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I Chatbot Us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Continued Use : Moderating Effects of Chatbot Type and Motivations

AI 챗봇 타입과 이용동기에 따른 사용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 :자기결정이론을 중심으로

  • ;
  • 임소혜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 Received : 2020.09.15
  • Accepted : 2020.10.08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With a recent rise of various chatbot serv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role of chatbot us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n particular,this study investigates (a)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bot users' psychological needs(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perceived relatedness) and user satisfacti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and (b) the moderating effect of chatbot type and user motivations. Based upon a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us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and relational motivation was found between perceived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user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ing the development of chatbot services.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챗봇 서비스가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되면서 그 이용자의 수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Self Determination Theory)을 적용해 이용자의 세 가지 심리욕구(인지된 자율성, 인지된 유능성, 인지된 관계성)가 사용 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챗봇의 타입을 음성 기반 인공지능 비서, 텍스트 기반 모바일 메신저의 두 가지로 구성하고, 챗봇 이용동기는 실용적 동기, 유희적 동기, 사회 및 관계적 동기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여 이들간의 관계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챗봇 사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결정성 요인인 인지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모두 사용 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챗봇 이용자의 사용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사회 및 관계적 동기가 인지된 자율성과 사용만족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을 적용해 이용자 심리적인 특성의 중심으로 이용자 심리욕구가 챗봇 사용 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확장을 도모하고,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챗봇 시장에 유용한 실무 전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옥경, 윤재영, "모바일 쇼핑의 챗봇(음성 기반/메신저 기반)과 앱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과학예술 융합학회, 제37권, 제2호, pp.47-59, 2019.
  2. 강희주, 김승인, 강희주, 김승인, "메신저 기반의 모바일 챗봇 서비스 사용자 경험 평가. 구글(Allo)과 페이스북(M messenger)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9호, pp.271-276,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9.271
  3. https://www.news1.kr/articles/?3923853
  4. 김수정, 정옥경, 박철, "챗봇의 특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혁신성에 따른 차이비교," 한국IT서비스학회, pp.317-320, 2018.
  5. 장예빛, "AI 스피커 이용자의 이용동기 및 AI 스피커에 대한 관계 유형 인식이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558-566,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11.558
  6. E. Deci and R. Ryan,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19, No.2, pp.109-134, 1985. https://doi.org/10.1016/0092-6566(85)90023-6
  7. 염동섭, 박경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품질과 자기결정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4권, 제11호, pp.459-467, 2016.
  8. 조동혁, 박종우, "모바일 커머스 수용 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제4권, 제3호, pp.163-182, 2015.
  9. 서창적, 윤주옥, "챗봇 상담의 인지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과 긍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20권, 제1호, pp.201-222, 2019.
  10. S. Roca, J. Sancho, J. García, and M. Alesanco, "Microservice chatbot architecture for chronic patient support," Journal of Biomedical Informatics, Vol.102, pp.1-9, 2020.
  11. P. B. Brandtzaeg and A. Folstad, "Why People Use Chatbots. Internet Science,"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106, No.73, pp.377-392, 2017
  12. 이희준, 조창환, 이소윤, 길영환, "인공지능 스피커(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이용 동기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138-15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138
  13. E. L. Deci and R.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pp.227-279, 2000.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14. 김영남, 서용건, "미로공원 방문객의 내재적 동기, 플로우 및 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제40권, 제7호, pp.55-71, 2016.
  15. 배재권, 권두순, "자기결정성 요인이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745-2774, 2011.
  16. 하대권, 성용준,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20권, 제1호, pp.55-83, 2019. https://doi.org/10.18205/KPA.2015.20.1.003
  17. R.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pp.460-469, 1980. https://doi.org/10.1177/002224378001700405
  18. X. Wang and Y. Li, "Relatedness need and users' satisfaction with social network sites: A self-determinant perspective," 2012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Information Management (ICDIM 2012), pp.309-312, 2012.
  19. 정덕화, 정철호, "모바일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의 지각된 사회적영향 및 자기결정성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6권, 제2호, pp.45-52, 2016.
  20. D. Peters, R. A. Calvo, and R. Ryan, "Designing for Motivation, Engagement and Wellbeing in Digital Experience," Frontiers in Psychology, Vol.9, No.797, pp.1-15, 2018.
  21. J. Roca and M. Gagne, "Understanding e-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in the workplace: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4, No.4, pp.1585-1604, 2008. https://doi.org/10.1016/j.chb.2007.06.001
  22. 주영주, 정애경, 강정진, 이민영, "기본심리욕구와 페이스북 중독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제16권, 제1호, pp.183-191, 2016. https://doi.org/10.7236/JIIBC.2016.16.1.183
  23. 김대진, 김진수,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사용 향상을 위한 방안," 한국경영정보학회, 제17권, 제1호, pp.171-197, 2015.
  24. 조동희, 이연준,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제24권, 제2호, pp.87-100, 2019.
  25. 고동완, 박용순, 이한아름,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제28권, 제4호, pp.137-156, 2013.
  26. 정제우, 유명숙, 주효진, 조주연,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166-1185, 2011.
  27. 문영주, 정철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02-2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02