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eachers' Playfulness on Child's Peer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21.02.15
  • Accepted : 2021.04.0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layfulness and children's peer abilitie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to collect data on 420 children aged 3-5 years old, targeting 108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of Hayes (2013).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s' verbal, emotional, and physical interactions are clos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playabi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not only the emotional,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infant, but also the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data tha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layability of teachers and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rder to support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Keywords

References

  1. 고봉주 (2016).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정완 (2019).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9(12), 437-450. doi:10.22251/jlcci.2019.19.12.437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개정누리과정 해설서. 세종시: 교육부, 보건복지부.
  4.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영애, 이순복 (2017). 교사 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2), 115-129. doi:10.17643/KJCE.2017.26.2.06
  6. 권주영 (2001).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교육 실제에 관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혜진 (2013).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8. 권희경 (2009).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91-410.
  9. 김명신 (2017).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세정 (2018).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놀이성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2(1), 151-173.
  11. 김언경 (2015).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동시성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영희 (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영희, 박지현 (2014).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 - 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135-152. doi:10.18023/kjece.2014.34.3.007
  14. 김지은 (2003).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지혜, 김민정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327-339. doi:10.21097/ksw.2020.05.15.2.327
  16. 노진형, 하영주, 김보영 (2020). 유아의 정서성과 또래유능성이 또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9(2), 127-146. doi:10.30761/ecoece.2020.19.2.127
  17. 박서연 (2020).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1115-1139. doi:10.22251/jlcci.2020.20.5.1115
  18. 박영숙 (2015).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도사 교사 -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20. 박현숙, 김광웅 (200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7(1), 13-24.
  21. 박혜훈, 박은선 (2018).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과 놀이성 및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분석. 창의력교육연구, 18(3), 65-84.
  22. 백지숙, 권은주 (2017).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2), 99-114. doi:10.21213/kjcec.2017.17.2.99
  23. 변은정 (2006). 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와 역할 인식.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변혜원, 오한나, 정미라 (2018).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와 부모의 놀이성.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277-297. doi:10.21183/kjcm.2018.03.17.1.277
  25. 심숙영, 임선아 (2018).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8(1), 319-340. doi:10.18023/kjece.2018.38.1.013
  26. 안현진, 문혜련 (2018). 유아교사의 기질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47(4), 69-84. doi:10.30775/KMES.47.4.04
  27. 여윤재, 황혜신 (2019).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수준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107-125. doi:10.14698/jkcce.2019.15.01.107
  28. 유미현 (2018).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지은 (2015). 아버지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스트레스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경미 (2012).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 대인관계능력 및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선경, 송미정 (2020).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975-994. doi:10.22251/Jlcci.2020.20.8.975
  32.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33. 이순행, 이희연, 정미라 (2018). 한국판 성인놀이성 척도(K-APTS) 타당화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2), 397-425. doi:10.17315/kjhp.2018.23.2.006
  34. 이은해, 이기숙 (1995).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1), 157-179.
  35. 이인아 (2015).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 음률활동에 대한 태도의 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채호 (2016). 유아의 또래유능성, 자기조절 및 놀이유형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03-119. doi:10.21183/kjcm.2016.12.15.4.103
  38. 이효림, 엄정애 (2005). 유아의 정서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1-15.
  39. 임부연 (2018. 12). 학교교육에서 놀이교육 현황과 과제(이슈페이퍼 CP 2018-29). 진천군: 한국교육개발원.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nTbBoardArticleSeq=819666&strCurMenuId=72 에서 2021년 2월 1일 인출
  40. 임수미, 황혜신 (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4), 15-27. doi:10.5723/kjcs.2019.40.4.15
  41. 임정빈 (2017).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임형남, 방은영 (2017). 보육교사의 놀이성과 정서지능,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음악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2), 103-125. doi:10.18023/kjece.2017.37.2.005
  43. 장명림, 이기숙, 김양분 (2000). (유치원 모의평가를 통한)유아교육 평가모형 확립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4. 전경아 (2003). 유아의 또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지민경, 정계숙 (2011). 유아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련성 연구. 생애학회지, 1(1), 33-46.
  46. 차인영, 최미미, 서영숙 (2016).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0(1), 95-117.
  47. 차혜정, 송승민 (2017).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20. oi:10.14698/jkcce.2017.13.06.001
  48.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49. 한선희 (2014).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현정희, 김정원 (2008).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93-113.
  51. 홍주희 (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황종귀 (2017).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7-25.
  53. Baldanza, M. T. (2013).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peer engagement in pre-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USA
  54. Barnett, L. A. (1991). Characterizing playfulness: Correlates with individual attributes and personality traits. Play and Culture, 4,371-393.
  5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56. Braun, C. (1976). Teacher expectation: Sociopsychological dynam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2), 185-213. doi:10.3102/00346543046002185
  57. Brody, V. A. (1978). Developmental play: A relationship focused program for children. Child Welfare, 57(9), 591-599.
  58. Bryk, A. S., Lee, V. E., & Holland, P. B. (1993). Catholic schools and the common goo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doi:10.2307/3121896
  59. Buyse, E., Verschueren, K., & Doumen, S. (2011). Preschoolers' attachment to mother and risk for adjustment problems in kindergarten: Can teachers make a difference? Social Development, 20(1), 33-50. doi:10.1111/j.1467-9507.2009.00555.x
  60. Day, D. E., & Sheehan, R. (1974). Elements of a better preschool. Young Children, 30(1), 15-23.
  61. DeMulder, E. K.,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0).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doi:10.1037/0012-1649.36.2.274
  62. Ellis, S., Rogoff, B., & Cromer, C. C. (1987). Age segregation i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7(4), 399-407. doi:10.1037/0012-1649.17.4.399
  63. Glynn, M. A.,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1), 83-103. doi:10.2466/pr0.1992.71.1.83
  64. Hayes, A. F. (2013).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65. Hestenes, L., Kontos, S., & Bryan, Y. (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295-307. doi:10.1016/S0885-2006 (05)80069-9
  66. Hymel, S., Bowker, A., & Woody, E. (1993). Aggressive versus withdrawn unpopular children: Variations in peer and self-perceptions in multiple domains. Child Development, 64(3), 879-896. doi:10.2307/1131224
  67. Kaiser, B., & Rasminsky, J. S. (201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4th edition. Boston, MA: Allyn and Bacon.
  68. Katz, L. G. (1995).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Norwood, NJ: Ablex
  69. Kontos, S., & Wilcox-Herzog, A. (1997).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Research in review. Young Children, 52(2), 4-12.
  70. Ostrosky, M., & Meadan, H. (2010). Helping children play and learn together. Young Children, 65(1), 104-109.
  71. Pianta, R. C., La Paro, K. M., & Hamre, B. K. (2008).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manual: Pre-K.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72. Schaefer, C., & Greenberg, R. (1997).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6(2), 21-31. doi:10.1037/h0089406
  73. Shen, X. S., Chick, G., & Zinn, H. (2014). Validating the Adult Playfulness Trait Scale (APTS): An examination of personality, behavior, attitude, and perception in the nomological network of playfulness. American Journal of Play, 6(3), 345-369.
  74. Trawick-Smith, J. W. (1994).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Facilitating play in the early years. Em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