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S-based review of Goguryeo's defense system during the Gungnaeseong Period with the focus o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Amnok River and the mid-stream region of the Liohe River

GIS를 활용한 고구려 국내성 시기의 관방체계 검토 - 압록강 중상류~요하 중류를 중심으로 -

  • Hong, Balgeum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ang, Dongseok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홍밝음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 강동석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20.12.28
  • Accepted : 2021.01.29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The Goguryeo kingdom established a unique defense system centered on a series of mountain fortresses. However, modern-day studies on its defense system have tended to focus on how they were positioned and generally consist of little more than individual surveys or introductions to the relevant materials, leaving much to be desired.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e scope of studies about fortresses dating back to the Goguryeo period,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the available materials. As such, this study reviews the defense system of Goguryeo during the Gungnaeseong Period (i.e., the period when Gungnaeseong was the capital of Goguryeo) using the GIS system, with the focus on fortresses that are thought to have been built in the area extending from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Amnok River to the mid-stream region of the Liohe River,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roads built during the Gungnaeseong Period were as stated in the foregoing studies to some extent. Researchers believed that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dynasty, a major road ran along the Suzihe, Fuer and Xinkai rivers before finally reaching Jian. The study found that fortified walls and fortress strongholds were built along this road. Second, there were seven fortresses between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Amnokgang River and the midstream region of the Liaohe River. A primary defense line was closely established between the strongholds and the nearby walls, with secondary and tertiary defense lines established more loosely and encompassing a much wider area. Third, regarding the defense system along the major roads, the Choejinbosanseong, Goisanseong and Cheolbaesanseong fortresses served as strongholds along the 60-kilometer-long primary defense line, with 80-kilometer-long secondary and tertiary defense lines set up behind it. The final 120-kilometer-long defense line of the capital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Onyeosanseong Fortress, while a stumbling block was set up close to the capital as a defense system, rather than building a fortified wall. To summarize, a primary defense system was established centered on a series of fortresses, with each stronghold maintaining a closely-knit defense system in connection with other nearby strongholds to repel invaders.

고구려는 산성을 중심으로 하는 독특한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그동안의 고구려 관방체계 연구는 이러한 성곽의 배치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다만 대부분의 연구자가 언급한 바와 같이 고구려 관방체계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개별적인 조사 보고나 자료 소개 정도에 그치고 있어 그 중요도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러한 자료 접근의 한계를 감안하여 고구려 성곽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차원에서 기존 연구 성과를 기초로 국내성 시기에 압록강 중상류~요하 중류에서 운영되었다고 판단되는 고구려 성곽를 정리해보고 GIS를 이용하여 고구려 국내성 시기의 관방체계를 재구성·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구려 국내성 시기의 주요 교통로는 기존 연구 결과와 어느 정도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중기의 주요 교통로는 소자하-부이강-신개하-집안 일대로 여겨지며, 이는 이곳을 중심으로 거점성과 함께 다수의 성곽이 축조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둘째, 압록강 중상류~요하 중류에서 고구려의 거점성은 총 7개소가 확인되며, 거점성과 주변 성곽의 연계는 1차 방어선이 좀 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2차와 3차 방어선으로 갈수록 좀 더 느슨하면서 넓은 범위를 방어한다. 셋째, 주요 교통로의 방어체계를 살펴보면 1차 방어선의 거점성은 최진보산성, 고이산성, 철배산성으로, 대체로 반경 20km-20km-20km 내외의 방어선을 구축하며 2차와 3차 방어선은 반경 40km-40km로 방어선이 구축된다. 이후 마지막 방어성 도성은 3차 방어 거점성인 오녀산성과 반경 60km-60km의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는데, 도성 부근에 규모가 있는 성곽을 축조하지 않고 관애로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거점성 간의 연계 관계를 살펴보면 거점성을 중심으로 관방체계가 1차적으로 형성되고 이들은 다시 가장 근접한 거점성과 연계된 방어체계를 구성하면서 외부에서 침입하는 적군을 방어한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高句麗硏究會編, 1999, 高句麗山城硏究.
  2. 孔錫龜, 1998, 高句麗 城郭의 類型에 대한 硏究, 韓國上古史學報 第29號.
  3. 공석구, 2007, 고구려와 모용 '연'의 전쟁과 그 의미, 동북아역사논총 15호.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중국 정기간행물 수록 고구려 고고학 논문 해제집-성곽 및 고고일반.
  5. 권순홍, 2019, 고구려 도성 내 평지 성곽의 출현과 그 기능, 歷史學報 第244輯.
  6. 기경량, 2016, 4세기 고구려 '南道北道'의 실체와 그 성격, 한국문화 73.
  7. 기경량, 2018, 환도성 국내성의 성격과 집안 지역 왕도 공간의 구성, 사학연구 제129호.
  8. 기경량, 2019, 고구려 왕도.도성의 공간과 경관, 고대 도성과 월성의 공간구조와 경관, 제51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대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한국상고사학회.
  9. 김현숙, 2017,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 遷都, 先史와 古代 第54號.
  10. 朴淳發, 2012,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사학연구 제129호.
  11. 백종오, 2017, 中國 內 高句麗 山城의 發掘 現況과 主要 遺構.遺物의 檢討, 先史와古代 第53號.
  12. 여호규, 1995,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南道와 北道를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91.
  13. 여호규, 1998a, 高句麗 城 I - 鴨綠江 中上流域, 國防軍事硏究所.
  14. 여호규, 1998b, 國內城期 高句麗의 軍事防禦體系, 韓國軍事史硏究 1, 國防軍事硏究所.
  15. 여호규, 1999, 高句麗 城 II - 遼河流域 篇, 國防軍事硏究所.
  16. 여호규, 2007, 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동북아역사논총 15호.
  17. 여호규, 2008, 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 성곽과 東海路, 역사문화연구 제29집.
  18. 여호규, 2012,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한국고대사연구 66.
  19. 여호규, 2019, 高句麗 國內城期의 도성 경관과 토지 이용, 高句麗渤海硏究 第65輯.
  20. 양시은, 2013a, 高句麗 城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文學博士學位論文.
  21. 양시은, 2013b, 桓仁 및 集安 都邑期 高句麗 城과 防禦體系 硏究, 嶺南學 제24호.
  22. 양시은, 2014, 고구려 성의 방어체계 변천양상 연구, 韓國上古史學報 第84號.
  23. 양시은, 2016, 高句麗城硏究, 진인진.
  24. 양시은, 2020,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 한국고고학보 제115집.
  25. 오강원, 2012, 高句麗 初期 積石墓의 出現과 形成 過程, 高句麗渤海學會 第43輯.
  26. 윤성호, 2019, 남한지역 고구려 관방시설의 연구 성과와 과제, 軍事 第110號.
  27. 이경미, 2012, 압록강 중상류 고구려 성곽의 분포 양상과 기능의 변화, 한국고대사연구 66.
  28. 이경미, 2017, 鴨綠江-遼河 유역 고구려 성곽과 지방통치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博士學位論文.
  29. 임기환, 1998, 高句麗 前期 山城 硏究 -高句麗 山城의 기초적 검토(1)-, 國史館論叢 第82輯.
  30. 임기환, 2012, 고구려의 군사제도와 방어체계, 한국군사사 1 - 고대 I,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31. 임기환, 2015, 고구려 國內都城의 형성과 공간 구성, 韓國史學報 제59호.
  32. 魏存成 1999, 길림성 내 고구려 산성의 현황과 특징, 高句麗山城硏究, 高句麗硏究會編, 학연문화사.
  33. 田中俊明 1999, 성곽시설로 본 고구려의 방어체계, 高句麗山城硏究, 高句麗硏究會編, 학연문화사.
  34. 정원철, 2011, 고구려 남도.북도와 고구려 산성의 축성, 동국사학 50집.
  35. 정원철, 2017, 고구려 산성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36. 조법종, 2011, 高句麗의 郵驛制와 交通路, 한국고대사연구 63.
  37. 홍밝음.강동석, 2020, GIS를 이용한 고구려 국내성 시기 관방체계 검토, 북방의 재인식 : 우리 고대문화 연구에서의 함의, 국립문화재연구소.
  38. 国家文物局主编, 1993, 中国文物地图集-吉林分册,中国地图出版社.
  39. 国家文物局主编, 2009, 中国文物地图集-辽宁分册,西安地图出版社.
  40. 辽宁省文物考古研究所.沈阳市文物考古研究所, 2012, 石台子山城, 文化出版社.
  41. 周向永.趙俊偉.李亞氷, 1996, 辽宁开原 境内的高句丽城址, 北方文物 1期.
  42. 李龙彬, 2008, 铁岭境内高句丽山城的几个问题, 东北史地 4期.
  43. 郑元喆, 2010, 高句丽山城研究, 吉林大学 博士学位论文.
  44. 赵晓刚, 2013, 沈阳营盘山山城和董楼子山城考古调查, 东北史地 2期.
  45. 陈大为, 1995, 辽宁高句丽山城再探, 北方文物 3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