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문선 (2019). 집행기능의 교육신경학적 해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강문정 (2017).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 상위권 자녀를 둔 서울 거주 중산층 엄마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옥려 (201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뇌 과학적 접근. 한국초등교육, 25(1), 315-333. doi:10.20972/kjee.25.1.201403.315
- 고명정, 박은진, 이대환, 최영민, 김봉석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어머니의 대상관계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4), 219-227. doi:10.5765/jkacap.2011.22.4.219
- 김민주, 하은혜 (2011). 청소년의 ADHD증상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4), 43-58.
- 김민주, 하은혜 (2013). 청소년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2), 313-330. doi:10.15842/kjcp.2013.32.2.003
- 김민진 (2008).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9(1), 181-210.
- 김세영 (2012).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가정배경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소라, 신나나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5), 47-67. doi:10.14698/jkcce.2020.16.05.047
- 김수정, 곽금주 (2010). 초등 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단기.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19-37.
- 김은향 (2020).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구조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1037-1059. doi:10.22251/jlcci.2020.20.7.1037
- 김형숙 (2007).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가족과 문화, 19(4), 193-222. doi:10.21478/family.19.4.200712.007
- 김형연, 김민주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및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1), 105-121. doi:10.5723/kjcs.2020.41.1.105
- 노보람, 박새롬, 박혜준, 최나야 (2020). 학령초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교육지원 유형: 예측요인 및교육지원 유형에 따른 자녀의 학교 적응. 아동학회지, 41(1), 15-28. doi:10.5723/kjcs.2020.41.1.15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8. 4). 청소년 ADHD 치료 실태 조사 결과 발표. https://www.mdon.co.kr /mobile/article.html?no=16052에서 2021년 9월 8일 인출
- 문영경 (2021).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종단적영향: 유아기 어머니 수용감과 또래 수용감의 직렬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5), 43-61. doi:10.14698/jkcce.2021.17.05.043
- 민미희 (2018).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91-121. doi:10.22590/ecee.2018.22.3.91
- 민미희 (2020).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2(3), 149-166. doi:10.36431/JPE.12.3.7
- 민운정 (2013). ADHD 성향을 보이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능력 및 집행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보경, 노지운 (2020). 부모의 양육행동이 학령 초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실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2), 163-179. doi:10.5723/kjcs.2020.41.2.163
- 박완주, 박신정, 황성동 (2015). 한국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5(2), 169-182. doi:10.4040/jkan.2015.45.2.169
- 박원순 (2021).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을 통한 육아존중. 육아정책포럼, 68, 29-35.
- 박은미, 정대영 (2012). 상위인지전략중심의 가정연계 게임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양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8(3), 487-521.
- 박지현, 송현주 (2016). ADHD 성향 초등학교 고학년의 계획 및 조직화 중심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 재활심리연구, 23(1), 159-171.
- 송연주 (2015). 초등학생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돌봄과 교사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203-229.
- 송진영 (2014).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4(4), 523-553. doi:10.15709/hswr.2014.34.4.523
-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동과 ADHD아동 및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현주 (2014).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1), 121-137. doi:10.15842/kjcp.2014.33.1.008
- 신연희, 정현희, 최성열 (2010).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동교육, 19(3), 143-158.
- 오경자, 김영아 (2010).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서울: 휴노컨설팅.
- 유지영 (2017). 책임성을 중심으로 본 남성들의 자녀양육 참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45-61. doi:10.14400/JDC.2017.15.10.45
- 윤종빈, 김진주 (2019). 한국적 사회적 자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 정치, 6(2), 171-206. doi:10.22539/culpol.2019.6.2.171
-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적용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4), 143-170.
- 이동미, 장혜인, 김호정, 배진, 박주희 (2021). 머신러닝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1학년 ADHD 위험군아동 종단 예측모형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5), 83-103. doi:10.14698/jkcce.2021.17.05.083
- 이미아 (2009).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1(2), 95-111. doi:10.21075/kacsn.2009.11.2.95
- 이아름 (2020). 취업모의 일-양육 양립 이점과 자녀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부모 공동양육의 조절된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2(2), 51-71. doi:10.36431/JPE.12.2.4
- 이운경, 김민주, 윤기봉 (2018).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온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9(3), 141-156. doi:10.5723/kjcs.2018.39.3.141
- 이재희, 김근진, 엄지원 (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 (연구보고 2017-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bitstream/2019.oak/808/2/%ec%b4%88%eb%93%b1%ec%9e%90%eb%85%80%20%ec%96%91%ec%9c%a1%ec%a7%80%ec%9b%90%20%eb%b0%a9%ec%95%88.pdf에서 2021년 9월 20일 인출
- 이종하, 유수현 (2011). 아동의 ADHD 경향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4(1), 1-16. doi:10.47801/KJIMH.04.1.1
- 이주미 (2018). 자기조절과 실행기능: 교육적 접근을 위한 고찰. 열린교육연구, 26(2), 201-227. doi:10.18230/tjye.2018.26.2.201
- 이지원, 최지은, 김현경 (2020). 부모 공동양육의 양과 질을 반영한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집단 간사회인구학적 특성, 학령기 아동 정서조절능력의 차이. 아동학회지, 41(6), 95-110. doi:10.5723/kjcs.2020.41.6.95
- 이현철, 천희영 (2021). 한국 영유아의 사회적 자본 의미에 대한 소고. 교육발전, 40(3), 741-763. doi;10.34245/jed.40.3.741
- 이혜정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출현율과 교사-부모간의 평정 일치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양미 (2020). 맞벌이 부모의 일. 가정 양립 갈등, 강압적 양육행동, 초등학교 자녀의 미디어기기의존 및 집행기능 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학부모연구, 7(4), 77-97.
- 전숙영 (2018). 초등학교 1학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문제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3(3), 41-54. doi:10.23931/kacp.2018.13.3.41
- 전은아 (2019). 정서.행동문제가 있는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비교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진원, 전자배 (2016). 부모의 교육적 지원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3(2), 5-31. doi:10.22804/jke.2016.43.2.001
- 정승아, 이수진 (2016). 학령 초기 내재화 문제행동의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 인성과 부모양육의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499-518. doi:10.15842/kjcp.2016.35.2.009
- 조광현, 배율미 (2018). 유아기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2(4), 245-269. doi:10.32349/ECERR.2018.08.22.4.245
- 조규영, 이설아 (2019).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갈등과 다차원적 건강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4(3), 3-18. doi:10.21321/jfr.24.3.3
-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 조정연, 윤주연, 신윤희, 송호준, 배민정, 구현진 (2010).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127-149.
- 최고은, 권지성 (2013). ADHD성향 아동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평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5(3), 207-238. doi:10.20970/kasw.2013.65.3.009
- 최옥희, 김용미, 김영호 (2009). 생태학적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학업 성취에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2(4), 133-160.
- 최진오 (2010). 초등학생들의 ADHD 성향과 학교유대성간의 관계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179-198. doi:10.21075/kacsn.2010.12.3.179
- 통계청 (2021. 06. 22). 2020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90200 에서 2021년6월 22일 인출
-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연구.지원센터 (2021). 위(Wee) 프로젝트, 우리가 희망이다. https://www.wee.go.kr에서 2021년 9월 10일 인출.
- 한국아동패널 (2020. 1). 파일 다운로드. https://panel.kicce.re.kr/pskc/module/rawDataManage/index.do?menu_idx=56에서 2021년 9월 30일 인출
- 한국아동패널 (2021). 도구 프로파일. https://panel.kicce.re.kr/pskc/board/index.do?menu_idx=42& manage_idx=26에서 2021년 5월 31일 인출
- 한선화, 현온강 (2008). ADHD 아동의 부모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ADHD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한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26(2), 43-56.
- 한영숙 (2019).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공격적.협동적 행동의 종단적 관계: 부모공동양육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2), 75-86. doi:10.5723/kjcs.2019.40.2.75
- 한영숙 (2020). 어머니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종단적 관계: 아동의친사회적 행동과 또래관계의 역할. 아동학회지, 41(3), 13-23. doi:10.5723/kjcs.2020.41.3.13
- 홍예지, 이강이 (2020).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과결과요인 검증. 육아정책연구, 14(1), 97-120. doi:10.5718/kcep.2020.14.1.97
- 황현주 (2011).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ADHD성향 유아와 관련 변인간의 관계: 성, 연령, 거주지역과 기질, 부모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5(2), 46-64.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5 Task Force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doi:10.1176/appi.books.9780890425596
- Ande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Catroppa, C. (2001).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0(1), 385-406. doi:10.1207/S15326942DN2001_5
-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doi:10.1002/icd.385
- Baggetta, P., & Alexander, P. (2016).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executive function. Mind Brain and Education, 10(1), 10-33. doi:10.1111/mbe.12100
-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doi:10.1037/0033-2909.121.1.65
- Barkley, R. A., & Cox, D. (2007). A review of driving risks and impairments associate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effects of stimulant medication on driving performanc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8(1), 113-128. doi:10.1016/j.jsr.2006.09.004
- Bronfenbrenner, U. (1979). Contexts of child rearing: Problems and prospects. American Psychologist, 34(10), 844-850. doi:10.1037/0003-066X.34.10.844
- Carlson, S. M., Moses, L. J., & Claxton, L. J. (2004).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ing and theory of mind: An investigation of inhibitory control and planning 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7(4), 299-319. doi:10.1016/j.jecp.2004.01.002
- Chang, J. J., Halpern, C. T., & Kaufman, J. S. (2007).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ather' involvement, and the trajectories of child problem behaviors in a US national sample.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1(7), 697-703. doi:10.1001/archpedi.161.7.697
- Cho, E., & Allen, T. D. (2012). Relationship between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and parent-child interactive behavior: Can guilt help?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276-287. doi:10.1016/j.jvb.2011.12.002
- Cho, S. C., Kim, B. N., Kim, J. W., Rohde, L. A., Hwang, J. W., Chungh, D. S. et al. (2009). Full syndrome and subthreshol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 Korean community sample: Comorbidity and temperament findings.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8(7), 447-457. doi:10.1007/s00787-009-0755-7
- Cicerone, K. D., Dahlberg, C., Kalmar, K., Langenbahn, D. M., Malec, J. F., Bergquist, T. F. et al. (2000).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2), 1596-1615. doi:10.1053/apmr.2000.19240
-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S95-S120. doi:10.1086/228943
- Collins, W. A., Madsen, S. D., & Susman-Stillman, A. (2002). Parenting during middle childhood.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Children and parenting (2nd ed., Vol. 1, pp. 73-10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doi:10.4324/9781410612137.ch3
- Cooklin, A. R., Westrupp, E., Strazdins, L., Giallo, R., Martin, A., & Nicholson, J. M. (2014).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Associations with parenting quality and couple relationship.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1(2), 266-277. doi:10.1111/cch.12137
- Davies, P. T., Harold, G. T., Goeke-Morey, M. C., Cummings, E. M., Shelton, K., & Rasi, J. A. et al. (2002). Child emotional security and interparental conflict: Comparing the relative roles of emotional security and social learning processe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7(3), 27-40. doi:10.1111/1540-5834.00207
-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ist: Science and Practice, 5(3), 314-332. doi:10.1111/j.1468-2850.1998.tb00152.x
- Deater-Deckard, K. (2005).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development: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1-115. doi:10.1002/icd.383
- Fabricius, W. V., Sokol, K. R., Diaz, P., & Braver, S. L. (2012). Parenting time, parent conflict,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 physical health. In K. Kuehnle & L. Drozd (Eds.), Parenting plan evaluations: Applied research for the family court (pp.188-213).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med:psych/9780199754021.003.0007
- Feinberg, M. E. (2003).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3(2), 95-131. doi:10.1207/s15327922par0302_01
- Fenesy, M. C., & Lee, S. S. (2018). Executive functioning mediates predictions of youth academic and social development from parenting behavio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3(8), 729-750. doi:10.1080/87565641.2018.1525384
-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Hayes, A. F. (2021, August). The PROCESS macro for SPSS, SAS, and R. Retrieved September 20, 2021 from https://www.processmacro.org/download.html
- Hayes, A. F., & Rockwood, N. J. (2017). Regression-based statistical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is in clinical research: Observations, recommendations, and implementa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98, 39-57. doi:10.1016/j.brat.2016.11.001
- Hoza, B. (2007). Peer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6), 655-663. doi:10.1093/jpepsy/jsm024
- Kendall, P. C. (1993).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with youth: Guiding theory, current status, and emerging developm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2), 235-247. doi:10.1037/0022-006x.61.2.235
- Knudsen, E. I., Heckman, J. J., Cameron, J. L., & Shonkoff, J. P. (2006). Economic, neurobiological, and behavioral perspectives on building America's future workfor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3(27), 10155-10162. doi:10.1073/pnas.0600888103
-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doi:10.1037/0012-1649.18.2.199
- Lam, C. B., Chung, K. K. H., & Li, X. (2018). Parental warmth and hostility and child executive function problems: A longitudinal study of Chinese families. Frontiers in Psychology, 9, 1063. doi:10.3389/fpsyg.2018.01063
- Margolin, G., Gordis, E. B., & John, R. S. (2001). Coparenting: A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in two-pare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1), 3-21. doi:10.1037/0893-3200.15.1.3
- McHale, J. P. (1997). Overt and covert coparenting processes in the family. Family Process, 36(2), 183 -201. doi:10.1111/j.1545-5300.1997.00183.x
- Meuwissen, A. S., & Englund, M. M. (2016). Executive function in at-risk children: Importance of father-figure support and mother parenting.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4, 72-80. doi:10.1016/j.appdev.2016.04.002
- Rice, F., Frederickson, N., & Seymour, J. (2011). Assessing pupil concerns about transition to secondary school.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2), 244-263. doi:10.1348/000709910X519333
- Ringer, N. (2020). Living with ADHD: A meta-synthesis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their ADHD.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67(2), 208-224, doi:10.1080/1034912X.2019.1596226
-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879-891. doi: 10.3758/BRM.40.3.879
- Sergeant, J. A., Geurts, H., & Oosterlaan, J. (2002). How specific is a deficit of executive functioning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ehavioral Brain Research, 130(1-2), 3-28. doi:10.1016/s0166-4328(01)00430-2
-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doi:10.1037/1082-989X.7.4.422
- Valcan, D. S., Davis, H., & Pino-Pasternak, D. (2018). Parental behaviours predicting early childhood executive functions: A meta-analysi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30(3), 607-649. doi:10.1007/s10648-017-9411-9
- Van Egeren, L. A., & Hawkins, D. P. (2004). Coming to terms with coparent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1(3), 165-178. doi:10.1023/b:jade.0000035625.74672.0b
- Wiener, J., & Mak, M. (2009). Peer victimiz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sychology in the Schools, 46(2), 116-131. doi:10.1002/pits.20358
- Willcutt, E. G., Doyle, A. E., Nigg, J. T., Faraone, S. V., & Pennington, B. F. (2005).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ry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Biological Psychiatry, 57(11), 1336-1346. doi:10.1016/j.biopsych.2005.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