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성인가족 돌봄시간의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Family Caregiving Time

  • 투고 : 2021.03.21
  • 심사 : 2021.04.22
  • 발행 : 2021.05.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확한 시간량에 기초하여 가족돌봄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의 영향요인 및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여 장기돌봄을 필요로 하는 성인돌봄을 중심으로 가족돌봄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가족 돌봄에 투입하는 평균시간은 하루에 115분으로 나타났고, 가족돌봄자는 여성의 비중이 높고 평균연령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비취업자가 많고, 가구소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영향요인 분석결과, 여성이면서 고연령인 경우, 기혼상태이면서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가족돌봄자가 될 가능성뿐만 아니라 돌봄시간도 증가하였다. 셋째, 가족돌봄과 다른활동시간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돌봄 시간은 유급노동이나 여가시간과 대체관계에 있는 반면, 가사노동시간과는 보완관계에 있었는데 이것은 고강도 가족돌봄일 때 더욱 명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기적인 가족돌봄실태조사의 실시, 가족돌봄지원정책의 확대, 그리고 돌봄대상과 속성뿐만 아니라 돌봄자의 속성에 따른 돌봄시간의 차등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ctual state of family care on the basis of the exact amount of time, and to verify its influencing factors and results. To this end, family caregiving was analyzed using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time spent on adult family care was 115 minutes per day, a large proportion of family caregivers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relatively high, there were many unemployed, and household income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revealed that those who were women, older, married, and of a low household income had a considerable likelihood of becoming a family caregiver and had a longer caring time. Thir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are and other activities showed that the family caregiving time was in a substitute relationship with paid work or leisure time, but it was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housework time, which was more evident in the case of high-intensity family caregiv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regular family care surveys, expansion of family care support policies, and modification of support for caring time according to the nature, goals, and attributes of caregive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A8045876)

참고문헌

  1. 권순범.김혜중.소효종(2019). 부부가 함께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영아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와 외벌이 부부의 부부공유 돌봄시간 비교. 가정과삶의질연구, 34(5), 1-19.
  2. 권혁.이재현(2020). 가족돌봄 등을 위한 근로시간 단축제도 개선방안 연구-근로시간 단축 허용 사유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법연구, 42, 195-220.
  3. 길태영.조미정(2020). 재가 치매노인 가족 케어기버의 돌봄 경험. 한국장애인복지학, 47, 31-58. https://doi.org/10.22779/KADW.2020.47.47.31
  4. 김계숙.김진욱(2018).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 돌봄 시간, 만성질환 여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4), 57-97. https://doi.org/10.15709/HSWR.2018.38.4.57
  5. 김세리.이강이(2018).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돌봄시간 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및 시간부족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3), 1-19.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3.001
  6. 김영란(2007). 가족 돌봄자의 노인 돌봄노동시간 및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여성연구, 1(72), 33-70. DOI : 10.33949/tws.2007.1.72.002.
  7. 김정은.최해경(2015). 돌봄대상자의 기여 요인이 가족돌 봄노인의 돌봄 부담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2), 123-150.
  8. 김지현.김흥수(2017).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노인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스트레스: 방문간호 서비스의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46(6), 836-847. DOI : G704-000229.2016. 46.6.009. https://doi.org/10.4040/jkan.2016.46.6.836
  9. 김혜진.신수진(2020). 치매대상자에게 적용되는 성년후견 제도에 대한 간호사와 가족돌봄제공자의 인식. 노인간호학회지, 22(1), 34-44.
  10. 남궁은하(2019). 노인장애인 부양가족을 위한 미국의 정책 변화와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11, 76-87.
  11. 노혜진(2014).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 사회복지정책, 41(4), 181-200.
  12. 박상언.김희진.김점남.박혜정.길초롱.이지연.장희경(2019). 암환자 가족원의 건강정보이해력과 사회적 지지가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3), 291-304. https://doi.org/10.14400/JDC.2019.17.3.291
  13. 박송이.차지영(2017). 고관절 수술 노인가족의 사회적지지, 가족기능 및 돌봄부담감. Health & Nursing, 29(1), 1-11.
  14. 박주희(2019)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33-148. DOI : 10.22626/jkfrma.2019.23.3.007.
  15. 박해경(2012)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대처전략, 안녕감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배주희.강효정.김남희(2020). 재활전문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의 가족 돌봄 제공자 돌봄경험.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6(11), 33-47. DOI : 10.47116/apjcri.2020.11.04.
  17. 오영주.이명하.김희선(2020).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부 양자의 부양부담감과 돌봄행위 간의 관계: 돌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인간호학회지, 32(2), 186-198.
  18. 이민경(2019).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돌봄지원의 조절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44, 121-148. https://doi.org/10.22779/KADW.2019.44.44.121
  19. 이선희(201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재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가족수발자 지원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253, 89-101.
  20. 이혜경.김소율(2019).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4), 1373-1384. https://doi.org/10.12925/jkocs.2019.36.4.1373
  21. 임정기.노혜진(2020). 노인 돌봄가족은 무엇을 경험하고 필요로 하는가. 한국사회복지학, 72(4), 151-179.
  22. 임정원.권주연.안손희.윤은지(2018). 두경부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0), 348-360.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348
  23. 전명수(2014). 요양노인과 가족 부양자의 특성이 부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274-282.
  24. 지은숙(2017). 비혼여성의 딸노릇과 비혼됨(singlehood)의 변화: 일본의 부모를 돌보는 딸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50(2), 189-235.
  25. 차은호.유조안(2020).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돌봄 시간의 불평등-돌봄시간 격차의 변화와 분해. 한국가족복지학, 67(3), 5-33. DOI : 10.16975/kjfsw.67.3.1.
  26. 최유정.최미라.최샛별(2019). 가정 내 역할 수행 및 돌봄 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50(1), 1-28.
  27. 최윤숙.배주희.김남희.태영숙(2016). 노인 암환자 가족원의 돌봄 부담감 영향요인. 종양간호학 연구, 16(1), 20-29. DOI : G704-SER000008675.2016.16.1.002.
  28. 최인희.김정현(2013). 가족요양보호사와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영향요인 비교연구. 가족과 문화, 25(3), 159-185. DOI : 10.21478/family.25.3.201309.006.
  29. 통계청(2019). 생활시간조사기초분석보고서. 대전 : 통계청.
  30. 하석철(2016). 돌봄은 세대 간에 대갚음되는가?: 모와 성인 자녀 간 관계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8(4), 57-90. DOI : 10.21478/family.28.4.201612.003.
  31. Administration for Community Living[ACL](2019). August. RAISE Family Caregiving Advisory Council.
  32. Aufill, J., Burgdorf, J. & Wolff, J.(2019). June. In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A snapshot of five States. milbank memorial fund & The John A. Hartford Foundation.
  33. Carmichael, F. & Charles, S.(2003). The opportunity costs of informal care: Does gender matter?.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2(5), 781-803. https://doi.org/10.1016/S0167-6296(03)00044-4
  34. Carmichael, F., Charles, S. & Hulme, C.(2010). Who will care? Employment status and willingness to supply informal care.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9(1), 182-190.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9.11.003
  35. Carmichael, F. & Ercolani, M. G.(2016). Unpaid caregiving and paid work over life-courses: Different pathways, diverging outcomes. Social Science & Medicine, 156, 1-11.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6.03.020
  36. Daly, M. & Lewis, J.(2000).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1(2), 281-298. https://doi.org/10.1111/j.1468-4446.2000.00281.x
  37. Esping-Andersen, G.(1999). Social Foundation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 University.
  38. Heitmueller A.(2007). The chicken or the egg? Endogeneity i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informal carer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536-59.
  39. Huber, E. & Stephens, J. D.(2000). Partisan governance, women's employment, and the social democratic service stat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23-342.
  40. Lilly, M. B., Laporte, A. & Coyte, P. C.(2010). Do they care too much? The influence of caregiving intensity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unpaid caregivers in Canada.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9(6), 895-903. https://doi.org/10.1016/j.jhealeco.2010.08.007
  41. Lister, R.(1994). She has other duties'-Women, citizenship and social security. Social security and social change: New challenges to the Beveridge model, 31-44.
  42. Kalil, A., Ryan, R. & Corey, M.(2012). Diverging destinies: Matern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al gradient in time with children. Demography, 49(4), 1361-1383. https://doi.org/10.1007/s13524-012-0129-5
  43. Stanfors, M. Jacobs, J. C. & Neilson, J.(2019). Caregiving time costs and trade-offs: Gender differences in Sweden, the UK, and Canada. SSM-population health, 9, 100501. https://doi.org/10.1016/j.ssmph.2019.100501
  44. Taylor-Gooby, O. F.(2004). New Risks, New Welf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45. Van den Berg B & Hassink WHJ.(2008). Cash benefits in long-term home care. Health Policy, 209-21.
  46. Van Houtven, C. H. & Norton, E. C.(2004). Informal care and health care use of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3(6), 1159-1180.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4.04.008
  47. Van Houtven, C. H., Coe, N. B. & Skira, M. M.(2013). The effect of informal care on work and wag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32(1), 240-252. https://doi.org/10.1016/j.jhealeco.2012.10.006
  48. Yeandle, S.(2016). Caring for our carers. Juncture, 23(1), 57-62. https://doi.org/10.1111/j.2050-5876.2016.0089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