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Medical Doctor Shin Hong-Gyun's Life and His Independence Movement

신홍균(신홍균(申洪均): 개명(改名) 신흘(申屹), 신굴(申矻)) 한의사의 생애와 독립운동

  • Jung Sang Gyu (Dept. of Interdisciplinary Archaeology, Inha University) ;
  • Shin Min Shik (Dept. of Interdisciplinary Archaeology, Inha University)
  • 정상규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
  • 신민식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 Received : 2021.04.28
  • Accepted : 2021.05.07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Shin Hong-Gyun and his family have been in medicine for many generations as Korean Medical Doctors (KMDs). In 1919 when Shin Hong-Gyun was participating in an independence movement in Jang-Baek-Hyun, his younger brother Shin Dong-Gyun was killed by Japanese military police forces. This tragic incident triggered Shin Hong-Gyun to establish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called , holding 200 young men, to serve in armed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Government with Kim Jung-Geon in May, 1920. In March 1933, Shin Hong-Gyun, as a military surgeon, led his men to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to fight a battle. Once he became a memb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he, in fact, participated in few battles: Sadohaja, Dong-Kyung-Sung, Deajeonjayeong. Daejeonjayeong was a waypoint that the Japanese military needed to pass through in order to reach the Wangcheong area. Shin Hong-Gyun's independence forces had to endure painful starvation and heavy rain while hiding in ambush for long periods of time until the Japanese military would appear. Due to its summer rainy season, rainwater overflowed into their trenches and was filled up to the waist. Even worse, food stockpiles were low and the Japanese army did not appear for longer time. Shin Hong-Gyun's entire team suffered severe hunger and extreme cold. At this critical moment, Shin Hong-Gyun used his expertise as a KMD to find edible black mushrooms that grow wild in the mountains and use them to feed his men. This event led to the victory of the independence army at the battle of Daejeonjayeong.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form and highlight the forgotten history of Shin Hong-Gyun who was, both, a Korean Medical Doctor and a military surgeon.

Keywords

References

  1. 김구. 「백범일지」. 서울:서문당. 1989:309.
  2. 김중건. 「나의 四十年」. 소래의 철학과 사상집 I. 경기:소래선생기념사업회간. 1983:81.
  3. 갈적봉. 「조선 혁명기」. 중경초판. 중화민국 34년 5월:16.
  4. 김지용 편주. 「소래집」 1. 서울:소래선생기념사업회. 1969:38.
  5.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4 독립전쟁. 서울:국사편찬위원회. 1988:383.
  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10. 경기: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567.
  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5. 경기: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630.
  8. 신숙. 「나의 일생」. 서울:일신사. 1963:124-125.
  9. 申鉉表. 「越南遺書」 초안. 1959.
  10. 스칼라피노, 이정식. 「한국공산주의운동사」 1. 서울:돌베개. 1986:283.
  11. 일본국제문제연구소 중국부회편. 「중국공산당사자료집」 6. 東京:경초서방. 1973:177-178.
  12. 의암 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 「의암 손병희 전기」. 서울:의암 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 1967:257-258.
  13. 윤선자. 「한국근대사와 종교」. 서울:국학자료원. 2002.
  14. 애국동지원호회. 「독립운동사」. 서울:애국동지수호회. 1956:277.
  15. 조경한. 「백강회고록」. 서울:한국종교협의회. 1979:129-130.
  16. 채근식. 「무장독립운동시비사」. 서울:대한민국공보처. 1949:176.
  17. 김성호. 「1930년대 연변 민생단 사건 연구」. 서울:백산자료원. 1999:539.
  18. 김태국. 「만주지역 '조선인 민회' 연구」.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2001:231.
  19. 박경숙. 식민지시기(1910년-1945년) 조선의 인구동태와 구조. 한국인구학. 2009;32(2):29-58.
  20. 박영석. 「대종교의 민족의식과 항일민족독립운동(하)」. 한국학보. 1983;9(3):90-116.
  21. 박환. 「재만 한국독립당에 대한 일고찰」. 역사학보. 1987;108:243.
  22. 배종호. 「극원철학」. 서울:나라사랑. 1976:24.
  23. 서대숙. 「한국공산주의운동사연구」. 서울:禾多. 1985:141.
  24. 신용하. 「한국독립군과 조선혁명군의 무장독립운동」. 한국학보. 2003;29(3):2-34.
  25. 한상도. 「한국독립운동과 국제환경」. 서울:한울아카데미. 2000:168.
  26. 이계형. 「金中建의 元宗 창시와 독립운동」. 한국학논총. 2013;39:289-324.
  27. 이영호. 「갑오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과 민족운동」. 역사와 현실. 1990;3:186-218.
  28. 이명영. 「1930년대 재만한인의 항일무장투쟁」. 아세아학보. 1975;11:150.
  29. 이홍문, 양필승 옮김. 「만주현대사-항일무장투쟁기(1931~1945)」. 서울:대륙연구소출판부. 1992:52-53.
  30. 일본외무성. 「間島及接壤地方共匪, 不逞鮮人ノ行動情況」. 육.해군성 문서 제329권:205.
  31. 지헌모. 「청천장군의 혁명투쟁사」. 서울:삼성당. 1949:136.
  32. 조동걸. 「만주에서 전개된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의: 1920년 청산리전쟁 80주년의 회고와 반성」. 한국사연구회. 2000:368-369.
  33. 조경한. 「재만 독립군의 김중건」, 「개혁의 이론과 독립운동」 (2). 경기:소래김중건선생기념회. 1995:97.
  34. 조경한. 「9.18後 韓國獨立軍在東北殺敵略史」. 광복. 1942;2(1):53-56.
  35. 정원옥. 「韓國獨立軍의 組織과 獨立戰鬪」. 사학연구. 1992;43・44:215-240.
  36. 조경한. 「대전자대첩-항일무력투쟁의 한 단면사」. 군사(창간호). 1980;1:79-93.
  37. 장세윤.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989;3:317-374.
  38. 최성춘. 「연변인민항일투쟁사」. 북경:민족출판사. 1999:143.
  3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영안동경성寧安東京城. 1996:1.
  4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민생단사건(民生團事件). 2016:1.
  4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광복(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 제1집. 1987:415.
  42. 한상도. 「재만 한국독립당과 한국독립군의 중국관내지역 이동」. 사학연구. 1998;55,56:767-790.
  43. 金有權, 李寶根, 東勝村 史活, 牧丹江市東安區頭隆鎭 東勝村党支部, 2008.
  44. 警秘 第一六四號, 大正十一年 三月 二四日, 「支那長白撫松安圖各懸下視察情況」, 朝鮮總督府警務局.
  45. 大正八年乃至同十年 共七冊 其三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密受第三三號 其二下, 陸軍省, 高警第三四五號 國外情報, 「夫支那長白縣內不逞鮮人集會建」
  46. 외무성. 「日本外交年表竝主要文書」 하. 東京:原書房. 1965.
  47.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京城:조선총독부. 1935.
  48. 해외한일운동자료-만주편(1910~1926)일본 외무성,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ノ部-在滿洲ノ部」 14, 機密第519호, 「不逞鮮人金仲建外安10名檢擧ニ關スル件」.
  49. 1927년 6월 7일자, 「김소래 징역 3년 구형, 기타 사명은 2년 6개월」, 중외일보.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1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npjo&types=&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npjo_1927_06_07&position=0 (2021.04.20.).
  50. 조경한, 1975년 4월 15일자, 「상해임시정부」, 중앙일보. https://www.joins.com/Media/List.aspx?mseq=11&pseq=13878 (2021.04.21.)
  51. 1933년 7월 9일자, "조선군사령부 발표임을 밝히면서, 나자구 피난민 중 1,600명 四散, 土兵의 습격으로 30명 사상, 행방불명도 50명" 조선일보. https://newslibrary.chosun.com/view/article_view.html?id=434219330709m10227&set_date=19330709&page_no=2 (2021.04.22.)
  52. 1975년 4월 29일자, "상해임시정부 제45화",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1405226(2021.04.25.)
  53. 정상규, 2020년 6월 4일자, "독립군 군의관이 된 한의사, 신홍균 선생의 독립투쟁일지 下", 한의신문.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39715 (2021.04.01.)
  54. 정상규, 2020년 4월 25일자, "[정상규의 히든 히어로]살아 무엇하랴, 목숨 끊겠노라, 독립군 장군 구해낸 연설"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4515437&code=61171111 (2021.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