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ction Research to Support Indoor Free Play in the Dodam Class Consisting of Five-Year-Olds

5세 도담반의 실내놀이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Received : 2021.06.15
  • Accepted : 2021.08.08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acher's role as play supporter in a carry out play generated curriculum and develop and implement an action plan in order to indoor free play. Methods: Participants were 14 kindergartners (9 boys, 5 girls) and one teacher. Processes of planning-implementation and observation- reflection were repeated in a cyclical procedure and the 3rd action plan was conducted based on strategies to support children's play. Results: Children experienced the following: Continuing and immersive play, play filled with experiments and challenges, play to make together, attitude to enjoy novelty and respect differences, and play of trial and error. And the researcher changed the following: Be sensitive to the child's words and actions, finding the 'real interest' of children in 'waiting', acquiring the perception that 'children are the masters of play', seeing the value of learning in children's expressive play, and gain confidence in play suppor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teacher to have patience and demonstrate reflective thinking in order to support children's play.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을 위한 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육아정책포럼, 62(0), 16-23.
  2.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3. 김민경 (2019). 만 5세 학급 자유놀이시간 놀이평가 운영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인 (2020).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의 놀이몰입과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순환, 오현주 (2019).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육아지원연구, 14(2), 55-83. doi:10.16978/ecec.2019.14.2.003
  6. 김희영, 엄정애 (2020).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중심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40(3), 119-152. doi:10.18023/kjece.2020.40.3.006
  7. 백진영 (2016). 유아주도 자유놀이 원내 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변화.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서혜정, 이한아 (2011).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5(6), 119-144.
  9. 손연주, 임부연 (2019). 누리과정에 드러난 놀이이미지의 해체를 넘어서: 차이 생성의 놀이로 나아가며. 육아지원연구, 14(3), 109-140. doi:10.16978/ecec.2019.14.3.005
  10. 심정현 (2020).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놀이에서 나타난 유아의 놀이양상과 배움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엄정애 (2007). 유아주도적인 놀이상황과 교사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인지적 협력구성 비교 연구. 유아교육연구, 27(4), 161-185. doi:10.18023/kjece.2007.27.4.007
  12. 유혜령 (2019).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대한 탐색: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 어린이교육비평, 9(2), 57-85.
  13. 윤빛나라 (2019). 만 5세 유아의 천을 활용한 놀이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5-33. doi:10.26834/kscice.2019.9.2.5
  15. 이원미, 권연희 (2020).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93-110. doi:10.1698/jkcce.2020.16.04.093
  16. 인재천 (2004). 쌓기놀이영역에서의 환경조성이 유아의 공간인식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부연, 손연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3), 127-148. doi:10.21024/pnuedi.30.3.202009.127
  18. 원지선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환시기에서의 보육교사들의 수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Kemmis, S., & McTaggart, R. (1988).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559-604).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0. Mills, J. E. (2005). 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강성우, 부경순, 심영택, 양갑렬, 오세규, 이경화 등 옮김). 서울: 우리교육(원판 2003).
  21. Van Hoorn, J. V., Nourout, P. M., Scale, B., & Alward, K. R. (2018).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놀이중심교육과정(순진이, 정현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