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terpretation of Sosoewon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on Aesthetics

소쇄원의 수용미학적 해석

  • Received : 2021.04.05
  • Accepted : 2021.05.20
  • Published : 2021.07.06

Abstract

This study interpreted a traditional garden of Korea through reception aesthetics. The 'gap' of acceptable aesthetics is found in the 'distance that occur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is gap between what the writer intends and what the reader expects. Boundaries do not limit traditional spaces in Korea and, therefore, are not limited by characteristics. Thes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author, the work, and the reader. The aspect first looked at the life and ideas of the gardener, the second analyzed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garden, and the last examined writings, from the past and present, of those who appreciated the garden.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Sosoewon was understood as a garden that embodied the philosophy of Yang Sanbo. Second, the duality and indeterminateness were recognized as two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rtifacts in the garden were arranged in a natural form, and the gardens have indefinite boundaries, so they can be freely expanded and reduced. Finally, from the reader's perspective, it was noted that the beauty of this garden is enhanced through poetry, painting, and writing. Thus, historic gardens of Korea can be open spaces where the meaning of the garden is enriched through the free participation of viewers based on their own ideas.

이 연구는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한국전통정원인 소쇄원을 해석한 연구이다. 수용미학의 '틈'이란 '작가와 독자 간의 지평의 어긋남을 통해 생기는 틈새'이다. 작가가 의도하는 것과 독자의 기대 지평이 달라 생기는 틈을 독자가 작품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작품을 구체화시킨다. 공간의 경계를 한정하지 않고, 공간의 성격을 한정하지 않으려는 것은 한국 전통공간에서도 나타나는 같은 성격이다. 작가-작품-독자의 삼중 구조를 중심으로, 작가의 측면에서 정원의 조영가의 생애와 사상, 정원에 내재한 철학을 살피고, 작품의 측면에서는 정원의 형태적 특성을 찾아보았다. 독자의 측면은 정원 안에서 풍류를 즐기는 당대의 사람들의 감상행위와 현재에 그 공간을 조명하는 현대인의 감상으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작가적 측면의 생소화는 조영가 양산보의 철학을 알 수 있었다. 소쇄원은 양산보의 삶의 철학이 장소의 이름들로 묻어나는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작품의 측면에서 이원적이며 미확정적인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인공의 문양이 자연의 질서에 맞춰 배치되어 자연스러움을 연출하는 이원성이 있는 정원이며, 열린 경계로 인한 억지스런 방향의 강요가 없어 흐름이 자유롭고 관념에 따라 확장하거나 나눌 수 있는 자유로움이 있는 미확정적인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독자의 측면에서 구체화는 풍류활동을 통한 감상과 현대의 시각에서 기인한 감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곳은 시서화를 통해 시적 표현으로 승화되는 풍류의 정원이다. 현대의 감상에는 소쇄원과 양산보의 삶을 일체화하고, 선인들의 예술성에 감탄하며, 동시에 현대인의 자세에 대한 반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 전통정원은 관념에 따라 자유롭고 감상자의 참여를 통해 그 의미가 풍부해지는 열린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ha. B. H.(1985) The Aesthetics of Reception. Munhakgwajisungsa
  2. Chon, D. Y.(1999) Sosoewon, Korean Famous Garden. Balun.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1983) Planning and Design of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Sosoewon. Ch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 Gil, S. H.(2003) The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Spacetime.
  5. Jo, K. J., Seo Y. A.(2008) A Study on the garden meaning of Pungryu through genre painting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94-107.
  6. Jung, D. O.(1986) Korean Traditional Garden. Seoul: Minuumsa.
  7. Jung. K. H. (1998) A Song on a Long Wall of Sosoewon. Telim-Munhwasa.
  8. Kim, B. R.(1999) The Spirit Engraved on This Land. Leesang Architecture.
  9. Kim, B. R.(2006) Space of Awareness and Life. Dolbaegae.
  10. Kim, G. C.(2005) Architecture of Bright Silence. Ahngraphics.
  11. Kim, H. B.(1988) Sensibilty of Korean Space Formation. Gyosu-News, July 13.
  12. Kim, H. B.(2017) Landscapes From Art, A City Seen by Landscaping. Nalmada.
  13. Lim, S. J.(2005)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Oriental Thought. Book-House.
  14. Park, G. R.(1996) Sosoewon, which contains nature and the spirit of Joseon Dynasty. Dosimunjae 31, 333.
  15. Park, J. W.(2001) Gardens, a Bowl of Landscapes, Seohaemunzip.
  16. Yoo, H. J.(1992) Old Sperms and Gardens in Damyang, Jeollado Province. Wolgan-sahoepyeonglon.
  17. http://www.doopedia.co.kr
  18. http://www.soswaew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