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esign Ideas and Planning Method of the Gameunsa Temple Architecture in Silla

신라감은사건축의 계획이념과 설계기술 고찰

  • Lee, Jeongmin (Dept. of Architecture, Facul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Waseda University)
  • 이정민 (와세다대학 이공학술원 건축학과)
  • Received : 2020.12.28
  • Accepted : 2021.02.04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Gameunsa Temple is a Buddhist temple from the mid-Silla period. Construction began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and was completed during the second year of King Sinmun's reign (682).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excavations at the Gameunsa Temple site, exploring the finding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in the field of histor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lan of Gameunsa Temple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environment of the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First, it is confirmed that all of the buildings in the central block of Gameunsa Temple, such as the pagoda and corridor, the central gate, and the auditorium, fit within 216 cheoks by 216 cheoks (Goguryeo unit of measurement, estimated dimensions 353.30 mm), in terms of the base structure. This fact is highly significant considering the intent of the King in the mid-Silla period to advocate Confucian political ideals at the Donghaegu sites (Daewangam, Igyeondae Pavilion, and Gameunsa Temple), as confi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pasikjeok legend' and the Confucianism of the etiquette and the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me of the 'Igyeondae Pavilion' and the 'I 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egeuk stones excavated from the Gameunsa Temple site' and the 'I Ching.' Additionally, it may be presumed that the number in the "Qian 216" on the Xici shang of 'I Ching' was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entral block in the early stages of the design of Gameunsa Temple. The layout of the halls and pagodas of Gameunsa Temple was planned to be within a 216-cheok-by-216-cheok area, from the edge to the center, i.e., on the central axis of the temple, in the following order: the central gate and auditorium, the north-south position of Geumdang Hall, the south corridor, the east-west buildings of the auditorium and the winged corridor, the east-west corridor, and the central position of the east-west stone pagoda. (2) Second, the coexist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architecture of Gameunsa Templ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olden Light Sutra, originating from the aspirations of King Munmu to obtain the immeasurable merits (陰陽調和時不越序 日月星宿不失常度 風雨隨時無諸災横) and the light of the Buddha, which is metaphorically represented by the sun and the moon illuminating the whole world of Silla, a new nation with a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for a long time by "circumambulating the Buddha (旋繞)". It is also presumed that Gyeongheung, who was appointed by King Munmu to be the Guksa in his will and appointed as the Gukro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Sinmun, was deeply involved in the conception and realization of the syncretism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감은사는 문무왕대에 시창하여 신문왕 2년(682)에 완공된 신라중대의 불교사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감은사지 발굴조사 성과를 기초로 하고, 역사학 분야 등에서의 문헌연구 성과를 참고로 하여, 신라감은사건축의 조영계획 양상 및 특질, 그리고 그것과 당시의 정치·사회적, 종교적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구명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은사 중심곽 내 당탑 및 회랑, 중문과 강당 등 모든 건축물은, 기단부를 기준하여, 방(方)216척(尺)(고구려척, 추정단 위치수 353.30mm)의 윤곽에 남거나 부족함 없이 정확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만파식적설화'와 유교예악사상과의 관계, '이견대'의 명칭과 『주역』과의 관계, '감은사지출토 태극무늬장대석'과 『주역』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확인되는, 동해구 유적(대왕암·이견대·감은사)에 서린 신라중대왕실의 '유교정치이념의 표방' 의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되며, 감은사가람의 설계초기단계에 있어서, 잠재하는 규모계획의 기준으로부터 이차적 조정으로서, 『주역』 계사상의 '건지책 216'으로부터 수를 취해 가람중심곽규모의 결정기준으로 삼은 결과로 추정된다. 감은사 당탑 등의 배치계획은, 방(方)216척(尺)의 윤곽 내,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즉 가람중축선상 중문·강당의 배치 및 금당 남북위치의 결정, (중문·강당·금당 측면에 각각) 남회랑·강당동서편건물·익랑 배치, 동서회랑의 배치, 동서 석탑 중심위치 결정의 순으로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찰된다. (2) 감은사건축에 있어서의 유불공존적 양상은, 『금광명경(金光明經)』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왕의 화신인 용이 용혈(龍穴)을 통해 금당기단 내에 들어 선요(旋繞) 즉, 공경·숭봉(崇奉)을 행함으로써 "음양조화시부월서(陰陽調和時不越序) 일월성숙부실상도(日月星宿不失常度) 풍우수시무제재횡(風雨隨時無諸災横)" 등의 무량공덕이 얻어지기를, 그리고 일월에 비유되는 부처의 광명이, 새로이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아 운영해 나갈 국가, 신라의 사방 천하(천(天)=건(乾), 건지책 216척(尺) 규모의 가람중심곽)에 길이 두루 비춰지기를 염원한 문무왕의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찰된다. 그리고 그 구상 및 실현에 있어서는 유불습합적 사상 경향을 가졌던, 그리고 문무왕이 유언으로서 국사로 삼기를 당부했고 신문왕 즉위 후 국로로 임명되었던, 경흥(憬興)이 깊이 관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Keywords

References

  1. 高麗史.
  2. 金光明最勝王經玄樞.
  3. 三國史記.
  4. 三國遺事.
  5. 合部金光明經.
  6. 계림문화재연구원, 2011, 경주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해체수리보고서, 경주시.
  7. 고유섭, 1993, 韓國塔婆의 硏究, 동방문화사, pp.110-112.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1997, 感恩寺: 發掘調査報告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p.150-151, 198-202, 216-217, 228-233, 110, 112, 114, 119, 222, 236, 254, 317, 345.
  9.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pp.36-8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석탑보수정비사업단 편, 2005, 감은사지서삼층석탑,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11.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석탑보수정비사업단 편, 2010, 감은사지서삼층석탑: 수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12. 김도경, 2010,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평면과 용척 분석, 황룡사 복원 기반 연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p.364.
  13. 김상태, 2007, 감은사의 사리장엄에 의한 2탑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6(2), 한국건축역사학회, pp.137-152.
  14. 김상현, 1981, 萬波息笛說話의 形成과 意義, 한국사연구 34, 한국사연구회, pp.16-27.
  15. 김수태, 2009, 백제 의자왕대의 불교: 경흥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4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pp.122-125.
  16. 김영옥, 2001, 感恩寺 建築에 관한 硏究, 경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7-28.
  17. 김영옥, 2007, 감은사 금당의 용혈에 관한 연구, 경주문화연구 9,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pp.154-158.
  18. 김영필, 2009, 韓國傳統建築의 尺度 硏究,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99-101.
  19. 김일권, 2000a, 唐宋代의 明堂儀禮 변천과 그 天文宇宙論적 운용, 종교와 문화 6,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pp.217-220.
  20. 김일권, 2000b, 元曉와 憬興의 金光明經 註疏에 나타난 신라의 天文 星宿 世界觀, 신라문화 17.18합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68-175.
  21. 김숙경.이은비, 2019a, 유구검토를 통한 신라 불교사원 회랑 건축계획 기초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p.234.
  22. 김숙경.이은비, 2019b, 유구검토를 통한 6-8세기 신라 불교사원 회랑 건축계획 연구, 건축역사연구 28(5), 한국건축역사학회, p.21.
  23. 김재원.윤무병, 1961, 感恩寺址發掘調査報告書, 을유문화사, pp.32-33, 67-81, 94-95, 89, 92, 도면 14-22, 도판 13, 40-55.
  24. 나희라, 2005,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p.170.
  25. 남시진, 2009, 感恩寺 建築特性에 관한 硏究, 경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79.
  26. 대한건축학회 편, 2003, 한국건축사, 기문당, p.233.
  27. 동양문고 우메하라고고자료 화상데이터베이스(東洋文庫 梅原考古資料 画像データベース), 청구기호 116-1163-4107-4110.
  28. 박동민, 2007, 7세기 이전 古代 伽藍 營造尺 추정,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04-108, 131-132.
  29. 박흥수, 1999, 韓.中度量衡制度史, 성균관대학교출판부, pp.537-540.
  30. 백인수.김태식, 2011, 감은사지 태극 장대석의 수리천문학적 의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한국콘텐츠학회, pp.460-466. https://doi.org/10.5392/JKCA.2011.11.3.460
  31. 서근식, 2016, 역학사상 입장에서 본 '이견대(利見臺)'의 의미 연구, 한국철학논집 51, 한국철학사연구회, pp.99-123.
  32. 양종현, 2007, 感恩寺와 日本 本藥師寺의 意匠計劃을 통한 比較 考察, 불교미술사학 5, 불교미술사학회, p.41.
  33. 왕필 주.한강백 주.공영달 소, 성백효.신상후 역, 2013, (譯註) 周易正義1: 十三經注疏, 전통문화연구회, pp.46-59.
  34. 이영호, 1993, 新羅 成典寺院의 成立,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1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281-284, 286.
  35. 이정민.미조구치 아키노리, 2019, 新羅四天王寺建築의 造營尺度 再論, 건축역사연구 28(5), 한국건축역사학회, pp.48-49.
  36. 장충식, 1987, 新羅石塔硏究, 일지사, pp.113, 119, 145.
  37. 장헌덕, 1994, 감은사지 동탑의 평면과 입면비에 관한 고찰, 문화재 27, 국립문화재연구소, pp.242-243, 247, 249.
  38. 한정호, 2007, 감은사지 삼층석탑 창건 과정과 意匠計劃에 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53, 한국미술사학회, pp.18-19, 25.
  39. 한정호, 2010, 신라 쌍탑가람의 출현과 신앙적 배경, 석당논총 46,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pp.179-212.
  40. 한태식, 1991, 憬興의 生涯에 관한 再考察, 불교학보28,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pp.194-200.
  41. 황수영, 1961, 感恩寺, 金載元.尹武炳共著 國立博物舘 特別調査報告 第2册 서울乙酉文化社刊 1961. 32×26 本文 P.97. 圖版 85. 英文要約 P.20, 역사학보 15, 역사학회, p.144.
  42. 황수영.안장헌, 1994, 신라의 동해구, 열화당, pp.20-34.
  43. 황수영, 1994, 新羅 東海口의 文化遺蹟, 문화사학 2, 한국문화사학회, pp.39-51.
  44. 藤島亥治郎, 1930, 朝鮮建築史論 其四, 建築雑誌 44(535), 日本建築学会, pp.1373-1376.
  45. 班固 撰.顔師古 注, 1962, 漢書, 中華書局, p.957, 964, 981, 985, 986, 1000, 1002.
  46. 王弼 注.孔穎達 疏, 十三經注疏整理委員會 整理, 2000, 周易正義, 北京大學出版社, pp.3, 7, 331.
  47. 张一兵, 2005, 明堂制度研究, 中华书局, pp.429-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