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 COVID-19

코로나19 시기 이후의 기독교교육의 방향

  • Received : 2020.08.27
  • Accepted : 2020.09.2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COVID-19 is sweeping the world, and it is in crisis in all aspect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religion. As people experience the beginning and spread of COVID-19, wince and re-spread, the people are living in anxiety and depression. Because of the COVOD-19 crisis, Korean churches were unable to provide on-site worship, and online worship began, and churches that started on-site worship also performed online worship. In the case of church schools, the functions of fellowship and education were paralyzed and many are offering online Sunday service only. Many people eagerly want to go back to what it was before COVID-19, but it seems difficult because COVID-19 has become a global issue and a pandemic situation. We can't wait to get better out of this. In the COVID-19 crisis, the church was unable to properly handle the church's original work and to fully fulfill the mission of education. The response of many churches was to postpone the planned ministry to the second half of 2020. Now, we should try to set a new direction and prepare specifically to move in the new direction. With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tudie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 COVID-19. Specifically,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 COVID-19 was found in the theory of Agape's encounter, Catechesis theory, and diakonia theory, and specific direction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se theories. Specifically, based on the theory of Agape's encounter, Christi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ncounter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Christi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ncounter among family members, Christi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ncounter among citizens of the world, and Christi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ncounter through online were presented. Based on the Catechesis theory, Christian education copping with the attack of heresy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diakonia theory, Christian education of service for society and Christian education of service based on data were presented.

코로나19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고, 이로 인해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위기를 겪고 있다. 코로나19의 시작과 확산, 주춤과 재확산 등을 경험하면서 국민들은 불안감과 우울감 속에 힘들게 살고 있다. 코로나19 위기를 말미암아 한국교회는 현장예배를 드리기가 힘들어 온라인예배가 시작되었고, 현장예배가 시작된 교회도 온라인예배를 병행하고 있다. 교회학교의 경우에는 교제와 교육의 기능이 마비되었고, 대부분 온라인예배에 비중을 두며 주일예배만 어렵게 드리고 있는 형편이다. 코로나19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가기를 간절히 원하지만, 코로노19가 전 세계 이슈, 팬데믹 상황이 되었기에 쉽지 않아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상황이 나아지기만을 가만히 기다릴 수 없다. 2020년 3월에는 4월이 되면 나아지겠지, 4월에는 5월이 되면 나아지겠지, 5월에는 6월이 되면 나아지겠지, 6월에는 7월이 되면 나아지겠지 라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지금까지 지나왔다. 그러는 사이 교회는 교회 본연의 사역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했고, 교육의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지 못했다. 많은 교회의 대처는 2020년 상반기에 계획해 놓은 사역을 하반기에 연기한 것 정도이다. 이제 코로나19 상황이 나아지는 것을 기대하고, 상황이 나아지면 그 이전에 계획하고 준비한 것을 하려는 시도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기 이후의 기독교교육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시기 이후의 기독교교육 방향의 이론적 기반을 아가페적 만남의 이론, 카테키시스 이론, 디아코니아 이론에서 찾았고 이 이론에 따라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아가페적 만남의 이론에 근거해서 자연환경과의 만남을 강조하는 기독교교육, 가족 구성원 간의 만남을 강조하는 기독교교육, 세계 시민 간의 만남을 강조하는 기독교교육, 온라인을 통한 만남을 중시하는 기독교교육을 제시했다. 그리고 카테키시스 이론에 근거해서 이단의 공격에 대응하는 기독교교육을 제시했고, 마지막으로 디아코니아 이론에 근거해서 사회를 위한 봉사와 섬김의 기독교교육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섬김의 기독교교육을 제시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고용수 (1994). 관계이론에 기초한 만남의 기독교교육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 고용수 (2003). 현대 기독교교육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3. 개역개정판 성경전서 (2010). 개역개정판 성경전서.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4. 김성중 (2019). 기독교교육행정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민영사.
  5. 김윤종 (2020. 5. 15.). 사노피 "백신, 거액 지원 美에 우선 공급" 언급에...마크롱'격노.'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20200515/01063826/1에서 인출.
  6. 김정희 (2019). 반응적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효 이해. 기독교교육논총, 60, 121-151.
  7. 남정현 (2020. 2. 27.). 신천지 "교육생 7만여명 명단 넘길 것"..."신천지 건물도 공개하라" 주장.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227_0000935142&cID=10701&pID=10700에서 인출.
  8. 네이버사전 (2020). 디지털 리터러시 네이버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c5b9a1252f9431a96706350cacfeb9c에서 인출.
  9.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편 (2001). 하난님의 나라: 부르심과 응답-교육과정 이론지침서(I)/이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0. 두산백과 (2020). 솅겐협정 (Schengen Agreement). Do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2029&cid=40942&categoryId=40105에서 인출.
  11. 두산백과 (2020). 팬데믹 (Pandemic). Do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46271&cid=40942&categoryId=32745에서 인출.
  12. 박미라 (2011). 다문화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교육-기독교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7, 243-270.
  13. 신승범 (2016). 부모 신앙교육의 주체인가? 기독교교육논총, 48, 293-319.
  14. 양소리 (2020. 5. 7.). "전 세계 간호사 260명, 코로나19로 사망...9만명 감염."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07_0001016201&cID=10101&pID=10100에서 인출.
  15. 이금만 (2002). 디아코니아 영성교육방법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8, 215-240.
  16. 이순용 (2020. 5. 13.). 코로나블루, 불안→분노→우울로 발전, 서로 합쳐 헤쳐 나아가야.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47446625768592&mediaCodeNo=257&OutLnkChk=Y에서 인출.
  17. 이인창 (2020. 4. 13.). "온라인 예배 참석" 61% "끝까지 시청" 86%. 기독교연합신문.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3029에서 인출.
  18. 임진희 (2020. 5. 15.). 코로나 위기, 한중 협력으로 해답 찾아야.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51515450214063?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에서 인출.
  19. 질병관리본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환자현황. 질병관리본부.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4&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에서 인출.
  20. 최성훈 (2014). 섬김의 리더십으로 조명한 기독교교육의 원리. 기독교교육논총, 40, 421-447.
  21. 최진기 (2018). 한권으로 정리하는 4차 산업혁명. 서울: 이지퍼블리싱.
  22. 최한구 (1992). 마틴 부버의 생애와 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3. 한지연 (2020. 3. 21.). 유발 하라리 "한국, 코로나 대응 성공사례...전세계 연대해야."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32115510322957에서 인출.
  24. 홍윤철 (2020). 팬데믹. 서울: 포르체.
  25. 홍준헌 (2020. 2. 28.). 신천지 "교인 명단...'마녀사냥' 우려에 어렵게 제공." 매일신문. https://news.imaeil.com/Society/2020022815195526759에서 인출.
  26. Harris, M. (1997). 회중평성과 변평을 위한 교육목회 커리큘럼. 고용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원저 1989 출판)
  27. Howe, R. L. (2000). 대화의 기적. 김관석 역.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원저 1963 출판)
  28. Miller, R. C. (1950). The clue to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29. Osmer, R. (2007) 교육목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신근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2005 출판)
  30. Sherrill, L. J. (1955). The gift of power. New York: Macmillan Co.

Cited by

  1.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 vol.64, 2020, https://doi.org/10.17968/jcek.2020..64.002
  2. 21세기 한국교회 교회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vol.64, 2020, https://doi.org/10.17968/jcek.2020..64.003
  3.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기독시민역량교육 프레임 모형 연구 vol.64, 2020, https://doi.org/10.17968/jcek.2020..6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