 2020, 「충주 고구려비의 건립 위치에 대한 고고지리학적 접근」, 「선사와 고대」 63, 한국고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