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ponymic Practices for Creating and Governing of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지명(地名)의 가치와 활용 방안

  • Received : 2021.01.23
  • Accepted : 2021.05.03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oponyms are located not only in the site between human cogni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in the name of cultural heritage. Accordingly, certain identities and ideologies for which human groups and community have sought, their holistic way of life, and all cultural symbols and cosmos, such as sense of place and genius loci, are included in their toponymic heritage. Denoting, symbolizing, integrating and representing the culture and nature belong to the human community. Based on these perceptions of the toponymic heritage,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examine the values of a toponym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methods using the toponymic functions for governing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article discusses the multivocality, diversity, and non-representational theory of landscape phenomenology intrinsic to the terms of culture and cultural landscape and the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on the toponymic heritage in the first chapter on the values of toponym as a part of the ICH.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preceding research in the field of toponymy, as well as the Resolutions of UNCSGN and UNGEGN on "Geographical names as culture, heritage and identity" including indigenous, minority and regional language names since 1992, which is related to the UNESCO'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3. Based on this, I suggest that the traits of toponymic cultural heritage and its five standards of selection, i.e., cultural traits of toponyms, historical traits, spatial traits, socio-economic traits and linguistic traits with some examples. In the second chapter discussing on the methods using the toponymic denoting functions for creating and governing of the 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underlined to maintain the systematic and unified principle regarding the ways of naming in the official cultural heritage and its governing. Lastly, I introduce the possible ways of establishing a conservative area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while using the toponymic scale and multi-toponymic territory. Considering both the spatial and participatory turns in the field of heritage studies in addition to the multiple viewpoints and sense of cultural heritage, I suggest that the conservative area for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should be set up through choosing the certain toponymic scale and multi-toponymic territory.

지명은 인간의 인식 작용이 환경과 만나는 지점 위에 존재하고 있으며, 많은 문화유산의 명칭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 지명이거나 지명을 그 이름 속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지명유산 속에는 인간 집단과 공동체가 추구하는 정체성과 이데올로기, 그들이 만들어온 총체적 생활 양식, 나아가 소속감과 장소감에 이르는 모든 문화적 상징과 질서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인류 공동체가 소유한 문화와 자연을 외부에 지시하고 상징하고 통합하여 대표한다. 지명유산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지명의 가치를 정리하고 유형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지명 기능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지명의 의미를 다룬 장에서는 먼저 문화와 문화 경관 개념에 담긴 중층성과 다양성, 그리고 경관현상학적 비재현성을 살펴본 후 지명 문화유산에 대한 국내외 논의를 제시하였다. 2003년 유네스코가 채택한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과 연계하여 원주민과 소수민족 등이 소유한 '문화, 유산, 정체성으로서의 지명' 논의를 지명 연구 분야의 선행 연구와 유엔지명표준화회의의 결의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지명이 지니고 있는 문화유산적 특성과 선정 기준을 문화성, 공간성, 역사성, 사회·경제성, 그리고 언어성으로 나누어 사례 지명과 함께 제시하였다. 둘째, 유형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지명 실천이란 장에서는 먼저 지명의 지시 기능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의 합리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공식 문화재 명칭을 분석하여 명칭의 구성 및 관리에 있어 체계적이고 통일된 원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명 스케일과 다중-지명영역을 활용하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설정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최근 유산 연구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공간적 전환과 참여적 전환, 그리고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다중적 관점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특정 지명 스케일과 다중-지명영역의 선택을 통한 문화재 보호구역 및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이 결정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12, 「유엔지명전문가그룹 언론자료(한국어판): UNGEGN Media Kit」, 수원: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 국토지리정보원, 2018, 「지명 표준화 편람(제3판)」, 수원: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3. 김병연.조철기, 2020, 「사회-자연 이분법을 넘어선 도시 이해를 위한 '인간-너머의' 지리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4), pp.436~448.
  4. 김순배, 2004, 「지명 변천의 지역적 요인: 16세기 이후 대전 지방의 한자 지명을 사례로」, 「문화역사지리」 16(3), pp.65~85.
  5. 김순배, 2010, 「지명의 스케일 정치: 지명 영역의 스케일 상승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2(2), pp.15~37.
  6. 김순배, 2012a, 「비판적.정치적 지명 연구의 형성과 전개: 1990년대 이후 영미권 인문지리학계를 중심으로」, 「지명학」, 18, pp.27~73.
  7. 김순배, 2012b, 「지명과 권력: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변천」, 서울: 경인문화사.
  8. 김순배, 2013a,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25(3), pp.99~131.
  9. 김순배, 2013b, 「한국 지명의 표준화 역사와 경향」, 「지명학」 19, pp.5~70.
  10. 김순배, 2014, 「설악산권 자연 지명의 의미와 지명 영역의 변화: '설악'과 '한계'를 중심으로」, 「지명학」 21, pp.37~78.
  11. 김순배, 2019, 「기전(畿甸) 지명고(地名攷)」, 「기전문화연구」 40(1), pp.1~23.
  12. 김순배, 2020a, 「동해, 이름의 정치학과 지리적 상상」, 「문화역사지리」 32(3), pp.51~69.
  13. 김순배, 2020b, 「호서 지명고(湖西 地名攷): 상징 지명의 의미와 영역 정체성」, 「문화역사지리」 32(1), pp.100~125.
  14. 김원룡, 1965, 「올바른 문화재 관리를 위하여」, 「문화재」 창간호, pp.29~33.
  15. 김정태, 2014, 「문화유산으로서의 지명에 대한 국어 정책적 접근」, 「지명학」 20, pp.39~65.
  16. 김현주, 2015, 「계몽기 문화 개념의 운동성과 사회이론」, 「개념과 소통」 15, pp.5~45.
  17. 도수희, 2003, 「한국의 지명」, 서울: 아카넷.
  18. 돈 미첼 지음, 류제헌.진종헌.정현주.김순배 역, 2011, 「문화정치 문화전쟁: 비판적 문화지리학」, 파주: 살림(Mitchell, D., 2000, Cultural Geography: A Critical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19. 류제헌, 2016, 「지속가능한 발전과 역사환경의 관계」, 「문화재」 49(3), pp.210~223.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3.210
  20. 류제헌, 2019, 「경관이론에 근거한 명승의 지각과 경험에 대한 연구방법론」, 「명승학의 연구방법론과 명승 연구의 실제」(2019년 사단법인 한국명승학회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공동학술대회 발표집), pp.1~20.
  21.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2019, 「지리명의 로마자 표기 국제 표준화의 문제와 해결방안 발표 자료집」(과실연 제133차 오픈 포럼), pp.28~40.
  22. 부여문화원 편, 오세운 역, 2000, 「부여의 누정」, 부여: 부여문화원.
  23. 신준.류제헌, 2017, 「전통 명승에 부여된 인문적 가치의 내용과 실제 사례」, 「문화역사지리」 29(1), pp.77~92.
  24. 이규호, 2016, 「지명표장(지명표장) 보호법제: 지리적 표시 포함」, 서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5. 이나연, 2020, 「문화유산 해석 연구의 통시적 발전과 유산 해석(interpretation)의 개념」, 「문화재」 53(3), pp.42~61.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3.42
  26. 이수진.류제헌, 2019, 「프랑스 역사기념물과 그 주변 보호.관리제도의 진화: 1913~2016」, 「문화재」 52(3), pp.94~111.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3.94
  27. 이전, 2021,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文化' 개념에 관한 고찰」, 「문화역사지리」, 33(1), pp.1~17.
  28. 정해준, 2019,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명승의 체계적 관리방안: 영국 역사환경 보전을 위한 '주변환경(setting)'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명승학의 연구방법론과 명승 연구의 실제」(2019년 사단법인 한국명승학회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공동학술대회 발표집), pp.124~149.
  29. 주성재, 2010, 「무형문화유산(ICH)으로서 지명: 유엔지명회의에서의 논의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pp.176~182.
  30. 주성재, 2011, 「유엔의 지명 논의와 지리학적 지명 연구에의 시사점」, 「대한지리학회지」 46(4), pp.442~464.
  31. 주성재, 2019, 「다차원적 비판지명학 연구를 위한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4(4), pp.449~470.
  32. 지헌영, 2001, 「한국 지명의 제문제」, 서울: 경인문화사.
  33. 황진태, 2018, 「편집의 글: '인간 너머의 지리학'의 탐색과 전망」, 「공간과 사회」 28(1), pp.5~15.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1.5
  34. Baldwin, E.,et al., 2004,Cultural Studies, New York: Prentice Hall.
  35. Braun, B., 2005, 'Environmental issues: Writing a more-than-human urban geograph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9(5), pp.635~650. https://doi.org/10.1191/0309132505ph574pr
  36. Caiazzo, L. and Nick, I.M. (eds.), 2020, Shifting Toponymies: (Re)naming Places, (Re)shaping Identities,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37. Choi, S.-h. and Wong, C.U.I., 2018, 'Toponymy, place name conversion and wayfinding: South Korean independent tourists in Macau',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25, pp.13~22. https://doi.org/10.1016/j.tmp.2017.10.007
  38. Choo, S. (ed.), 2015, Geographical Names as Cultural Heritag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oponymy Seoul, 7-9 November 2014, Seoul: Kyung Hee University Press.
  39. Graham, B., 1996, 'The contested interpretation of heritage landscapes in northern Ire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2(1-2), pp.10~22. https://doi.org/10.1080/13527259608722158
  40. Kroeber, A.L. and Kluckhohn, C., 1952, Culture: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Definition, New York: Vintage Books.
  41. Lahdesmaki, T., eginskas, V. L. A., Kaasik-Krogerus, S., Makinen, K., and Turunen, J., 2020, Creating and Governing Cultural Heritage in the European Union: The European Heritage Label (Critical Heritages of Europe), London: Routledge.
  42. Light, D. and Dumbraveanu-Andone, D., 1997, 'Heritage and national identity: Exploring the relationship in Romania',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3(1), pp.28~43. https://doi.org/10.1080/13527259708722185
  43. Rose-Redwood, R. and Kim, S.-B., 2020, 'Street Naming and Power', in A. Kobayashi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2nd edition) vol.13, Amsterdam: Elsevier, pp.55~60.
  44. Silverman, H., 2013, 'What's in a name? A Geography of Heritage revisited',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9(4), pp.388~394. https://doi.org/10.1080/13527258.2012.695133
  45. Watt, B., 2009, 'Cultural aspects of place names with special regard to names in indigenous, minority and regional languages', in Jordan, P., Bergmann, H., Cheetham, C. and Hausner, I., (eds.), Geographical Names as a Part of Cultural Heritage, Wien: Institute fur Geographie und Regionalforschung der Universitat Wien, Kartographie und Geoinformation.
  46.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문화재보호법) https://www.law.go.kr, (접속일: 2020.12.17.).
  47. 네이버 한자사전 홈페이지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https://hanja.dict.naver.com, (접속일: 2020.12.18.).
  48.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정책 Q&A, 세계유산현황, 지정문화재총괄표) http://www.cha.go.kr, (접속일: 2020.12.16.).
  49.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unesco.or.kr/heritage/ich/index.asp, (접속일: 2020.10.07.).
  50.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홈페이지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s://ich.unesco.org/en, (접속일: 2020.10.19.).
  51. UNESCO 홈페이지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rg/en/list, (접속일: 2020.12.27.).
  52. UNGEGN 홈페이지 (Working Groups, Resolutioins) https://unstats.un.org/unsd/ungegn, (접속일: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