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가족갈등과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 가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Experience on Family Conflict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 A Focus on Low-Income Households

  • 투고 : 2021.02.22
  • 심사 : 2021.05.07
  • 발행 : 2021.05.31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 가구의 가족갈등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변화와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이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회경제적인 위기 상황에서 저소득 가구 대한 지원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복지패널의 10차에서 14차에 걸친 5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총 803명의 저소득가구의 가구주가 응답한 가족갈등과 가족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았고, 사회경제적 박탈경험이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저소득가구의 가족갈등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미약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가족관계만족도의 변화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경제적 박탈을 경험한 가족의 경우, 미경험 가구보다 가족갈등의 초기치가 높았고 변화율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가족관계만족도는 미경험 가구보다 유경험 가구의 초기치가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저소득 가구가 사회경제적 박탈을 경험하게 되면 심리적 압박을 느끼게 되고 가족의 불안이 높아지면서 가족갈등이 높고 가족관계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과 같은 사회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저소득 가구에 대하여 경제적 지원과 사회보장적 지원을 확대하고 이와 더불어 가족이 갈등을 스스로 조절하고 원활하게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asic data to set the support direction for low-income households in a socioeconomic crisis situa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experience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family conflict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low-income households. Using five-year data from the 10th to 14th session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family conflict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experience from the reponses of 803 low-income households. We found that the family conflict of low-income households decreased to a weak level with the change of time, and the rate of change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not meaningful. In the case of families who experienced early socioeconomic deprivation, their initial value of family conflict was higher than that of inexperienced households, and the rate of chang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low-income households experience socioeconomic deprivation, they feel psychological pressure and an increase in family anxiety, resulting in high family conflict and low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we recommend extending economic and social assistance to low-income households in the current socioeconomic crisis. The state is also encouraged to help families manage conflicts on their own and resolve problem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참고문헌

  1. 강동훈.김윤태(2018).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6가지 박탈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8(2), 1-20.
  2. 고민좌.김혜숙(2014). 저소득 기혼남녀의 인성특성과 부부갈등 정도. 한국가족복지학, 19(3), 489-508. https://doi.org/10.13049/kfwa.2014.19.3.489
  3. 김계수(2009). (AMOS/LISREL) 잠재성장모델링과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서울 : 한나래.
  4. 김미곤.여유진.이태진.양시현.최현수(2005). 2004년 최저생계비 계측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성욱.장동열(2018).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빈곤선과 수급자 선정기준 간 재산반영 여부에 따른 제도효과 모의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3), 267-291. https://doi.org/10.22944/KSWA.2018.20.3.010
  6. 김선희(2014).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5(18), 317-338.
  7. 김수영.김민주.서영숙(2020). 무변화 모형의 실제적 정의. 교육평가연구, 33(3), 681-705.
  8. 김영란(2020). 코로나19 시기 가족생활과 가족 정책 의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9. 김유경.이진숙.이재림.김가희(2013).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진이(2009). 경제적 압박감이 빈곤아동의 학교생활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가족 위험변인과 부정적 부모역할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8, 7-43.
  11. 도미향.윤지영.이명숙(2010).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가족복지정책. 한국가족복지학, 15(1), 63-81.
  12. 류종훈(2004). 쉽게 쓴 가족치료와 가정상담. 동인.
  13. 맹성준.김은경.한창근(2009). 자산이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2), 179-206. https://doi.org/10.16999/KASWS.2019.50.2.179
  14. 박정민.박호준.오욱찬(2017). 가계부채가 부부폭력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 48(4), 33-57.
  15. 박정윤 (2012).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4), 35-62.
  16. 박종옥(2019).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한 집단의 가족생활만족도와 영향요인. Financial Planning Review, 12(1), 57-86. https://doi.org/10.36029/fpr.2019.02.12.1.57
  17.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정보원(2020). 2020 나에게 힘이되는 복지서비스 통합본.
  18. 송혜림.성미애.박정윤.진미정(2009). 경제적 위기 상황과 가족정책의 대응방안. 보건복지포럼, 151(0), 53-6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서울신문(2020.7.24.). 외환위기 못잖은 코로나 경제패닉.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724001056 에서 2020. 12 인출
  20. 엄순옥.문재우(2017). 중.노년층의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가족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5(0), 53-76.
  21. 여유진.오미애.이병재.최준영.김근혜.김선.한겨레.신재동.박나영.송지은.정다운.이봉주.강상경.박정민.안상훈.정원오.백승호.김화선.신유미.김정욱(2019). 2019년 한국복지패널기초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여진주(2008). 아동학대 발생요인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경상북도 동부권 아동을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28(1), 3-26. https://doi.org/10.15709/HSWR.2008.28.1.3
  23. 오미옥.이진향(2019). 저소득 가구의 가족갈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1), 993-1003.
  24. 이기숙.김순환.김민정(2010). 유아의 성,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어머니 양육유형과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형향. 유아교육연구, 4(30), 187-212.
  25. 이상은(2008). 한국에서의 빈곤의 세대 간 이전. 한국사회복지학, 60(2), 53-76. https://doi.org/10.20970/KASW.2008.60.2.003
  26. 이승기(2008). 객관적 빈곤가구와 주관적 빈곤가구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24(3), 99-116.
  27. 이왕원.최율.김문조(2016). 한국 저소득층 가구의 빈곤화 과정에 관한 연구-자기회귀교차지연(ARCL)모형을 통한 다중박탈양상의 종단적 분석. 가족과 문화, 28(1), 162-206.
  28. 임인숙(2000). 경제위기가 남편의 권위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34(WIN), 1105-1127.
  29. 정한울.정원칠(2009). 여론을 통해 본 경제위기 시대의 가족. EAI 오피니언 리뷰, 1-28.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
  30. 조준배(2009). 경제적 스트레스요인이 부부갈등 대처방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아존중감과 자기생활만족도 그리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0(27), 153-174.
  31. 최인희.홍승아.김주현.정다은(2014).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0(2014), 1-334.
  32. 탁장한.박정민(2017). 과중채무자의 사회경제적 박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8(2), 173-201. https://doi.org/10.16999/KASWS.2017.48.2.173
  33. 한세영.한아름(2018). 경제적 박탈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우울/불안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4), 55-65.
  34. 현경자(2008). 저소득층 부부들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 갈등 및 결혼결과 : 탄력적 대응을 돕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3), 49-79. https://doi.org/10.21193/KJSPP.2008.22.3.004
  35. 현지영.김경근(201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가족구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25), 125-154.
  36. KBS news (2020.11.19.). 코로나가 벌려놓은 소득격차 저소득층만 소득 감소.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052409&ref=A 2021. 01 인출.
  37. Amato, P. R., Booth, A., Johnson, D. R., Johnson, D. R. & Rogers, S. J.(2007). Alone together: How marriage in America is changing. Harvard University Press.
  38. Brown, M. & Madge, N.(1982). Despite the Welfare State: a report on the SSRC/DHSS programme of research into transmitted deprivation.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s.
  39.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 Sage.
  40. Conger, R. D., Ge, X.-J. & Lorenz, F. O. (1994). Economic stress and marital relations. In R. D. Conger, G. H. Elder, Jr., F. O. Lorenz, R. L. Simons, & L. B. Whitbeck,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 change. Families in troubled times: Adapting to change in rural America, 187-203. Aldine de Gruyter.
  41. Conger, Xiaojia Ge, Glen H. Elder, Jr., Frederick O. Lorenz & Ronald L. Simons(1994). Economic Stress, Coercive Family Process, and Developmental Problems of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5(2), 541-561.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4.tb00768.x
  42. Conger, R. D., Conger, K. J. & Martin, M. J.(2010).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individual develop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3), 685-704.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0.00725.x
  43. Dew, J. & Dakin, J.(2011). Financial disagreements and marital conflict tactics. Journal of Financial Therapy, 2(1).
  44. Jetse Sprey(1969). The family as a system in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1(4), 699-706. https://doi.org/10.2307/349311
  45. Papp, L. M., Cummings, E. M. & Goeke-Morey, M. C.(2009). For richer, for poorer: Money as a topic of marital conflict in the home. Family relations, 58(1), 91-103.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8.00537.x
  46. Ringen, S.(1988). Direct and indirect measures of poverty. Journal of social policy, 17(3), 351-365. https://doi.org/10.1017/S0047279400016858
  47. Salmond, C., Crampton, P., King, P. & Waldegrave, C. (2006). NZiDep: a New Zealand index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for individuals. Social science & medicine, 62(6), 1474-1485.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5.08.008
  48. Townsend, P.(1979).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a 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Vosler, N. R.(1996). New approaches to family practice (Vol. 31). Sage.
  50. Wadsworth, M. E. & Compas, B. E. (2002). Coping with family conflict and economic strain: The adolescent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2(2), 243-274. https://doi.org/10.1111/1532-7795.0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