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Bronze Wind Chimes of Gwanchoksa Temple, Nonsan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한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청동풍탁(靑銅風鐸)의 제작 기법 연구

  • LEE, Soyeon (Scientific Heritage Conservation Division, National Science Museum) ;
  • CHUNG, Kwangyong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이소연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유산보존과) ;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0.12.31
  • Accepted : 2021.01.29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wind chime is a longstanding Jangeomgu (majestic article) found in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basic research on wind chimes is currently inadequate a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time of production, and there are few relics. Therefore, this research morphologically classifies the eight bronze wind chimes decorating the baldachin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Based on this,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duction period are scientifically demonstrated. The synthesis of the research results reveals th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 chim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diffe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on the baldachin. The four large-sized wind chimes on the lower-baldachin were manufactured by casting a Cu-Sn-Pb alloy, and the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early period of Goryeo. The two medium-sized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northern direction were manufactured through forging a Cu-Sn or Cu-Sn-Pb alloy, and they appear to have a similar structure to the cylindrical wind chimes appeari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Goryeo and the Joseon period. The two small-sized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southern direction were manufactured by casting a Cu-Sn-Pb alloy containing Zn, and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loy and the shape of the clapper, the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s and a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two wind chimes of the lowerbaldachin were manufactured by casting and slow cooling the alloy with an alloy ratio of Cu:Sn:Pb≒80:15:5.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northeast direction were manufactured by forging an alloy of Cu-Sn with a similar alloy ratio to that of forged high tin bronze.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prior research on domestic wind chimes confirm that two wind chimes of the lower-baldachin have a similar composition ratio to the wind chime excavated from Wolnamsaji in Gangjin, containing an amount of tin that corresponds with ancient records. Having a similar alloy ratio to forged high tin bronze, the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northeast direction are the only instances among all of the wind chimes that have been examined to date that were manufactured using this forg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llect baseline data to verify and classify the manufacturing period of wind chime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It is hoped that this data can be utilized for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processes of the wind chim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풍탁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불교 장엄구이다. 하지만 풍탁은 제작 시기를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유물의 수가 많지 않아 기초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사적 연구를 참고하여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보개에 장식되어 있는 청동풍탁 8점을 형태학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제작 시기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개의 위치에 따라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청동풍탁은 형태 및 제작 기법의 특징이 나타났다. 대형인 하부 보개 청동풍탁 4점은 Cu-Sn-Pb 삼원계 합금을 주조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서산 출토 동제풍탁과 형태가 매우 흡사하여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된다. 중형인 상부 보개 북측 청동풍탁 2점은 Cu-Sn 또는 Cu-Sn-Pb 합금을 단조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고려 후기~조선시대에 나타나는 원통형 풍탁과 형태가 유사하다. 소형인 상부 보개 남측 청동풍탁 2점은 미량의 아연(Zn)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Cu-Sn-Pb 삼원계 합금을 주조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합금 성분 및 치게의 형태 등을 통해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 분석을 통해 하부 보개 청동풍탁 2점은 Cu:Sn:Pb≒80:15:5의 합금비를 지닌 삼원계 합금을 주조 후 서냉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부 보개 동북측 청동풍탁은 방짜유기와 유사한 합금비인 Cu-Sn 이원계 합금을 소재로 단조 기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국내 풍탁의 선행 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 하부 보개 동측 청동풍탁 2점은 타명기에 적합한 주석 함유량을 지닌 고려시대에 제작된 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의 합금 조성비와 유사하게 확인된다. 방짜유기와 유사한 합금비를 지닌 상부 보개 동북측 청동풍탁은 현재까지 연구된 풍탁 중 유일하게 단조 기법으로 제작된 사례이다. 본 연구를 통해 풍탁의 제작 시기를 형태학적 특징으로 구분하는 데 있어 과학적인 근거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라, 2015,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의 풍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
  2.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10, 「밝은 빛, 맑은 소리 풍탁」.
  3. 권혁남.유혜선.안병찬, 2000, 「청주 사뇌사지 출토 청동유물의 금속학적 조사」, 「보존과학회지」 Vol.9 No.1, pp.1~10.
  4. 김소진.한우림.황진주.정연중.한민수, 2015, 「출토 지역과 시대에 따른 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류 특성」, 「보존과학연구」 Vol.36 No.1, 국립문화재연구소, pp.4~10.
  5. 논산시, 2020,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보존처리 보고서」, pp.105~106.
  6. 서미미, 2017, 「경상도지역 풍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0.
  7. 송응성 著, 최병규 註譯, 2009, 「천공개물」, 종합출판 범우(주), pp.446~447.
  8. 염영하, 1991, 「韓國의 鐘」, 서울대학교출판부, p.37.
  9. 이규경 著, 최주 註譯, 2008, 「오주서종박물고변」, 학연문화사, p.91.
  10. 이소연, 2021,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청동풍탁의 제작기술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84.
  11. 이은우.김소진.한우림.황진주.한민수, 2015, 「출토 청동유물 부식의 형태학적 고찰 및 부식생성물의 특성 연구」, 「문화재」 Vol.46 No.3, 국립문화재연구소, pp.4~15. https://doi.org/10.22755/KJCHS.2013.46.3.4
  12. 이재성.백지혜.전익환.박장식, 2010, 「회암사지 금탁의 주조방법과 가공기술 연구」, 「문화재」 Vol.43 No.3, pp.102~121. https://doi.org/10.22755/kjchs.2010.43.3.102
  13. 이재성.전익환, 2017, 「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 제작에 적용된 주조와 도금방법 연구」, 「고문화」 Vol.90, pp.25~49.
  14. 정영동.강형태.허일권.조남철, 2006, 「경주 왕경지구 금동풍탁(金銅風鐸)의 성분 조성과 납동위원소비」, 「보존과학회지」 Vol.19, pp.67~72.
  15. 조남철.강형태, 2008, 「포항 오어사 동종(보물1280호)의 성분 조성과 납동위원소비 분석」, 「한국상고사학보」 Vol.61, 한국상고사학회, pp.85~97.
  16. 홍종욱.이재진, 2010, 「흥국사 동종의 비파괴 조사 분석」, 「보존과학연구」 Vol.31,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1~140.
  17. Jeong Younjoong, Cheong Changsik, Shin Dongbok, Lee Kwangsik, Jo Huije, Lee Insung, & Mukesh Kumar,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8.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