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봉주 (2016).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정완 (2019).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9(12), 437-450. doi:10.22251/jlcci.2019.19.12.437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개정누리과정 해설서. 세종시: 교육부, 보건복지부.
-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영애, 이순복 (2017). 교사 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2), 115-129. doi:10.17643/KJCE.2017.26.2.06
- 권주영 (2001).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교육 실제에 관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혜진 (2013).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 권희경 (2009).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91-410.
- 김명신 (2017).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세정 (2018).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놀이성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2(1), 151-173.
- 김언경 (2015).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희 (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희, 박지현 (2014).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 - 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135-152. doi:10.18023/kjece.2014.34.3.007
- 김지은 (2003).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혜, 김민정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327-339. doi:10.21097/ksw.2020.05.15.2.327
- 노진형, 하영주, 김보영 (2020). 유아의 정서성과 또래유능성이 또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9(2), 127-146. doi:10.30761/ecoece.2020.19.2.127
- 박서연 (2020).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1115-1139. doi:10.22251/jlcci.2020.20.5.1115
- 박영숙 (2015).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도사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 박현숙, 김광웅 (200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7(1), 13-24.
- 박혜훈, 박은선 (2018).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과 놀이성 및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분석. 창의력교육연구, 18(3), 65-84.
- 백지숙, 권은주 (2017).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2), 99-114. doi:10.21213/kjcec.2017.17.2.99
- 변은정 (2006). 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와 역할 인식.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변혜원, 오한나, 정미라 (2018).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와 부모의 놀이성.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277-297. doi:10.21183/kjcm.2018.03.17.1.277
- 심숙영, 임선아 (2018).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8(1), 319-340. doi:10.18023/kjece.2018.38.1.013
- 안현진, 문혜련 (2018). 유아교사의 기질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47(4), 69-84. doi:10.30775/KMES.47.4.04
- 여윤재, 황혜신 (2019).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수준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107-125. doi:10.14698/jkcce.2019.15.01.107
- 유미현 (2018).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지은 (2015). 아버지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스트레스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미 (2012).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 대인관계능력 및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선경, 송미정 (2020).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975-994. doi:10.22251/Jlcci.2020.20.8.975
-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 이순행, 이희연, 정미라 (2018). 한국판 성인놀이성 척도(K-APTS) 타당화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2), 397-425. doi:10.17315/kjhp.2018.23.2.006
- 이은해, 이기숙 (1995).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1), 157-179.
- 이인아 (2015).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 음률활동에 대한 태도의 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채호 (2016). 유아의 또래유능성, 자기조절 및 놀이유형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03-119. doi:10.21183/kjcm.2016.12.15.4.103
- 이효림, 엄정애 (2005). 유아의 정서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1-15.
- 임부연 (2018. 12). 학교교육에서 놀이교육 현황과 과제(이슈페이퍼 CP 2018-29). 진천군: 한국교육개발원.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nTbBoardArticleSeq=819666&strCurMenuId=72 에서 2021년 2월 1일 인출
- 임수미, 황혜신 (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4), 15-27. doi:10.5723/kjcs.2019.40.4.15
- 임정빈 (2017).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형남, 방은영 (2017). 보육교사의 놀이성과 정서지능,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음악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2), 103-125. doi:10.18023/kjece.2017.37.2.005
- 장명림, 이기숙, 김양분 (2000). (유치원 모의평가를 통한)유아교육 평가모형 확립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전경아 (2003). 유아의 또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지민경, 정계숙 (2011). 유아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련성 연구. 생애학회지, 1(1), 33-46.
- 차인영, 최미미, 서영숙 (2016).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0(1), 95-117.
- 차혜정, 송승민 (2017).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20. oi:10.14698/jkcce.2017.13.06.001
-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 한선희 (2014).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현정희, 김정원 (2008).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93-113.
- 홍주희 (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종귀 (2017).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7-25.
- Baldanza, M. T. (2013).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peer engagement in pre-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USA
- Barnett, L. A. (1991). Characterizing playfulness: Correlates with individual attributes and personality traits. Play and Culture, 4,371-393.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 Braun, C. (1976). Teacher expectation: Sociopsychological dynam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2), 185-213. doi:10.3102/00346543046002185
- Brody, V. A. (1978). Developmental play: A relationship focused program for children. Child Welfare, 57(9), 591-599.
- Bryk, A. S., Lee, V. E., & Holland, P. B. (1993). Catholic schools and the common goo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doi:10.2307/3121896
- Buyse, E., Verschueren, K., & Doumen, S. (2011). Preschoolers' attachment to mother and risk for adjustment problems in kindergarten: Can teachers make a difference? Social Development, 20(1), 33-50. doi:10.1111/j.1467-9507.2009.00555.x
- Day, D. E., & Sheehan, R. (1974). Elements of a better preschool. Young Children, 30(1), 15-23.
- DeMulder, E. K.,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0).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doi:10.1037/0012-1649.36.2.274
- Ellis, S., Rogoff, B., & Cromer, C. C. (1987). Age segregation i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7(4), 399-407. doi:10.1037/0012-1649.17.4.399
- Glynn, M. A.,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1), 83-103. doi:10.2466/pr0.1992.71.1.83
- Hayes, A. F. (2013).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 Hestenes, L., Kontos, S., & Bryan, Y. (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295-307. doi:10.1016/S0885-2006 (05)80069-9
- Hymel, S., Bowker, A., & Woody, E. (1993). Aggressive versus withdrawn unpopular children: Variations in peer and self-perceptions in multiple domains. Child Development, 64(3), 879-896. doi:10.2307/1131224
- Kaiser, B., & Rasminsky, J. S. (201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4th edition. Boston, MA: Allyn and Bacon.
- Katz, L. G. (1995).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Norwood, NJ: Ablex
- Kontos, S., & Wilcox-Herzog, A. (1997).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Research in review. Young Children, 52(2), 4-12.
- Ostrosky, M., & Meadan, H. (2010). Helping children play and learn together. Young Children, 65(1), 104-109.
- Pianta, R. C., La Paro, K. M., & Hamre, B. K. (2008).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manual: Pre-K.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Schaefer, C., & Greenberg, R. (1997).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6(2), 21-31. doi:10.1037/h0089406
- Shen, X. S., Chick, G., & Zinn, H. (2014). Validating the Adult Playfulness Trait Scale (APTS): An examination of personality, behavior, attitude, and perception in the nomological network of playfulness. American Journal of Play, 6(3), 345-369.
- Trawick-Smith, J. W. (1994).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Facilitating play in the early years. Em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