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과 후속출산계획 간의 관계: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 및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Female Manager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 강하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Kang, Hara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Suwon University)
  • 투고 : 2021.02.05
  • 심사 : 2021.05.11
  • 발행 : 2021.05.31

초록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의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는 여성 관리자 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은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이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더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married female managers' desire for an additional chil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The analysis included 480 married female managers from the 7th survey of the 2018 Korean Women Manager Panel. Family-friendly policies were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desire for an additional child via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ot only implementing family-friendly policies, but also creating a culture that supports them. Based on the results, approaches to interventions in the workplace to reverse the current trend of low fertility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유선.김찬우(2018).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소득과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10, 59-84.
  2. 고광만.김소아(2014). 사회적 지원, 일-가족 양립 정책 및 부부특성이 후속출산의도 및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48-348.
  3. 고선강(2016).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연령 집단별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151-171.
  4. 고선강(2019). 가족친화제도와 조직문화가 여성관리자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7(3), 353-367. https://doi.org/10.6115/fer.2019.026
  5. 공정원.엄명용(2016). 근로 시장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 계획, 임신, 출산, 육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접, 간접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1, 149-186.
  6. 김난주.김태홍.이서현, 전병유.박미연(2017). 여성관리자 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김미혜.김정선.김한나(2016). 암 치료를 받은 간호사의 직장복귀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6), 215-225.
  8. 김승권.김민자(2003).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 개발 및 범정 부추진체계 수립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일옥.왕희정.정구철.최소영(2011). 출산장려 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4(3), 139-155.
  10. 김은경(2014). 부부관계특성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199-217.
  11. 김정석(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12. 김주희.고선강(2015).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 간의 자원 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27-49.
  13.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 251-280.
  14. 김진욱.강상준(2018). 가족친화제도와 분위기가 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경로분석-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매개효과로. 사회보장연구, 34(1), 25-54.
  15. 김진욱.권진(2015).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 22(3), 265-302.
  16. 김현근.안성익.이종완(2018). 역할과부하와 일-가정균형만족의 관계에서 가정 친화적 조직지원인식과 가정 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5(4), 77-111.
  17. 김화연.오현규.박성민(2015).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 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2), 483-513.
  18. 김효선.차운아(2009).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4), 515-540. https://doi.org/10.24230/KSIOP.22.4.200911.515
  19. 마미정(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 75-116.
  20. 문선희(2013).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1), 119-141.
  21. 민세진(2013). 계획 자녀수의 분석. 여성경제연구, 10(1), 1-17.
  22. 박문기.정진철(2018). 가족친화 제도와 조직문화의 지각이 종업원의 역할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후원인식의 매개 효과. 유통경영학회지, 21(6), 223-233. https://doi.org/10.17961/JDMR.21.6.201812.223
  23.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9-77.
  24. 박찬화(2011). 10 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3-175.
  25. 배광일.김경신(2011).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23-149.
  26. 배정연.홍석자(2010). 기혼직장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7, 131-150.
  27. 서미정(2011).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5(1), 127-148.
  28. 선민정(2020). 영유아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과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여성학연구, 30(1), 77-111.
  29. 송민영(2018). 일가정양립정책, 직무만족도가 부부관계를 매개하여 취업모의 후속출산의도와 자녀가치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3), 5-32.
  30. 송유미.이선자(2016). Q 방법을 활용한 취업모의 둘째 자녀 출산기피 요인의 유형화: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714-72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714
  31. 엄혜경.성상현(2018). 가족지원에 대한 상사 및 조직의 인식과 가족친화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여성연구, 96, 147-177. https://doi.org/10.33949/TWS.2018.96.1.005
  32. 양정선(2015). 취업주부의 일, 가정 양립 및 출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0(4), 613-630.
  33. 연합뉴스(2021.3.1). "몰래 임신한 사기꾼" 출산 앞둔 직원 쫓아낸 병원장.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1013000004
  34. 오현규. 박성민(2014).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공공 및 민간 조직 내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6(4), 901-929.
  35. 우주연.곽원준(2018). 일-가정균형만족이 육아휴직제도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친화적 조직지원인식의 매개 효과와 가정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문경영인연구, 21(3), 153-168.
  36. 이보라(2020).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16), 167-188.
  37. 이병훈.김종성(2009). 가족친화경영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19(2), 153-175.
  38. 이삼식.박종서.이소영.오미애.최효진.송민영(2015).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이세인.이숙현.권영인(2007). 가족의 지원 및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9-57.
  40. 이유덕(2011). 가족친화경영이 조직성과와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8(2), 71-84.
  41. 이연희(2005).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한 정책이 직장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진숙.최원석(2011). 기혼 직장여성의 일: 가족양립갈등 경로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0(1), 169-198.
  43. 이형민(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0, 1-31.
  44. 이혜정.유규창(2011).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80, 37-79. https://doi.org/10.33949/TWS.2011..1.002
  45. 임현주.이대균.최항준(2011). 부부특성, 출산관련 정서, 어머니의 정서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탐색-구조방정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5), 183-202. https://doi.org/10.18023/KJECE.2011.31.5.008
  46. 임효진.박휴용.장경은.이지은(2015).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 출산의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97-318.
  47. 장한나.이명석(2013). 기혼 직장 여성의 삶의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과 환경 연구, 51(4), 425-438.
  48. 정미라.홍소영.박수경(2013). 첫 자녀를 둔 가구의 후속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유아교육연구, 33(1), 259-277.
  49. 정미주.임상호(2016).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지원 제도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1(2), 41-47. https://doi.org/10.21186/IPR.2016.1.2.041
  50. 정성호(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5(1), 31-52.
  51. 정영금(2011).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과 정책적 제안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23-136.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123
  52. 천혜정(2005).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25-33.
  53. 최여진.조희선(2018). 유자녀 임신부의 후속출산 결정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25-43. https://doi.org/10.7466/JKHMA.2018.36.1.25
  54. 최은영(2016). 기혼여성의 취업과 자녀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여성경제연구, 13(1), 51-70.
  55. 최지훈.안선희(2017). 가족친화제도, 직장생활, 가정생활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2), 77-92. https://doi.org/10.7466/JKHMA.2017.35.2.77
  56. 최지훈.안선희(2018). 가족친화제도와 남편의 자녀돌봄 참여가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75-85. https://doi.org/10.7466/JKHMA.2018.36.1.75
  57. 최항준(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 변인 및 자녀 (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58. 통계청(2019a). 장래 합계출산율. 대전 : 통계청.
  59. 통계청(2019b). 인구동향조사. 대전 : 통계청.
  60. 통계청(2020). 2019년 출생.사망통계. 대전 : 통계청.
  61. 하민경(2020). 어머니가 인식하는 양육 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 참여가 후속출산계획 자녀 수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 1139-1155.
  6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9a). 일생활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 배분과 정책과제.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9b).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4. 한영선.이연숙(2015).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1), 49-66. https://doi.org/10.6115/fer.2015.004
  65. 한지연(2014).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녀 한 명을 양육하는 취업모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6. 행정안전부(2020). 주민등록인구현황. 세종 : 행정안전부.
  67.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68. Allen, T. D.(2001).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 414-435. https://doi.org/10.1006/jvbe.2000.1774
  69. Allen, T. D.(2013). Some future directions for work-family research in a global world. Expanding the Boundaries of Work-Family Research, 333-347.
  70. Andreassi, J. K. & Thompson, C. A.(2008). Work-family culture: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Handbook of work-family integration, 331-351.
  71. Beddoes, Z. M.(2019). The glass-ceiling index: The latest data suggest progress for women at work has stalled. The Economist, Retrieved March 15, 2019, from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9/03/08/the-glass-ceiling-index.
  72. Berg, P., Kalleberg, A. L. & Appelbaum, E.(2003). Balancing work and family: The role of high-commitment environments.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42(2), 168-188. https://doi.org/10.1111/1468-232X.00286
  73. Bloom, N., Kretschmer, T. & Van Reenen, J.(2011). Are family-friendly workplace practices a valuable firm resour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2(4), 343-367. https://doi.org/10.1002/smj.879
  74. Breaugh, J. A. & Frye, N. K.(2008). Work-family conflict: The importance of family-friendly employment practices and family-supportive supervisor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2(4), 345-353. https://doi.org/10.1007/s10869-008-9081-1
  75.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 Sowa, D.(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500-507.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76. Grawitch, M., Tares, S. & Kohler, J. M.(2007). Healthy workplace practices and employee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4(3), 275-293. https://doi.org/10.1037/1072-5245.14.3.275
  77.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https://doi.org/10.5465/AMR.1985.4277352
  78. Greenhaus, J. H., Ziegert, J. C. & Allen, T. D.(2012). When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matters: Relations between multiple sources of support and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266-275. https://doi.org/10.1016/j.jvb.2011.10.008
  79. Hammer, L. B. , Kossek, E. E., Yragui, N. L., Bodner, T. E. & Hanson, G. C.(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FSSB). Journal of Management, 35(4), 837-856. https://doi.org/10.1177/0149206308328510
  80. Ingram, P. & Simons, T.(1995). Institutional and resource dependence determinant responsiveness to work-family issu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1466-1482. https://doi.org/10.2307/256866
  81. Kohler H. P.(2001). Parity Progression Ratios with Continued Fertility Postponement: Assessing the Implications of Delayed Childbearing for Fertility in Sweden, the Netherlands and Spa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ow Fertility: Trends. Theories and Policies, Tokyo : Mauldin.
  82. Kossek, E. E., Pichler, S., Bodner, T. & Hammer, L.(2011). Influence of general and work-family-specific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nel Psychology, 64(2), 289-313. https://doi.org/10.1111/j.1744-6570.2011.01211.x
  83. McCarthy, A., Darcy, C. & Grady, G.(2010). Work-life balance policy and practice: Understanding line manager attitudes and behavior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0(2), 158-167. https://doi.org/10.1016/j.hrmr.2009.12.001
  84. Mauno, S., Kinnunen, U. & Pyykko, M.(2005), Does work-family conflic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ulture and self reported distress? Evidence from five Finnish organiza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8, 509-530. https://doi.org/10.1348/096317905X37082
  85. McDuffie, A., Machalicek, W., Oakes, A., Haebig, E., Weismer, S. E. & Abbeduto, L.(2013). Distance video-teleconferencing in early intervention: Pilot study of a naturalistic parent-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3(3), 172-185. https://doi.org/10.1177/0271121413476348
  86. Meadan, H., Snodgrass, M. R., Meyer, L. E., Fisher, K. W., Chung, M. Y. & Halle, J. W.(2016). Internet-based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A pilot study.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8(1), 3-23. https://doi.org/10.1177/1053815116630327
  87. Ngo, H. Y., Foley, S. & Loi, R.(2009). Family friendly work practices, organizational climate, and firm performance: A stud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Hong Ko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0(5), 665-680. https://doi.org/10.1002/job.606
  88. Pavlov, I. P.(1938). Conditioned Reflexes. England : Oxford University Press.
  89. Reppetti, R. L.(1987). Linkages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pplied social psychology annual.
  90. Rindfuss, R. R., Choe, M. K. & Brauner-Otto, S. R.(2016). The Emergence of Two Distinct Fertility Regimes i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volume, 35, 287-304. https://doi.org/10.1007/s11113-016-9387-z
  91. Singh, A. K. & Singh, A. P.(2010). Role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upport in predi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9(4), 7-25.
  92. Thevenon, O. & Gauthier, A. H.(2011). Family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A 'fertility-booster' with side-effects. Community. Work & Family, 14(2), 197-216. https://doi.org/10.1080/13668803.2011.571400
  93.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6-15.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
  94.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2020). State of World Population 2020. Retrieved from https://www.unfpa.org/swop
  95. Vollset, S. E., Goren, E., Yuan & C-W., et al.(2020).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nd population scenario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2017 to 2100: a forecasting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The Lancet, published online July 14.
  96. Wang, P. & Walumbwa, F. O.(2007). Family-friendly program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withdrawal: the moderating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sonnel Psychology, 60(2), 397-427.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78.x
  97. Wayne, J. H. & Casper, W. J.(2016), Why having a family-supportive culture, Not just policies, Matters to male and female job seekers: An examination of work-family conflict, values and self-interest. Sex Roll, 75, 459-475. https://doi.org/10.1007/s11199-016-06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