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 Assistant Teachers Taking a Career Break

경력단절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경험과 의미연구

  • 최현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정연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Received : 2021.06.15
  • Accepted : 2021.08.11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take a career break while working in daycare center as a teacher assistant. Methods: Seven assistant teachers and two child care teachers who took more than two years of career break were selected and given in-depth interviews over 17 week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2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experienced the need for a career transition as an assistant teacher because it was time to for a change. Second, while working as a teacher assistant, they had various experiences and meanings in the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while playing the role as a teacher in daycare centers. Third, they also had some difficulties in conflict and some needs to build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as a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is expected to give insight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need for a career transition as teacher assistant and to provide important data to develop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 박진아 (2018).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근무실태 및 만족도. 육아정책연구, 12(2), 3-27.
  2. 권태린 (2017). 어린이집 보조교사 역할적응 과정 연구 : 강릉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I.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4. 박미영 (2018). 어린이집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수행 요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은주, 전형미 (2017).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경력단절여성과 채용담당자가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한국콘텍츠학회논문지, 17(1), 166-182. dol:10.5392/JKCA.2017.17.01.166
  6. 백연진, 이소현, 오은순 (2016).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보육교사의 일과 자녀양육 병행 경험 탐색.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1(21), 1-21.
  7. 보건복지부 (2021. 2). 중앙보육정책위원회 개최, 2021년 보육 시행계획 확정.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37665에서 2021년 2월 15일 인출
  8. 서영미 (2019). 경력단절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재취업에 관한 연구.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9(5), 27-57. dol:10.34226/gcl.2019.9.5.27
  9. 이성미 (2014). 경력단절 보육교사의 재취업 적응과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임현선 (2013).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한국 여성의 생애단계 유형별 경력전환 결정요인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전은희 (2016). 어린이집 누리보조교사에 대한 현직 보육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용환 (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3. 조주연 (2015).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역할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윤미, 길혜지. (2012).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력전환 결정요인 탐색 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1-21.
  15. 최효미 (2016). 어린이집.유치원에서의 보조교사 활용실태 및 충원의 어려움.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퍼, 1-22.
  16. 통계청 (2020. 9).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84858_2&rs=/assist/synap/preview에서 2021년 2월 15일 인출
  17. 한인숙 (2017). 어린이집 보조교사 지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한 정책적 함의.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홍유나 (2019). 어린이집 보조교사 지원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 Hall, D. T. (1996).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Th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10(4), 8-16. doi:10/5465/ame.1996.3145315 https://doi.org/10.5465/AME.1996.3145315
  20. Louis, M. R. (1980). Carer transitions: Varieties and commonalit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3), 329-340. dol:10.5465/amr.1980.4288836.
  21. OECD (2016). OECD Employment outlook. Paris: OECD.
  22. OECD (2017). OECD Employment outlook. Paris: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