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년도 부산교육대학교 연구역량지원과제로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 강인애, 김홍순(2017).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50-26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250
-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 권치순, 허명, 양일호, 김영신(2004).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56-1271.
- 금혜림(2019). 메이커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다솔(2020).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기술교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을 중심으로. 교육발전학회지, 40(1), 35-52.
- 김미란, 김정화, 서해연, 왕현정, 김찬국(2015). 에너지 소양에 근거한 초등 에너지 교육 교재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5(2), 91-102.
- 김순식(2019). 소집단 토의.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54-6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1.54
- 김우식, 노석구(2021). 메이커교육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77-77.
- 김지양, 이상원(2021).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메이커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교육학회지, 32(2), 67-84.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청람과학교육논총, 8(1), 374-405.
- 류재규, 소금현(2019). 대체에너지에 관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97-97.
- 박근형(2020).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용주, 정순희, 신민경(2009). 청소년 에너지 절약 실태 및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79-91.
- 서울시교육청(2017). 서울형 메이커 교육(미래공방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서울: 서울시교육청.
- 손경옥, 이형철(2021). 학교 내 무한상상실을 활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학회지, 40(1), 55-65.
- 에너지관리공단(2003). 초등학교 3-4학년 교사용 지도서 에너지와 친해져요. 에너지 관리공단.
- 이성희, 안원석, 임정수(2014). 초등학생의 에너지기후변화 개념도 분석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4(2), 161-167.
- 이수연, 배진호(2020).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10(2), 157-168.
- 장효정, 배진호(2020). 시각적 사고를 강조한 에너지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와 행동,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1), 25-35.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1.25
- 현명주(2016). 에너지 일기쓰기가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DeWaters, E., & Powers. E. (2013). Establishing measurement criteria for an energy literacy questionnair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4(1), 38-55. https://doi.org/10.1080/00958964.2012.711378
- Kafai, Y., Filelds, A., & Searle, A. (2014). Electronic textiles as disruptive designs: Supporting and challenging maker activities in school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32-556. https://doi.org/10.17763/haer.84.4.46m7372370214783
- Norris, P., & Philips, 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of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4), 224-240. https://doi.org/10.1002/sce.10066
- Papert, S.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New York: Basic books.
- Parker, V., & Gerber, B. (2000). Effects of a science intervention program on middle-grade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5), 236-242.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263.x
- US DOE. (2012). Energy Literacy: Essential Principles and fundamental Concepts for Energy Education. US Department Of Energy.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me. Washington, DC.
- Wardrip, P., & Brahms, L. (2016). Taking Making to School: A Model for Integrating Making into Classro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