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Cheomcha-chogak of the Neungwon-Jeongjagak

능원(陵園) 정자각(丁字閣)의 첨차초각(檐遮草刻) 변화에 대하여

  • Received : 2020.12.29
  • Accepted : 2021.01.31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Chogak has been regarded as originating from the paintings decorating building elements. Various curved shape drawings that were first seen in the paintings of Goguryeo tomb murals evolved into the vine patterned Dancheong of Geuklakjeon in Bongjeongsa. Cheomcha of Geuklakjeon was chiseled with Yeonhwadusik relievo at the bottom on top of Dancheong, and this was the beginning of Cheomcha-Chogak. Also, Cheomcha, which was carved with a preliminary vine patterned Chogak in Daeungjeon in Bongjeongsa, opened the era of engraving Chogak directly on the surface of structural elements. Since then, vine patterned Chogak was a significant decoration technique for the Cheomcha of traditional wooden construction for a long time. Because Jeongjagak is a structure that was continuously built between the en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ransition of Cheomcha-Chogak over time can be seen through Jeongjagak architecture. The early Cheomcha-Chogak presents stems that climb up (Upbound-type) towards the headpiece on a column, while stems of Chogak later reversed direction to descend (Downbound-type) from the headpiece.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ition process and reasons for the change, with a focus on the findings above, and identified a new type of Chogak that is unrelated to the direction type and was adopt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Upbound-type to Downbound-type. The new type appeared when the Jeongjagaks for the Royal Tomb of Kyeongjo and those of the Injo were built, and it matches with the transitional period wherein lotus vanishes from Hwaban-Chogak. The study also inferred that the direction change of Cheomcha-Chogak stems was caused by the separation of vine patterned Chogak, carved with a two-stepped inner Ikgon, into both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headpiece, and this led to the changes that manifested as the inside of Choikgong being the Downbound-type Chogak and the variegated vine patterned Chogak of Choikgong affecting the direction of Cheomcha-Chogak. This is the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the Hwaban-Chogak of the Neungwon-Jeongjagak," a paper published in 2018, and is limited in n that Cheomcha, the focus of the research, is just one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of Jeongjagak. The entirety ofChogak cannot be understood only by observing Cheomcha.

첨차초각은 부재의 장식을 위한 그림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사용된 여러 가지 문양의 그림은 봉정사 극락전에서 보이는 덩굴문양 단청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이며 봉정사 극락전의 첨차에서는 단청뿐만 아니라 하단에 연화두식을 새기면서 비로소 첨차초각이 시작되었다. 또한 봉정사 대웅전에서는 초기적인 덩굴초각을 가진 첨차가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부재 표면에 직접 초각을 새기는 것이었다. 이후 덩굴초각은 오랫동안 전통 목조건축에서 중요한 첨차의 장식 기법이 되었다. 정자각은 임란 이후부터 조선 말까지 지속해서 조영된 건축물로서 대부분 덩굴초각을 새긴 첨차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첨차초각은 처음에는 초각줄기가 주두를 기점으로 올라가는 모양(상향형)으로 시작되다가 종래에는 재주두를 기점으로 그 줄기가 아래로 내려가는 모양(하향형)으로 변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변화과정과 그 원인을 살펴보았는데, 상향형이 하향형으로 변화는 과정 중에는 방향성과 연관이 없는 새로운 초각의 연결 방식이 사용되었음을 알게 되었고 이 기간은 경종의릉과 인조장릉의 정자각이 지어지던 시기로 화반초각에서도 연꽃이 사라지기 직전의 과도기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또한 첨차초각의 방향성이 변한 원인으로는 이익공의 내부에 두 단에 걸쳐 새겨지는 덩굴초각이 주두를 기점으로 상하 양방향으로의 분리가 일어났는데 이는 초익공 내부에 하향형 초각을 새기는 계기가 되었고 변화된 초익공의 덩굴초각은 나아가 첨차초각의 방향에까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론하게 되었다. 이 글은 2018년 투고한 「능원 정자각의 화반초각에 대하여」의 후속된 글로서 정자각에 있는 여러 부재 중 하나인 첨차라는 부재를 중심으로 한 것이기에 나머지 초각들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우방, 2004, 한국미술의 탄생, 솔출판사.
  2. 강우방, 2012, 한국 사원건축의 공포의 구성원리와 상징구조,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 강화군, 2004, 강화 정수사 법당 실측.수리 보고서, 문화재청.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동묘의 건축.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조선왕실 원묘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7. 김도경, 1992, 조선시대 영조의궤의 공포 용어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동욱, 1993, 한국건축공장사연구, 기문당.
  9. 김동욱, 2008, 조선조 산릉 정자각 연원 소고,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년 춘계 학술발표대회.
  10. 김동현, 1979, 우리나라 목조건축에 보이는 소위 쌍S자문 조각에 대하여, 미술사학연구, 한국미술사학회.
  11. 김왕직, 2008, 조선왕릉 8칸 정자각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 김재웅, 2008, 조선시대 영건의궤의 목조건축 용어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두다운, 2010, 창경궁 명정전 건축구조 및 의장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문영식, 2010, 조선후기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장인의 조영활동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2,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 보고서.
  16. 문화재청, 2002,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 보고서.
  1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2010a, 봉정사 화엄강당.고금당 정밀실측 보고서.
  18.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2010b, 홍성 고산사 대웅전 실측조사 보고서.
  1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2013, 종묘 영녕전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20.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2019,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정밀실측조사 보고서.
  21. 안동시, 2004, 봉정사 대웅전 해체수리공사 보고서, 문화재청.
  22. 이상명, 2016, 산릉의궤 정자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시공기술,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우종, 2006, 고려시대 공포의 형성과 변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장경희, 2013, 의궤 속 조선의 장인 ①, ②, 솔과학.
  25. 장기인, 1991, 한국건축사전, 보성문화사.
  26. 주남철, 2000,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7. 최윤화, 2001, 조선시대 능원 정자각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