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amless knitwear sleeve design

무봉제 니트웨어의 소매디자인 향상을 위한 연구

  • Kang, Hee Myung (Dept. of Knit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 Ki, Hee-Sook (Dept. of Knit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강희명 (한양여자대학교 니트패션디자인과) ;
  • 기희숙 (한양여자대학교 니트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21.10.04
  • Accepted : 2021.12.07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an appropriate knitt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appearance, wearability, and functionality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sleeve height knitting ratio of seamless knit wear. The study was conducted by producing seven types of experiment clothes according to knitting ratio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ody armhole and sleeve height ratio. Specifically, after fit evaluatins, variance analysis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evaluated contents were converted into data. Among them, the items with significant results were intensively studied using the Duncan-te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height and the width of the sleeves vary depending on the knitting ratio. Test sweater A was the highest at 16cm, followed by test sweater B, test sweater C, test sweater D, test sweater E, test sweater F, and test sweater G at 4cm. The 1:1 ratio of test sweater A, was the highest, which is knitted in the same course as the body. The larger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body and sleeve, the lower the height of the sleeves.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sensory evalu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the result values (p<0.001) from all items on the front, side, and rear. Specifically, the appearance of the test sweater B(2:4:2) on the front and test sweater C(2:4:3) on the side and rear side was the best. When the sleeves height is properly set, the ratio of the arm line to fit the design with a natural curve is analyz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practical use in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that can increase the feeling when wearing and design satisfac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 1학기 한양여자대학교 교내 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희명. (2019). 지속가능 니트패션디자인 사례 연구. 패션과니트, 18(1), 70-75.
  2. 기희숙, 최원정. (2020). 무봉제 니트 (초판). 서울: 부크크.
  3. 기희숙. (2019). 무봉제 니트웨어의 네트디자인 향상을 위한 연구-V-네크 풀오버의 네크단 편성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1(4), 69-79.
  4. 기희숙, 김미주. (2010). 무봉제 스웨터의 몸판과 소매 연결 부위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몸판과 소매 연결 부위의 편성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2(4), 137-147.
  5. 기희숙. (2006). 니트플레어스커트의 입체 형상평가를 통한 무봉제 편성방법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권성하. (2009). 자카드 조직을 이용한 무봉제효과 니트웨어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3), 488-495.
  7. 권진. (2006). 위상기하학적 측면에서 본 홀가먼트의 디자인 특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1), 72-82.
  8. 김미주, 기희숙. (2012). 무봉제 니트웨어의 네크디자인에 관한 연구-라운드네크 풀오버의 네크단 마무리 편성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113-125.
  9. 김미주. (2014). 무봉제 니트웨어의 디자인향상을 위한 제작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미주. (2014). 무봉제 니트웨어의 변천에 관한 연구-제작기법을 중심으로-. 패션과니트, 12(3), 39-53.
  11. 신혜영, 금기숙. (2014). 섬유, 패션기업의 지속가능성 실천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8(2), 137-146. https://doi.org/10.5850/JKSCT.2014.38.2.137
  12. 신혜영. (2017). 스마트 기술과 지속가능한 가치가 융합된 섬유패션 디자인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2), 359-376.
  13. 이미숙, 김명옥, 서미아. (2009). 무봉제 니트 원피스 드레스의 소매 편성 방법-겨드랑 부위의 바인드오프 처리 분량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6), 1059-1067.
  14. 이미숙, 서미아. (2009). 무봉제 니트 원피스 드레스의 웨이스트 다트 편성 방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5), 769-779.
  15. 이유진, 최원정. (2012). 고감성 니트디자인을 위한 무봉제 니트 조직패턴의 성능과 이미지간이 연구(1)-암홀 접속부(마치)의 역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6(1), 52-68. https://doi.org/10.12940/JFB.2012.16.1.052
  16. 이인숙. (2017). 니트제품 생산현황에 관한 연구. 패션과 니트, 15(3), 68-76.
  17. 이인숙, 조규화, 김지영. (2011). 국내외 무봉제 니트웨어 디자인 경향. 패션비즈니스, 15(1), 34-49. https://doi.org/10.12940/JFB.2011.15.1.034
  18. 이송희, 이정은. (2018). 현대패션에 나타난 무봉제 니트웨어의 조형성. 패션과니트, 16(3), 53-58.
  19. 임정순, 김금화. (2005). 무봉제 니트웨어 원피스디자인에 관한 연구-제작기법을 중심으로-. 패션과니트, 3(2), 1-12.
  20. 정주희. (2004). 홀가먼트를 이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Shima Seiki corporate profile 브로셔. (2011). 자료 검색일 2021. 9. 20, 자료출처 http://www.shimasei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