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s and Impact analysis as innovation plan of learing space by providing green environment -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배움 공간 혁신 방안으로서의 녹색환경제공에 관한 효과와 영향 분석 연구 -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 임채영 (가천대학교 조경학전공)
  • Received : 2021.05.13
  • Accepted : 2021.06.21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According to the OECD's interim report on Korean education analysis held in 2020, the presenter, Andreas Schleicher, director of education for the OECD, said, "Korean students show a lot of fear, anxiety and nervousness about failure", referring to how Korean students feel anxious even if their test scores are good. It is a simple example, but as mentioned in a recent education announcement, it is a common sight among Korean students, and it is easily experienced while receiving education. As Korea has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enthusiasm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various methods must be considered and studied, and solutions to current problems, improvement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is encouraged to be presented. This paper considered the methods for innovation of a learning space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the effects and impacts of providing a green environment among the methods and mea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small solution and play its role in solving the social problems of complex aspects of students presented previously.

2020년 개최된 OECD의 한국교육 분석 중간보고에 따르면 발표자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한국 학생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 초조함을 많이 보인다'며 시험 점수가 괜찮아도 긴장감을 느끼는 모습에 대하여 말했다. 단적인 예시이지만 최근의 교육 발표에 언급된 만큼 한국의 학생들에게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며 교육을 받으며 쉽게 겪는 일이다. 한국이 인적자원 양성 있어서 관심과 열의가 높은 만큼 그 방법에도 여러 가지 것이 고려되고 연구되고 현재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개선점, 발전 방향이 제시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학교 교육의 질 개선에 있어서 배움 공간 혁신의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았으며, 그 방법과 수단 중에서도 녹색환경제공의 효과와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정리하였다. 기존에 제시된 학생들의 복합적 양상의 사회적 문제 해결에 본 학술이 작은 한 가지의 해결책과 역할이 될 수 있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영(2017). 생애주기별 숲 이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1(1). 69-78. https://doi.org/10.34272/FOREST.2017.21.1.007
  2. 홍순상, 조성훈(2012), 마음챙김 기공이 소아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23). 49-58.
  3. 송정희, 신원섭, 연평식, 김윤수, 조영민, 김주연, 손성애, 신경희(2012). 산림치유캠프가 학교폭력피해청소년의 심리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3). 109-115. https://doi.org/10.34272/FOREST.2012.16.3.013
  4. 석현덕, 안선진(2013) 국민행복을 위한 산림환경서비스의 정책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23.
  5. 오경희(2017), 산림치유가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한국청소년시설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5-46.
  6. 정다워, 염동걸, 권치원, 김건우, 최정호, 박범진 (2014). 숙박형 숲체험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산림치유효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63-64.
  7. http:www.ltl.org.uk/2021/05/03
  8. 네이버, 호모 루덴스 [Homo Ludens] (선샤인 논술사전, 2007. 12. 17., 강준만)
  9. https://www.news1.kr/articles/?3367753:21/05/10 1:17 검색
  10. Reino-Tapaninen-Finish-National-Board-of-Education.pdf
  11. 교육부, Kisee,(2019), 미래교육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의 혁신 및 개선방향, 학술심포지엄, 8, 15, 20, 23, 83, 87, 93-102.(인용문출처)
  12. https://blog.naver.com/ysh2084/222208734210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